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활 소재

검색결과 960건 처리시간 0.02초

성별과 연령에 따른 춘하 남성 정장 소재의 선호도 분석 (Preference of S/S men's suit fabric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s)

  • 주정아;유효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09-61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judge's gender and age groups in preference of S/S men's suit fabric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and the texture by gender and age group. For this study, 60 types of S/S men's suit fabrics were used with variously-composed fibers, such as wool, wool-blended, and PET, thickness, and weight. To evaluate the texture and the preference subjectively, nine ranks' semantic differential scale questions of 22 texture adjectives and preference of 4 apparel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texture adjectives wer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stiffness," "elasticity," "bulkiness," "coolness," "smoothness," and "drapability." Depending on gender and age groups of judg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exture factors and the preference were observed. Especially, men under 30 years of age showed a higher grade of stiffness and a lower preference on pants than other group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ure and the preference was different by gender and age group: Women evaluated a preference of men's suit fabrics in relation to stiffness and smoothness, whereas men did so in relation to stiffness, smoothness, coolness, and drapability. A young age group put more importance on drapability for preference of men's suit fabric.

  • PDF

샵마스터의 의류 상품 이해도 및 소재 지식도 평가 (Analysis on Shopmaster's Knowledge of Apparel Merchandise and Textile Recognition)

  • 이선영;김정화;이정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83-790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shopmasters' knowledge of apparel merchandise and textile recogni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mographic variables on them. Shopmasters' knowledge of apparel merchandise was analyzed on a factor basis. Four factors of apparel merchandise were fashion property, material property, function property and management property. The textile knowledge level of shopmasters was 72.44%. Considering each part of textile knowledge, basic property was 74.69%, comfort 72.17%, management 68.36% and finishing 77.33%. The level of recognition in finishing area was the highest and the level of recognition in management area was the low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xtile knowledge by gender and working period. Female's textile knowledge level was higher. The longer the working period is, the higher the level of textile knowledge is. Shopmasters recognized the finishing area better than university students did. But both of the groups didn't recognize the management area well.

  • PDF

생활소음 저감을 위한 흡음소재 개발과 흡음구조의 안전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afety Design of Sound Absorbing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Materials To Reduce living Noise)

  • 허성관;최종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34-41
    • /
    • 2002
  • 본 연구는 산업폐기물인 폐·하수슬러지등의 부산물과 점토등으로 환경오염을 줄이면서 소음방지제로 사용할 수 있는 흡음력이 우수한 다공질의 인공경량골재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 소재를 레미콘에 일정량을 배합하여 강도와 홉음력을 비교, 시험하는 등 일반의 콘크리트와 배합하여 사용하여도 문제성이 없는지를 검정하고, 소음전도차단 안전설계로 기존의 시공방법과의 소음 전도성 등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개발한 인공골재와 소음저감 안전설계가 쾌적하고 정온한 주거문화를 창달하기 위한 소음 저감 방법과 생활소음기준 설정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이다.

  • PDF

지하철 광고판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DIY의생활소품 키트 개발 (Developing Upcycled DIY Kit Made from Subway Billboard Material)

  • 강보경;이예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4
    • /
    • 2020
  •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DIY 의생활소품 키트의 개발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디자인프로세스 관련 연구를 참고하여 사전조사 및 분석, DIY 의생활소품 키트의 제작 방향 설정, DIY 의생활소품 키트의 완성, DIY 의생활소품제작 실행 및 평가의 네 단계를 설계하였다. DIY 의생활소품 제작 실행 및 평가 단계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완성품인 파우치, 갑티슈 케이스, 필통 DIY 키트 중 지퍼를 다는 과정이 포함된 파우치 만들기를 선정하여, 실제 제작참여자인 서울소재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명과 성인 여성 4명을 대상으로 실행하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파우치 만들기는 1시간 이내로 완수할 수 있었고, 중상 정도의 난이도를 가지며, 제작방법 동영상의 배속 조정이나 광고판의 소재의 개선이 된다면 기존의 업사이클링 교육에서 활용되던 소재보다 생소한 지하철 광고판을 활용한 업사이클링을 통해 환경의식이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지하철 광고판을 활용해 만든 DIY 키트는 중·고등학생의 친환경적 의생활 노작교육은 물론 힐링을 위한 환경친화적 성인 취미생활의 자료를 마련할 수 있으며, DIY 키트의 대량생산을 통해 상품으로도 개발이 가능하고 이러한 상품은 환경의식 개선과 함께 경제적 이익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화 교과서 분석을 통한 지역 학습 내용 구성 방안 -"사회과 탐구: 서울의 생활"을 중심으로- (Contents Construction of Learning a Region through the Analysis of Local Textbook, Social Studies Inquiry : Life in Seoul)

  • 윤옥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20-233
    • /
    • 2007
  •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초등사회과의 교육과정 지역화논의와 현실을 파악하고 지역학습의 개념을 재정립하여 '서울'을 사례로 지역학습 내용 구성의 틀을 제안하였다. 교육과정의 지역화란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의 지방분권화를 의미하며 이는 학습자의 능동걸인 참여를 위해 학습 내용과 학습자의 경험이 연결될 수 있는 일상적 생활세계인 지역을 학습의 소재로 활용한다. 전통적으로 지역학습에서 지역은 향토, 지역사회, 신변지역으로 접근되었다. 향토는 이해와 애정 소속의 대상이고, 지역사회는 학습의 자원이면서 의사소통의 장 참여와 실천의 장이며, 신변지역은 조사 비교의 대상이면서 주요 개념이나 이론을 설명할 수 있는 사례가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지역화 논의와 지역학습의 유형화를 바탕으로 현재 사용 중인 지역화 교과서 '사회과 탐구: 서울의 생활' 내용을 분석하면서 지역학습 내용 구성의 틀을 제안했다. 본고에서는 서울의 지역학습 내용을 구성하는데 서울을 경험의 공간, 참여의 공간, 탐구의 공간 차원으로 구분하여 이해하면서도 지리학의 새로운 지역개념을 도입하여 보다 적합성을 갖춘 지역학습 내용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지역특수적인 소재를 활용하고 지역의 맥락에서 의미있는 잇슈와 주제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방법면에서 뿐 아니라 내용면에서 지역화를 실현하는 것임을 획인하였다.

  • PDF

간호대학생의 자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Esteem,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 곽윤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178-218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자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 수준을 확인하고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의 예측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T광역시에 소재하는 3개 전문대학 간호학과 학생 437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1년 10월 9일부터 11월 27일까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가 인식하는 자존감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사회적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세 변인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40.4%였으며(F=6.732, p=.010), 특히 자존감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32.2% 설명함으로써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beta}$=.362, p<.001).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간호교육과정 개발시 간호대학생들의 자존감을 고려할 것과 간호대학생들의 자존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생의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and Dysfunctional Family on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 장성화;천영희;함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539-548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우관계와 역기능 가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한 3개의 대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갈등 및 불신과 대학환경적응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변인은 갈등해결, 문제의 부모, 인정과 관심 순으로 나타난 반면, 그 외 모든 하위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활 부적응에 대한 예방과 대학생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심층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여러 가지 정책에 대하여 시사하고자 한다.

청소년의 외모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Adolescent)

  • 강양희;박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11-218
    • /
    • 2014
  • 본 연구는 청소년 외모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을 증진시키고, 외모에 대한 올바른 사고를 갖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C시 소재 3개 고등학교 재학생 199명이었으며, 자료는 2012년 9월 21일부터 9월 25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외모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 정도는 중간정도였고, 대상자의 외모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학교생활적응은 경제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적응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계획 시에는 성별을 고려하면서 외모만족과 자기효능감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외모만족과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박순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02-31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외모만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조사하고 자아존중감과 성별의 매개 또는 조절효과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18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외모만족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은 외모만족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또한 성별은 외모만족과 자아존중감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었으나 외모만족과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사이에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만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증진하기 위한 전략으로 외모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증진하고 자아존중감의 강화가 필요함을 의미하며 여학생을 대상으로 특화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SNS 중독경향성과 정신건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and Mental Health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 백선숙;조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77-85
    • /
    • 2016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SNS 중독경향성과 정신건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1개 4년제 대학교 재학생 197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는 성별, 학년, 건강상태,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등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는 성별, 학년, 건강상태,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등이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의 차이는 성별이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 수준의 차이는 성별, 건강상태,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등이었다. 다섯째, 대학생활 적응과 정신건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과 정신건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우선적으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상담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앞으로 다각적인 적응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