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브 픽셀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Pixel Skipping with Stencil Buffer for Texture Based Volume Rendering (텍스춰 기반 볼륨 렌더링에서의 스텐실 버퍼를 이용한 픽셀 단위 건너뛰기)

  • Lee, Tek-Hee;Kim, Dong-Ho;Lee, Jeong-Jin;Shin, Yeong-Gil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9 no.4
    • /
    • pp.1-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GPU와 스텐실 버퍼(stencil buffer) 및 깊이 버퍼(depth buffer)를 이용하여 가려진 픽셀들을 렌더링 단계 이전에 건너뛰는(skipping)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래픽 카드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인 깊이 및 스텐실 버퍼 검사(depth & stencil buffer test)를 이용하여 이진 차폐 맵(binary occlusion map)을 만들고 이를 재사용하여 가려지는 부분의 픽셀들을 효과적으로 건너뛰게 하는 방법이다. 전체 볼륨 데이터는 팔진트리(octree) 구조를 가진 서브볼륨들로 나뉘어 저장되며 시점에 가까운 서브볼륨부터 렌더링에 사용된다. 서브볼륨들을 차례로 렌더링하면서 차폐 맵을 갱신하게 하면, 멀리 있는 서브볼륨들을 렌더링할 때 이미 가려진 픽셀들을 렌더링에서 제외할 수 있다.

  • PDF

Adaptive Multiview Subpixel Interlacing for Autostereoscopic Display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를 위한 적응적 다시점 서브 픽셀 재배치 기법)

  • Hong, Jong-Ui;Shim, Hyun-Bo;Choi, Yoo-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450-45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렌티큘러 렌즈의 속성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속성의 변화에 따라 다중 시점에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적응적으로 하나의 다시점 입체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렌티큘러 렌즈의 기본 속성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속성값을 고려하여 다중 시점에서 획득된 영상의 서브픽셀들의 가중 평균을 구하고 이를 다시점 입체 합성 영상의 서브 픽셀의 값으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여러 다시점 영상을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렌티큘러 렌즈의 속성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속성이 정확히 하드웨어적으로 일치 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적응적 다시점 서브 픽셀 재배치 기법을 통하여 3D 입체감이 안정적으로 제공됨을 확인하였다.

  • PDF

Comparison of Subpixel Interlacing Methods for Autostereoscopic Display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를 위한 서브 픽셀 인터레이싱 기법 비교 분석)

  • Hong, Jong-Ui;Ko, Dong-kyun;Choi, Yoo-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927-928
    • /
    • 2015
  • 무안경 3D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와 렌티률러 렌즈(Lenticular lens)의 기반의 장치로 구분된다. 무안경 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다중 시점(multi-view) 촬영 영상들의 서브픽셀 인터레이싱 방법을 통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렌티큘러 렌즈 기반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렌티큘러 렌즈의 속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서브픽셀 인터레이싱 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서 기존에 발표된 서브픽셀 인터레이싱 기법의 종류를 분류하고 각 기법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An Improved Chamfer Matching Using Chamfer Distance Interpolation and Subpixel Search (Chamfer 거리 보간과 서브픽셀 탐색을 이용 한 개선된 Chamfer Matching)

  • Cho, Ta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353-356
    • /
    • 2007
  • chamfer 정합(matching)은 많은 응용분야에서 사용되온 에지(edge) 기반 정합기법으로, 변환된 모델에지와 영상에지간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과정이다. 이 거리는 보통 거리변환을 이용하여 픽셀분해능으로 계산된다. 본 논문에서는 서브픽셀(subpixel) 거리계산을 위해 거리계산시 보간법을 사용하여, 정확한 chamfer 정합을 구현한, 개선된 chamfer 정합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보다 정밀한 정합을 위해, 최소거리를 갖는 픽셀위치의 주변영역을 이용하여 최적의 위치를 추정하지 않고, 서브픽셀로 실제 거리계산을 통해 최소 거리를 찾기 위해 Powell 의 최적화기법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는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보여주었다.

  • PDF

Nonlinear 3D Correlator Based on Pixel Restoration for Enhanced Objects Recognition (향상된 물체 인식을 위한 픽셀 복원 기반의 비선형 3D 상관기)

  • Shin, Donghak;Lee, Joon-J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3
    • /
    • pp.712-717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performance-enhanced object recognition by using nonlinear 3D correlator based on pixel restoration. In the proposed method, elemental images of the 3D target that are partially occluded by a foreground object are picked up and transformed into sub-images. By using the block-matching algorithm, the occluded target regions of each sub-image are estimated and removed. After that, the missing pixels in each sub-image are reestablished by using the pixel-restoration method. Finally, through the nonlinear cross-correlations between the reconstructed reference and the target plane images, the improved object recognition can be performed. To show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some preliminary experiments are carried out and results are presented by comparing the conventional method.

An efficient inter-sub block filtering for BVSP in 3D-HEVC (3D-HEVC 에서 효율적인 BVSP 를 위한 서브 블록간 필터링 방법)

  • Lee, Jae Yung;Han, Jo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351-35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현재 활발하게 표준화가 진행중인 3D-HEVC 의 기술들 중 Backward View Synthesis Prediction(BVSP)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서브 블록 경계에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BVSP 에서는 4x4 서브 블록 단위로 대표 깊이 정보를 구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기 때문에 서브 블록 경계에 블록킹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우시안 필터를 통해 이러한 왜곡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모든 경계 픽셀에 대해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하지 않고 경계 픽셀의 주변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하고, 필터의 컨트롤 파라미터 또한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기존의 HTM 6.2 와 비교했을 때, 평균 0.1%의 부호화 효율 개선을 보이고 복잡도는 1.2% 증가 하였다.

  • PDF

Grayscale of Charged Particle Type Display (대전입자형 디스플레이의 계조표현)

  • Kim, Ki-Hoon;Kim, Young-C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6a
    • /
    • pp.38-38
    • /
    • 2010
  • 계조표현의 방법인 기존의 펄스폭에 의한 방법과 본 연구에서 수행한 4채널의 계조표현 방법에 대해 비교하였다. 펄스폭에 의한 계조표현은 동일한 전압에서 펄스의 폭을 제어하여 계조표현이 가능하며, 4채널의 계조표현은 두 개의 채널로 전극배선을 하여 제작한 소자에 black입자와 white입자를 주입하고 생성된 4개의 서브픽셀의 컬러를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하여 계조표현하는 방법이다. 두 가지의 계조표현은 이미지의 구현방법과 지속시간의 차이점이 있다. 4채널의 계조표현이 4개의 서브픽셀을 구동하면, 또 다른 계조표현은 8채널의 계조표현방법으로 이 방법은 하나의 큰 셀에 4개의 서브셀을 만들어 각각 다른 weight를 가지도록 만들어 우수한 계조표현을 구현할 것으로 판단되어 제안하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Pixel Subword Parallel Processing Instructions for Embedded Parallel Processors (임베디드 병렬 프로세서를 위한 픽셀 서브워드 병렬처리 명령어 구현)

  • Jung, Yong-Bum;Kim, Jong-Myo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8A no.3
    • /
    • pp.99-108
    • /
    • 2011
  • Processor technology is currently continued to parallel processing techniques, not by only increasing clock frequency of a single processor due to the high technology cost and power consumption. In this paper, a SIMD (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based parallel processor is introduced that efficiently processes massive data inherent in multimedia.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pixel subword parallel processing instructions for the SIMD parallel processor architecture that efficiently operate on the image and video pixels. The proposed pixel subword parallel processing instructions store and process four 8-bit pixels on the partitioned four 12-bit registers in a 48-bit datapath architecture. This solves the overflow problem inherent in existing multimedia extensions and reduces the use of many packing/unpacking instructions. Experimental results using the same SIMD-based parallel processor architecture indicate that the proposed pixel subword parallel processing instructions achieve a speedup of $2.3{\times}$ over the baseline SIMD array performance. This is in contrast to MMX-type instructions (a representative Intel multimedia extension), which achieve a speedup of only $1.4{\times}$ over the same baseline SIMD array performance. In addition, the proposed instructions achieve $2.5{\times}$ better energy efficiency than the baseline program, while MMX-type instructions achieve only $1.8{\times}$ better energy efficiency than the baseline program.

An Accurate Boundary Detection Algorithm for Faulty Inspection of Bump on Chips (반도체 칩의 범프 불량 검사를 위한 정확한 경계 검출 알고리즘)

  • Joo, Ki-See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5.11a
    • /
    • pp.197-202
    • /
    • 2005
  • Generally, a semiconductor chip measured with a few micro units is captured by line scan camera for higher inspection accuracy. However, the faulty inspection requires an exact boundary detection algorithm because it is very sensitive to scan speed and lighting condi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boundary detection using subpixel edge detection method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bump faulty detection on chips. The bump edge is detected by first derivative to four directions from bump center point and the exact edge positions are searched by the subpixel method. Also, the exact bump boundary to calculate the actual bump size is computed by LSM(Least Squares Method) to minimize errors since the bump size is varied such as bump protrusion, bump bridge, and bump discoloration. Experimental results exhibit that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large improvement comparable to the other conventional boundary detection algorith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