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비스업

검색결과 430건 처리시간 0.024초

IT투자가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IT Investment on Demand for Labor)

  • 홍효진;홍필기;이영수
    • 정보화정책
    • /
    • 제17권4호
    • /
    • pp.44-60
    • /
    • 2010
  • 고용 없는 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IT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총 6년간 국내의 매출액 1,000억 원 이상 498개 기업을 대상으로 IT투자가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결과, 일부 서비스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IT투자가 노동수요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경우 IT투자가 증가할수록 노동수요는 증가하나, IT투자에 따른 노동수요탄력성은 작아 IT투자는 저(低)숙련 노동과는 대체관계에 있고 고(高)숙련 노동과는 보완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 가스 및 건설업 역시 IT투자가 증가할수록 노동수요가 증가하며, IT투자에 따른 노동수요탄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산업의 경우, 생산자 서비스업에서만 IT투자가 증가할수록 노동수요가 증가하였으며, IT투자에 따른 노동수요탄력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통 서비스업과 사회 서비스업에서는 IT투자와 노동수요 간에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ICT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증의 취업 및 업무 수행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Technology Licenses in ICT sectors and Job-Finding & Performance of Works)

  • 유재영;최성진;이영주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907-915
    • /
    • 2014
  • 본 연구는 정보통신분야의 국가기술자격증 소지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이들의 근무 분야와 자격증 취득이 취업과 업무 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정보통신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이 전체 응답자의 58.7%에 그치고 나머지는 관련없는 분야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분야는 방송통신 제조업, 통신 서비스업, 과학기술 서비스업, 그리고 미디어 서비스업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가 보유한 자격증의 유형에 따라 자격증의 가치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대신 자격증 소지자의 근무 사업체별로 자격증의 가치에 대해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 가운데 미디어 관련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응답자들이 국가기술 자격증이 취업에 유리하고 업무 활용이 높다고 인식했다.

거리조락함수를 이용한 수도권 지역간 기업이동 거리감쇄효과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distance decay for the relocated firms using distance-decay function by industrial typ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안영수;이승일
    • 지역연구
    • /
    • 제31권2호
    • /
    • pp.47-61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을 대상으로 입지를 변경한 기업들의 거리감쇄효과를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기업은 이전할 때 이전비용부담과 해당지역의 고객확보, 관련업체와의 협력 등으로 해당지역과 근접한 지역으로 재입지 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기업의 입지변경 시 이동거리는 기존 입지지역과 최대한 가까운 지역에 재입지하려는 거리감쇄효과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의 서비스업과 제조업, 건설업 기업들의 기업이동 거리감쇄함수를 구축하고 그 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서비스업과 제조업, 건설업 모든 기업의 거리감쇄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구축한 거리감쇄함수의 설명력($R^2$)은 제조업은 .802, 서비스업은 .812, 건설업은 .728로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는 기업이동에 대한 거리감쇄효과가 있음을 실증한 것이며, 또한 건설업과 서비스업, 제조업 순서로 거리감쇄효과가 큼을 도출하였다.

구조적 공백 이론을 이용한 산업간 융합 측정 연구: ICT 산업을 중심으로 (Measuring Inter-industry Convergence using Structural Holes Theory: Focusing on ICT Industries)

  • 이동현;이상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11-19
    • /
    • 2020
  • ICT 기반 산업 융합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를 체계적인 방법으로 정량화하여 측정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ICT 산업을 ICT 제조업과 ICT 서비스업으로 분류한 후, 구조적 공백 이론 관점에서 산업연관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산업 간 융합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ICT 산업의 효율성과 제약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ICT 제조업과 ICT 서비스업 모두 정보 효익과 통제 효익이 매우 높은 것으로 드러나, 산업 간 융합 과정에서 경쟁 우위의 위치에 있는 핵심 산업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ICT 제조업과 ICT 서비스업의 직접적인 비교와 지난 15년간의 추세 분석 결과를 토대로 추가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인도경제의 서비스화 요인 실증분석 (An Emperical Factor Analysis of the Service Economy in India)

  • 조충제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2호
    • /
    • pp.57-78
    • /
    • 2008
  • 인도경제는 지난 약 50년간 GDP생산에서 차지하는 서비스업 비중이 지속 높아져 2000년 이후 그 비중이 절반이상을 차지하는 소위 서비스화 경제로 진입하였다.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서비스업의 고용비중은 아직 50%를 넘어서지 않았지만 고용증가가 공업부문을 압도하며 서비스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 교역에서의 서비스화도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인도경제의 서비스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1953년~2003년 연간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을 시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인도경제의 서비스화는 소득증가에 따른 서비스수요 증가(수요편향가설), 공업과 서비스업간의 생산성격차(생산성편향가설), 중간재로서의 수요증가(중간재로서의 수요증가가설) 등에 의해 동시에 촉진되고 있었다. 이는 인도경제의 서비스화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이며 상대적으로 빨리 진행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IT분야의 신성장동력에 대한 연구개발(R&D)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The Economic Effect of R&D Investment for the IT Green Growth Initiatives in Korea)

  • 박추환;한성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58-586
    • /
    • 2010
  • 본 논문은 현재 활발히 진행 중인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원동력인 녹색성장과 관련하여 R&D 투자금액 중에서 IT와 관련된 연구개발투자로 인한 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정부가 추진중인 녹색성장 관련 연구개발 금액을 IT제조업, IT서비스업, 그리고 S/W 및 컴퓨터관련서비스로 각각 분류한 후 RAS기법을 활용하여 예측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녹색성장 관련 IT제조업분야에 대한 투자로 인한 생산유발액은 약 3조 1,853억원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 IT서비스업이 약 1조 4,360억원, 그리고 S/W 및 컴퓨터관련서비스가 약 4.482억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입유발액 역시 IT서비스업에 비해 IT 제조업이 그 수치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부가가치유발액은 IT서비스에 비해 IT제조업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투자수요인 R&D금액이 IT제조업 부분이 IT서비스업에 비해 크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취업유발인원은 IT제조업이 16,596명으로 가장 높고, 두 번째로 IT서비스업이 9,000명이고, 마지막으로 S/W 및 컴퓨터관련서비스가 3,616명으로 나타났다. 2009년에 대한 투자금액대비 경제적 파급효과인 점을 고려하면 장기적인 측면에서 지속적인 투자가 있을 시 산업부문간 발생될 효과는 더욱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연구개발서비스업에서의 비즈니스모델 혁신: 자동차 연구개발전문기업의 사례 연구 (Business Model Innovation in the R&D Service Sector: A Case Study of Automobile R&D-service Firms)

  • 김진형;김정호;박선영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4호
    • /
    • pp.21-55
    • /
    • 2014
  • 최근 치열해지는 시장경쟁과 함께 가속화 다양화되는 기술혁신의 환경 변화로 인해 기업들은 기존의 제품혁신이나 한정된 서비스의 제공만으로는 고객들의 요구와 기대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되었으며, 비즈니스모델(BM) 혁신을 통해 그 해법을 찾고자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M혁신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여 연구개발서비스업 내 BM혁신의 필요성과 성공 요건에 관한 명제들을 도출하고, 자동차 R&D서비스업에서 선도적 글로벌 기업인 AVL과 ETAS의 BM혁신에 대한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명제들을 검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BM이 혁신을 통한 가치 창출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연구개발서비스업 분야에서 기술적 역량을 갖춘 기업이 BM혁신을 통해 어떻게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사례기업들은 고객을 위한 가치 제안과 기업의 이윤 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품(기술)-서비스 융합에 기반한 BM을 수립하고 자사에 적합한 보완적 자산을 차별적으로 활용함으로써 BM혁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기술혁신경영분야에서 BM혁신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하며, 국내 연구개발서비스업과 연구개발전문기업들이 향후에 혁신적 BM에 기반해 효과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법인의 전기 유보금이 당기 투자 및 배당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업종별 더미변수를 통한 유의성 검증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Previous Corporate Internal Reservation on the Current Investments and Dividends : The Verification of Significance through Dummy Variables under Industrial Classification)

  • 유준수
    • 벤처혁신연구
    • /
    • 제2권1호
    • /
    • pp.131-151
    • /
    • 2019
  • 본 논문은 과연 법인의 전기 유보금이 당기 투자 및 배당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업종별 더미변수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양 년도에 걸쳐 물적 투자에서는 제조업, 기술서비스업, 도소매업, 정보서비스업, 건설업, 운수업종에서 전기 유보금이 당기 물적 투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개발비 및 경상개발비에 대한 투자보다는 유형자산에 대한 투자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 투자에서는 제조업, 기술서비스업, 정보서비스업, 운수업종에서 전기 유보금이 당기 인적 투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급여에 대한 투자보다는 교육훈련비 및 복리후생비에 대한 투자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당에서는 제조업, 도소매업, 정보서비스업, 운수업, 기타 업종에서 전기 유보금이 당기 배당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배당률에 대한 지출보다는 배당금에 대한 지출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공헌점은 전기 유보금이 당기 투자 및 배당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업종별로 구분하여 그 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는 점이다. 이에 반해 본 논문의 한계점으로는 정확한 세무자료의 수집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회귀분석 결과 나온 계량 적인 결과물들이 과연 정부의 정책 효과를 어느 정도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 그 기준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국내외 경제 및 경영 환경의 모호성과 불확실성에 대해 정부가 어떤 정책을 추진해야 기업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지 그 연구도 필요하리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