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습관 병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3 예방하기 - 청소년.여성 흡연 예방이 중요하다

  • Kim, Jeong-Un
    • 건강소식
    • /
    • v.37 no.5
    • /
    • pp.12-13
    • /
    • 2013
  • 담배에 대한 첫 번째 질문. 흡연은 습관일까? 질병일까? 혹시 습관이라고 답했다면 당신의 담배에 대한 인식이 적어도 20년은 뒤쳐졌다. 흡연에 따른 건강악화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흡연은 '질병'으로 인식되는 추세이다. 특히 성장이 끝나지 않은 청년기의 흡연이나 임신과 출산을 겪을 여성의 흡연은 더 큰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청소년과 여성의 흡연, 무엇이 문제일까?

  • PDF

Comparison of Biological Markers and Lifestyle Factors on the Presence of Diabetes Mellitus in Middle-aged adults (중년기 성인의 당뇨병 유병형태에 대한 생리적 지표 및 생활습관 비교)

  • Keum, Hye-Sun;Suh, Soon-Ri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2
    • /
    • pp.104-111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biological markers and lifestyle factors on the presence of diabetes in middle-aged adults. A total of 5,363 adults aged 40-64 years were recruited from the 2010-2012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COVA and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body mass ind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rediabetes and diabetes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Hypertension, abdominal obesity, hypercholesterolemia, hypertriglyceridemia, smoking, drinking, and carbohydrate intak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hypertriglyceridemia, abdominal obesity, body mass index and drinking were the influencing biological markers and lifestyle factors in prediabetes.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diabetes were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hypertriglyceridemia, abdominal obesity, body mass index, and smoking. Overall,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effective diabetes prevention in middle-aged adults by lifestyle modification of hypertension, obesity, dyslipidemia, drinking, and smoking is recommended.

잘못된 식습관이 당뇨병을 부른다

  • 조영진
    • The Monthly Diabetes
    • /
    • s.148
    • /
    • pp.28-29
    • /
    • 2002
  • 과거에는 채식이나 곡류위주의 식생활이었다. 하지만 현대는 식생활이 풍요로워지면서, 육식과 지방질을 지나치게 섭취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동물성 지방과 동물성 단백질의 지나친 섭취가 문제시 되고, 이러한 섭취생활은 당뇨병을 비롯한 각종만성질환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 PDF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3 예방하기 - 간염 제대로 관리하자

  • Lee, Jin-Han
    • 건강소식
    • /
    • v.37 no.12
    • /
    • pp.12-13
    • /
    • 2013
  • 일상 속에서 간염은 대수롭지 않게 취급되거나, 아예 사람들의 관심 밖에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간염은 피로와 감기 몸살 증상을 일으키는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방치할 경우 간경화나 간암과 같은 치명적인 간 질환으로 발전해 당신의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 PDF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4 실천리스트 - 간 건강을 지키는 생활수천

  • Kim, Seon-Gyu
    • 건강소식
    • /
    • v.37 no.12
    • /
    • pp.14-15
    • /
    • 2013
  • 연말연시 잦은 술 약속이 아니더라도 평소 간 건강을 지쳐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간은 통증을 느끼는 신경세포가 없어 이상이 생겨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 따라서 건강이 악화되지 않도록 미리미리 간을 챙겨주는 것이 중요하다.

  • PDF

당뇨인을 위한 병원 탐방 - 환자의 몸을 내 몸처럼! - 한일병원 당뇨병 클리닉 -

  • Hong, Ji-Yeong
    • The Monthly Diabetes
    • /
    • s.209
    • /
    • pp.66-68
    • /
    • 2007
  • 현재 우리나라 당뇨병환자가 500만명을 돌파하고 있고, 해마다 50만명씩 늘어나고 있다. 잘못된 생활습관과 운동부족, 유전 등이 원인인 당뇨병은 평생을 혈당관리에 힘쓰고 당뇨에 대한 공부를 끊임없이 해야 한다. 일단 당뇨에 걸리면 혈당관리는 물론 눈, 발, 심장, 혈관 등에 오는 합병증에 항상 노출이 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한 번이 아닌 계속적인 교육을 받는 것은 필수적이다. 당뇨가 오래된 환자들은 초보 당뇨병환자들에게 반드시 권유하는 것이 있다. '자만하지 말고 끊임없이 공부하라'는 것이다. 이에 환자들을 교육에 적극적으로 동참 시키고 교육이외에 환자의 몸과 마음이 안정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따뜻한 병원이 있어서 찾아가 보았다.

  • PDF

Chronic diabetic management using Chatbot Web service (챗봇을 활용한 만성질환 식단관리 웹 서비스)

  • Jang, Jae-Hong;Kim, Sung-Hee;Jung, Deok-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275-278
    • /
    • 2018
  • As the population ages socially and the diet of people becomes westernized,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is increasing due to irregular lifestyle. Chronic diseases can be prevented and improved with just regular lifestyle and diet. Most of the recently released diet management mobile applications are aimed at obesity management and diet, and applications that aim to prevent or improve chronic diseases are hard to find. In this paper, we develop a web service that identifies diabetes most frequently encountered among chronic diseases, and implements a chatbot service that helps diabetes management by using Chatscript.

  • PDF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4 실천 List - 규칙적으로 천천히 오래~오래

  • Kim, Eun-Gyeong
    • 건강소식
    • /
    • v.37 no.2
    • /
    • pp.14-15
    • /
    • 2013
  • 과식과 폭식은 건강의 적이다. 소화불량, 역류성 식도염, 복통, 복부팽만감, 설사 등 위장 장애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급성장염이나 드물지만 급성췌장염 등의 심각한 병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의 만병의 근원인 비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설과 같은 명절기간엔 평소보다 튀김이나 전, 잡채 등과 같은 기름기와 지방이 많은 음식을 더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한 설을 보낼 수 있는 식습관에 대해 알아보자.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