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활지원

검색결과 1,431건 처리시간 0.05초

노후생활지원 여가활동 프로그램 모형 개발 (Retirement Assisted Living Program Development Activities)

  • 손명동;박천규;정민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7-378
    • /
    • 2011
  • 급격한 고령화 시대에 노년층의 사회참여욕구가 확대되고 있으나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모르고 있어 지역사회의 사회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고 제도나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적인 실정이다. 가족기능이 해체된 노인을 대상으로 노후 생활 지원욕구에 발맞춰 경제적지원, 취업지원, 의료지원, 여가지원 등 각종 복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편적이고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도록 지원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는 있으나 이를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모델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노인들의 역할 및 지위 상실로 인하여 가정에서 고립된 생활을 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복지 전문가가 현장에서 비교적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체계화된 모델을 제안함으로 생활스트레스 감소, 인지기능 향상, 우울증 감소,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노인여가 문화에 대한 건전성 확산을 통해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하게 하며 문화생활 지원을 통해 사회적 비용 부담 경감을 도모함과 동시에 자존감의 고취 및 자율성을 획득하고 자아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끼게 하는데 있다.

  • PDF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관한 일 연구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 신효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3호
    • /
    • pp.66-7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네 집단 즉 유배우 남자노인 무배우 남자노인, 유배우 여자노 인, 무배우 여자노인으로 분류하여 노인의 경제상태와 사회적 활동정도 및 사회적지원(자녀 와 친구의 도구적, 정서적 지원)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각 변인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동시에 이를 통하여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하였다. 본 연구의 결 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대체로 중간정도에 머무르고 있었으나 무배우 노인들은 유배우 노인보다 상대적으로 생활만족도가 낮으며 그중에서도 무 배우 남자노인의 경우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네 집단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경제상 태 사회적 활동정도 사회적 지원의 상대적 영향력을 본 결과 유배우 남자노인의 경우 자녀 의 정서적 지원, 경제상태, 사회적활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무배우 남자노인의 경우는 경제상 태 자녀의 정서적 니원 친구의 도구적 지원, 사회적 활동정도순으로 나타났다 유배우 여자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은 자녀의 정서적 지원 친구의 정서적지원 경제 상태순으로 나타났으며 무배우 여자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은 자녀의 정 서적 지원 사회적활동정도 경제상태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지원생활모델(Supported Living model)을 적용한 발달장애인의 자립 - 한국 장애인복지에의 함의 - (The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upported Living Model - The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 김미옥;정민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255-281
    • /
    • 2017
  •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개념적 모델로서 지원생활모델을 소개하고, 이의 한국 장애인복지에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원생활모델의 개념 및 그 의미, 원칙을 살펴보고, 이 모델이 먼저 도입된 서구 서비스 현장에서 보고된 지원생활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함께 다룸으로써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또한 지원생활모델이 발달장애인 자립에 적용되는 실제를 이해하기 위하여 영국의 지원생활네트워크와 호주의 지원생활유형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영국과 호주에서 개발 사용되고 있는 지원생활 매뉴얼을 살펴보고, 이에 나타난 지원생활 실천의 핵심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개념적 모델로서 지원생활모델의 중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제도적, 기관, 이용자 차원에서의 향후 적용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가능성과 함의를 논의한 연구로서, 향후 관련분야의 기초자료로서 기여할 것이다.

  • PDF

대학생의 부모, 교우, 교수지원과 대학 생활 만족도 간의 융복합 분석 (Combined Study of Relationship among Parents, Friend, Professor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for University Student)

  • 김하나;김정은;조소현;박예지;이상준;마성룡;송보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89-9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 교우, 교수지원 특성과 성별 차이, 사회지원 및 대학 생활 만족도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강원도 소재 대학생 564명을 대상으로 사회지원 27문항, 대학 생활 만족도 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부모, 교우 및 교수지원 순으로 긍정적인 답변이었고 이중 교수지원에서 부정적인 답변이 많았으며 대학생활 만족도도 높지 않았다. 성별 차이에 따른 사회지원 및 대학 생활 만족도는 여학생과 남학생 간 교수지원의 차이를 보였고(p<0.00) 성별, 부모, 교우, 교수지원 및 대학 생활 만족도 간의 상관분석에서 성별과 상관없이 사회지원과 대학생활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p<0.00). 이를 통해 대학생활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하여 부모뿐만 아니라 교우 및 교수의 체계적인 지원으로 상호소통을 증진하여야 할 것이다.

미래 고령화 사회를 위한 실버 기기

  • 김남균
    • 기계저널
    • /
    • 제44권1호
    • /
    • pp.66-71
    • /
    • 2004
  • 이글에서는 상지 동작 훈련 지원 시스템, 보행 훈련 및 하지 기능 회복 지원 시스템, 자세 균형 훈련장치 등 신체 기능 회복 및 훈련 지원 시스템과 자립형 이동을 위한 동작보조장치, 일상생활 지원 실버 기기, 개인 휴대형 골정 방지 시스템 등 일상생활 보조 지원 실버 기기에 대해 소개한다.

  • PDF

차상위 계층의 생활실태와 복지정책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near poor's life actual conditions and welfare policy improvement way)

  • 오봉욱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92
    • /
    • 2012
  • 본 연구는 기초생활수급자 외에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차상위 계층 대상의 경제와 교육생활실태 그리고 복지욕구를 파악하여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복지안전망을 구축함으로써 기초생활수급자로 전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 거주민 중 차상위 계층 주민 4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경제부문 중 전세금과 생활비 지출 부담으로 경제적 지원, 교육부문 중 양육비와 교육비 지원, 복지욕구 부문 중 방과후 교실과 무료 및 치과진료, 명절지원, 취업연계 및 교육서비스, 후원금 지원 등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따라서 차상위 계층에 대한 지역사회보호체계 확충과 서비스 대상자의 역량강화 모색, 가족구성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확대, 빈곤탈출을 위한 지원서비스 확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변화에 맞는 사회복지정책 방향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Ice Break 활용 프로그램 모형 개발 (Ice Break Utilization Program Model Development)

  • 손명동;박천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1-372
    • /
    • 2012
  • 급격한 고령화 시대에 노년층의 사회참여욕구가 확대되고 있으나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모르고 있어 지역사회의 사회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고 제도나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고자 가족기능이 해체된 노인을 대상으로 노후 생활지원욕구에 발맞춰 경제적지원, 취업지원, 의료지원, 여가지원 등 각종 복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편적이고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도록 지원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는 있으나 이를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첫단추의 모델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노인들의 역할 및 지위 상실로 인하여 가정에서 고립된 생활을 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프로그램의 첫단추를 열 수 있도록 복지 전문가가 현장에서 비교적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체계화된 모델을 제안함으로 성공적인 노인여가문화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 PDF

일 대학 보건계열 학생의 소명의식, 일의 의미, 진로태도성숙도 및 대학생활적응 (A Study on Calling, Working as Meaning, Career Attitude Maturity,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mong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 우정희;박민정;민지하;박희은;박아름;이혜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5-16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소명의식, 일의 의미, 진로태도성숙도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D대학 보건계열 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2014년 10월 4일부터 일주일간 편의추출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소명의식은 전공, 지난 학기 성적, 학과지원동기, 아르바이트 형태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일의 의미는 전공, 학과지원동기, 진로태도성숙도는 전공, 학과지원동기, 대학생활적응은 성별, 전공, 학년, 지난학기 성적, 학과지원동기, 가정형편, 아르바이트 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요 변수들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 대학생활적응, 일의 의미와 진로태도성숙도와 대학생활적응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진로태도성숙도와 대학생활적응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자활지원사업, 더 이상 새로운 도전이 아니다!

  • 엄태영
    • Social Workers
    • /
    • 2호통권34호
    • /
    • pp.24-27
    • /
    • 2005
  • 2000년 10월 사회복지분야에서 커다란 변혁이 일어났다. 그동안 우리나라 빈곤정책의 근간이었던 생활보호제도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로 대체된 것이다. 변혁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측면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즉 근로능력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소득, 재산기준이 일정수준 이하이면 국가가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해주는 생계급여의 한 축과, 강제성에 대한 논란은 있으나 근로능력이 있는 빈곤계층이 스스로 가난을 탈피할 수 있는 자활지원의 또 다른 한 축이 균형을 이루며 제도를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결국 자활지원 사업은 빈민운동에서부터 출발하여 90년대 중반 시범사업의 과정을 거쳐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시행과 함께 안정적인 제도화의 길을 걸을 수 있게 되었다. 자활지원사업과 관련된 민간 전달체계로는 현재 자활후견기관 242개소가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수급자를 포함하여 빈곤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적절한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적 자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