• Title/Summary/Keyword: 서비스평가

Search Result 6,176,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n User-Centered Design(UCD) Approach for Ubiquitous Service Evaluation: an Evaluation Metric focus on Human-System Interaction Capability (사용자 중심의 유비쿼터스 서비스 설계 지원을 위한 상호작용성 평가 metric 개발)

  • Lee, Joo-Hwan;Bahn, Sang-Woo;Yun, Myung-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292-297
    • /
    • 2008
  •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 환경은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성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성을 사용자 중심의 시각에서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평가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특성이 반영된 사용자 중심의 상호작용성 평가 metric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기존의 유비쿼터스 서비스 평가방법론을 검토하여, 유비쿼터스 서비스 평가를 위한 평가 속성을 정의하였으며, 둘째, 대인 서비스 평가기법, 사용성 평가기법, 정신측정학 기반의 평가기법 등의 기존의 서비스 평가방법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사용자중심의 상호작용성 평가 metric 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된 평가 metric 을 u-home 서비스의 평가에 실제로 적용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고 각 지표별 중요도를 구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상호작용성 평가 metric 은 유비쿼터스 서비스 상호작용성 수준을 평가함으로써 잠재 서비스 사용자들을 분석하고,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서비스 개발단계에서의 잠재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요구사항 수렴 및 수준 파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Analysis Criteria for AI Service Impact Assessment (인공지능 서비스 영향성 평가를 위한 분석 기준 연구)

  • Soonduck, Yo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3 no.1
    • /
    • pp.7-13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The study classified AI evaluation targets into two areas: AI service and AI technology, and identified influence, sustainability, efficiency,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as potential evaluation criteria. The time aspect of AI service evaluation was divided into pre-evaluation and post-evaluation, with pre-evaluation focused on reviewing items during development and design. The AI service area was classified into public, private, and mixed forms, and the impact assessment was classified as vertical or horizontal. The application of AI services was divided into normative and regulatory aspects, and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could be impact or process evaluation. The subject and field of the AI service could also be used for classification purpo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support the creation of AI service impact policies and countermeasures.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specific indicators based on the criteria identifi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impact of AI services.

Implementation of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through Repeated Usability Tests (반복적 사용성 평가를 통한 학술연구정보 서비스 구현)

  • Jung, Han-Min;Lee, Mi-Kyung;Sung, Wo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233-238
    • /
    • 2007
  • 학술연구정보 서비스는 연구자의 연구 개발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서비스이다. 그렇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아직까지 학술연구정보 서비스에 대한 심도 깊은 사용성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OntoFrame이라는 시맨틱 웹 기술 기반 학술연구정보 서비스 구현 과정에서 반복적인 사용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어떻게 서비스가 효용성과 사용성을 갖추어가는 지를 실증함으로써 사용성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특히, 사용성 평가 목표에 따라 서비스 시안(Mock-up)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용자 인터뷰 중심의 1차 사용성 평가와 서비스 프로토타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술연구 정보 서비스간 비교 평가 중심의 2차 사용성 평가를 상이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성 관련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도출할 수 있었다. 사용성 평가는 매 구현 단계마다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본 학술연구정보 서비스의 사용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 PDF

A Methodology of Simulation-based Essential Services Continuity Test (시뮬레이션 기반의 필수 서비스 연속성 평가 방법론)

  • 이익섭;김형종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3.06a
    • /
    • pp.9-14
    • /
    • 2003
  • 최근의 일상 생활들은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지난 1.25 인터넷 대란을 통해서 볼 수 있듯이, 네트워크 침해사고로 인해 네트워크 필수 서비스가 중단되었을 때 사용자를 위해 네트워크 기반으로 제공되는 주요한 서비스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다는 것을 직접 확인하였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필수 서비스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 하나는 서비스의 연속성이다. 필수 서비스의 연속성이 보장되지 못하게 되면 네트웍의 정상적인 동작에 큰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가 필수 서비스를 보장하는 능력을 평가하여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 기반 필수서비스의 연속성 평가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평가 모델의 구성, 실행, 분석 등의 단계를 가지는 평가 절차를 제시한다. 또한 평가 프레임을 제시하고 프레임의 구조 및 동적 특성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연속성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지표를 가용성, 권한보호성, 정보비밀성, 복구가능성 등 4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에 대해 살펴본다.

  • PDF

Business Valuation of Portal Service (포탈서비스 비즈니스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 김영우;정봉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30-133
    • /
    • 2000
  • Traffic이 집중되어 광고시장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다는 포탈서비스의 매력 때문에 많은 기업이 포탈 서비스 시장에 뛰어들고 있으나 투자자나 기업의 가치 향상을 위한 포탈 서비스기업의 가치에 대한 평가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탈 서비스의 특징과 영역을 정의하고 주요 성공요인을 도출함으로서 포탈 서비스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 그리고 기존의 재무 지표, 산업/시장의 성장 등 기존의 기업 평가 지표를 도출된 가치 평가 기준을 통하여 미래의 기업 가치까지 평가함으로서 포탈 서비스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Bus Service Evaluation (버스의 서비스평가 구조모형에 관한 연구)

  • 김갑수;도군섭;권대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135-14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2개의 사례지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서비스평가 구조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가설로서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등을 통해 구성된 '질적서비스에 대한 인식', '이동성에 대한 인식 '환승에 대한 인식', '경제성에 대한 인식'이란 인지서비스(Perceived service)를 나타내는 4개의 잠재변수는 '개인속성'과 '교통특성'이란 잠재변수의 영향을 받으며, 상호 구조적인 관계를 가지고 전반적인 만족도로 대표되는 '서비스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모형추정결과, 기초적합지수(GFI)가 상인·월성 0.864, 지산·범물 0.807로 나타났고, 조정 적합지수 (AGFI)는 상인·월성 0.823. 지산·범물 0.759로 나타나 적합성은 대체로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두 지역 모두에 있어서 잠재변수 간이나 잠재변수와 관측변수간의 인과계수의 유의성도 2, 3개의 인과계수를 제외하면 모두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모형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상인·월성의 경우, 운전기사에 대한 인식치가 '서비스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며, 요금수준과 더불어 직접적으로 '서비스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타 편리성, 쾌적성, 시설 및 운영성이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지산·범물의 경우, 쾌적성, 시설 및 운영성, 편리성이 '서비스평가'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질적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버스의 현행 요금수준과 대기시간에, 그리고 유의성이 높다고 할 수 없지만 이용자의 연령과 버스이용빈도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Effect Analysis on the Management and Service Evaluation System for Bus Company (시내버스업체의 경영 및 서비스 평가제도 도입 효과분석)

  • Kim, Jeom-San;Jo, Hye-Jeong;Park, Jun-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5
    • /
    • pp.43-55
    • /
    • 2007
  • Gyeonggi-do has conducted bus management and service evaluation of bus operating company since 2005 under the law for promoting public transportation. The evaluation results are used for improving bus service, making policy, and estimating incentives to bus companies. A lot of cost and man-month are needed to evaluate bus management and service for bus operating company, and many companies are against the evaluation. Therefore, the effect analysis on evaluation system should be followed to maintain it. This research results in the evaluation system has positive effects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data of bus company's operation condition in 2005 and 2006 are used for a comparative analysis. From the survey result for the company, bus drivers, and administrators, it results that positive effects are predomina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d for a shield against some criticism about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criteria and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system. For improving bus service, evaluation items and criteria could be added or adjusted based on this research.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earning Evaluation Management based on the Service Science (서비스 기반의 e-러닝 평가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Sang-Joon;Cho, Chang-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8 no.2
    • /
    • pp.217-228
    • /
    • 2010
  • There are two streams on e-Learning. The first one is to create new value through aligning products included information systems and service. The second one is to utilize the service system and the service process for service systematization. The service system is made up human, technology, value proposition, service network, and shared information. The service process consists of design, development, operation and evaluation phase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the evaluation management of e-learning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science. The evaluation management service is sets of evaluation type management, general review management, award management, evaluation sheet management and evaluation result management. Feature of this paper is that we can service with different criteria to learner, guardian and evaluator. The worthy of this paper is that we construct service oriented environment possible to systematize evaluation work easily and provide evaluation results clearly.

  • PDF

Study on the Conformance Test Model for Intelligent Urban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적합성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 Kim, Eun-Hy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3
    • /
    • pp.23-31
    • /
    • 2011
  • As demands of intelligent urban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are increasing in u-Cities, development and use of service standards for the cities are required to make the services interoperable. Conformance tests can be conducted for the standards to implement the services more interoperably and consistently. To improve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services, it is necessary to build an evaluation model for services in a perspective of conformance tests. In the context, this study reviews the related references and establishes a conceptual model of the conformance tests for the services and provides an application of the model to a monitoring service for flowing water quantity to prove its usefulness.

A Fuzzy Approach to Evaluation of Home-helper's Service (요양보호사의 서비스평가에 대한 퍼지적 접근)

  • Jang, Yu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1 no.1
    • /
    • pp.62-67
    • /
    • 2011
  • This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empirically test how the level of information Home Helpers have about their client and the hypothesis that home-helpers' expertise about their service provided to their clients is expected to positively affect their assessment of service provided to clients.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home-helpers' knowledge, skill, and information about client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assessment of service provided to clients. Home-helpers' information about clients plays a more important role than knowledge and skills in the process of assessing the services provided to clients. After maintaining that the hypothesis is empirically confirmed, the autho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empirical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