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습관요인

Search Result 34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Convergence Study of Self-Management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 (대학생의 자기생활관리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복합적 연구)

  • Lee, Sook Ry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
    • /
    • pp.311-320
    • /
    • 2016
  • Purpose: A descriptive study to focus the life style,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ac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to analyze the phase-to-phase relationship between and impac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Method: At K University among 225 students on 22-26th August 2014. Self-management and self-efficacy of [24] an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29] are used for the measuring tools. Results: Health promotion activity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is major, living and allowed time is a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health promotion activity and self management of health variables were shown moderate correlation. Self-efficacy was too. The relevant explanatory factors influencing the self management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was found to be 64.0%.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measures to promote self-management and self-efficacy are required and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is needed.

Actual Status of Constipation and Life Factors Affecting Constipation by Diagnosis of Rom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일부 한국여대생의 로마진단기준에 의한 변비 실태조사 및 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요인)

  • Jung, Su-Jin;Chae, Soo-Wan;Sohn, Hee-Sook;Kim, Sook-Bae;Rho, Jeong-Ok;Baik, Sang-Ho;Kang, Myung-Hee;Kim, Gun-Hee;Kim, Mi-Hyun;Kim, Hyun-Sook;Park, Eun-Ju;Heo, Young-Ran;Cha, Youn-Soo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4 no.5
    • /
    • pp.428-442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us of constipation. In total, 978 femal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among constipation and life style, clothing patterns, housing patterns, dietary habits, and dietary intake in a constipation symptom group and a normal group. The actual constipation rate based on the Rome II criteria was 27.0% (n = 264). Body weight (p < 0.05) and body mass index (p < 0.05) in the constip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incidence of functional bowel disease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in the constip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discomfort of wearing underwea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stipation group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 The constipation group reveal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irregular dietary habits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dietary diversity score of the normal group was 4.22 (p < 0.05),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stipation group (4.12).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tyle factors was observed.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female students to correct their dietary habits, maintain food intake of three times per day, and select diverse food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female students to wear comfortable clothing to lessen symptoms and improve constipation rates.

Obesity among Secondary School Girls in Ulsan Area (울산지역 중학교 여학생의 비만실태에 관한 연구)

  • 김혜경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6 no.1
    • /
    • pp.33-39
    • /
    • 199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factors with it Ulsan secondary school girls. A cross-sectional study involving a sample of 485 students aged 12 to 15 years was obtained form secondary schools. Obesity was determined using body mass index(BMI=wt/Ht$^2$).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average BMI was 19.3, and 4.5% of girls were either overweight and obese(BMI$\geq$25). Subjects wer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 BMI, sibling obesity, self-consciousness of obesity, eating patterns such as eating snack after dinner and prejudice in food selection, and food frequency sco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nth BMI, while nutrition knowledge score was not associated with BMI. The fact that several social, environmental and health factors are associated with obesity means that a multisectorial intervention program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decrease the problem of overweight among secondary girls. Such program should include dietary intervention to modify food habits, nutrition education through mass media, introducing information on prevention and control obesity in school curriculum, and allocating sufficient time in the school schedule for exercise activities.

  • PDF

Comparison of Musculoskeletal Characteristics and Bone Mineral Density Related Factors betwee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일 대학 남녀 대학생의 근골격계 특성과 골밀도 영향요인 비교)

  • Choi, Seung-Hye;Lee, Haeyoung;Park, MiJeong;Park, Seungmi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 /
    • v.20 no.3
    • /
    • pp.161-170
    • /
    • 2013
  • Purpose: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are musculoskeletal characteristic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related factor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a university.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used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physical measurements to collect data. Subjects were 64 male and 67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questionnaires asked BMD-related factors such as diet, exercise, mental health, and lifestyl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x^2$-test, Fisher's exact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male group showed better back strength, balance, endurance, physical activity, and musculoskeletal health management than the female group. Depression and smoking rates were higher in the male group than in the female group. No difference was found in die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o develop gender-specific strategies to increase BMD in university students.

암의 발생기작

  • 임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1997.06b
    • /
    • pp.8-10
    • /
    • 1997
  • 종양은 아직 그 발생 원인과 기작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 정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종양이란 정상 세포가 갖고 있는 세포 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여 일어나는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에 의한 종양을 임상 및 병리 형태학적으로 양서 종양과 악성종양으로 분류한다. 양성 종양을 일으키는 종양 세포는 정상 세포와 비슷할 뿐 아니라 그 주변 세포들과 확실한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증식도 느리며 다른 부위로의 전이가 없다. 이에 반해 악성종양은 일반적으로 증식도 빠르고 이형의 세포로서 주변의 조직으로 확산, 전이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숙주인 개체를 사망시킨다. 악성종양은 다시 상피 조직에서 유례한 암, 비상피 조직에서 유래된 육종, 백혈구에서 유래된 백혈병 등으로 구별하지만 그의 본질은 거의 같으며 모든 악성종양은 통속적으로 암이라고 불리운다. 종양의 발생원인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화학물질, 바이러스 및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초의 발암물질로 알려진 benzopyrene에 의한 발암 등 연구에 의해 화학적 발암원들은 직접 발암 물질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체내에서 대사된 후 이들 대사 산물일 DNA 등에 작용함으로써 발암이 유도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화학적 변화를 거친 후에야 DNA에 영향을 미치는 것외에 다른 화학물질들은 또 다른 기작을 통해 암을 유발하는데 쥐의 피부에 benzopyrene을 한 번 처리하면 암을 유발하지 않으나 여기에 phorbol ester를 처리하면 높은 빈도로 암이 형성된다. 여기서 benzopyrene과 같이 세포의 DNA에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발암물질을 발암개시제라 하고 phorbol ester처럼 그 자체로는 발암능이 없으나 발암개시제에 노출된 세포에 영향을 미쳐 발암능을 크게 강화시켜 주는 것을 발암촉진제라고 한다. 암은 세포증식 제어계에 DNA가 이상을 일으킨 현상을 말하는 데 이와 같은 DNA의 변형된 유전정보에 의해 암과 관련된 단백질을 합성하므로 이 DNA를 암유전자라 부르며 바이러스에서 유래된 것을 V-one 그리고 세포에서 유래된 것을 c-one이라 한다. 암유전자는 본래 암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증식제어 유전자로서 변이나 비정상으로 활성화 됨으로써 암을 유발시키므로 proto-oncogene이라 부른다. 또한 고등동물의 유전자 중에는 세포성장을 억제하는 유전자들이 있으며 이들은 세포의 성장 생존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전자는 세포의 암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들 유전자의 이상으로 세포성장 억제기능이 상실되면 세포의 과잉 성장이 초래되면 결과적으로 암으로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암세포에서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함께 발견 되면서 정상세포가 암으로 변형되는 과정에는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동시에 관여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 세포가 암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발암의 다단계설에서와 같이 여러 단계의 변과가 필요한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정상세포의 염색체가 변화되어 정상세포들이 가지고 있는 세포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고 증식이 빠르고 저항력이 강한 세포가 선택 되어지고 비정상 서ㅔ포으 과잉 분여러에 의해 종양이 형성되며 이어서 혈관의 신생을 촉진하는 맥관형성, 전이 등이 과정을 거쳐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된다. 20세기 초까지는 암은 노화와 함께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피할 수 없는 질병으로 여겨졌으며 그 치료도 조기에 발견된 암환자에게 외과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 이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암환자의 80% 이상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암이 발생 된다고 믿어지고 있다. 과거 치료에 중점을 둔 것에서 점차 예방의 가능성과 그 방법의 모색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치료적인 면에서도 외과적 수술 이외에 방사선 치료, 항암제의 투여 등 약물요법, 면역요법의 이용 이외에 더 나아가 gene theraph 및 tumor vaccines 개발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국제암연구협회에서는 인간에게 발암이 가능한 물질의 종류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발암 가능성이 높다고 널리 알려진 위험요인을 크게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흡연, 음주, 식이요인, 호르몬 및 기타 요인으로 약물, 자외선 등을 들 수 있는데 현재까지 이들 요인에 의한 발암 기작이 완전히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이들에 의한 발암의 확률이 높다는 것은 사실이므로 이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암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암발생의 예방법으로는 암발생 자체를 예방하는 것과 이미 발생한 암환자를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여러 연구 결과들을 보면 유전적인 요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발암 위험인자들은 개개인의 생활습관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1992년 대한 암협회에서는 '암 예방 14개 권장 사항'을 발표하여 국민 홍보활동을 하고 있는데 그 내용의 반 이상이 식생활 습관과 관련되어 있을 정도이므로 암예방에 있어서의 식품의 역할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한 생활습관과 더불어 적절한 식품의 섭취는 암예방을 위한 기본이 될 것이다.

  • PDF

An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on the Life-Style Behaviors and Mental Health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정신건강 비교)

  • Chang, Hyo-Won;Kim, Jung-Hyun;Auh, Seong-Yeon;Jung, In-Kyu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4 no.3
    • /
    • pp.57-7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academic stress levels on life-style behaviors and mental health among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 convenient sample drawn from the 842 students from 8 junior high schools in Seoul and Kyunggi-Do area was investigated with a survey instrument.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academic stress levels compared to male students, especially in terms of the stress related to teachers, class time, and peer relationships. For the male students, higher stress levels were related to the higher risk factors of smoking, drinking and inhaling drug abuse. Students who had higher academic stress levels spent more time in using computer and playing digital games compared to those who had lower academic stress. In addition, higher academic stress leve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isk of mental health, especially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urgent needs of preventive or educational program to support students with academic stress resolve in healthy manners such as playing sports or music or club activities.

  • PDF

Risk Factors of Childhood Obesity (소아 비만의 위험 요소에 관한 연구)

  • Lim, Weon-Jeong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5 no.2
    • /
    • pp.168-17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childhood obes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of obese children. Methods 110 children of 5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Kwangju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about the children(birth weight, birth order, type of feeding, eating behavior, daily habit) and the parents(weight, height, education). The behaviors of mothers about eating restriction were assessed by three factor eating questionnaire(TFEQ). Children's weight and height were examined and the obesity indeces were calculated. Result: 1) The prevalence rate of obesity among 5 years old children was 20.1%, and male had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rat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birth weight, birth order, and type of feeding between two groups. 2) The obe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cases of "eat rapidly" 3) fathers of obese children were significantly older and showed higher educational level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parental body mass indeces between two groups. 4) Mothers of obese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cognitive restriction factor and disinhibition factor in TFEQ. There was no difference in hunger factor, The score of mothers TFEQ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ildren's obesity indeces. Conclusion : Children's eating behavior and mother attitude about food restriction have influence on children's obesity among 5 years older children.

  • PDF

Effects of a Comprehensive Lifestyle Improvemen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related Risk Factors (심뇌혈관질환 위험요인을 가진 중년여성을 위한 통합적 생활습관개선 프로그램의 효과)

  • Park, Mi-Kyoung;Kim, Jeong-Hee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24 no.2
    • /
    • pp.111-122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a comprehensive lifestyle improvemen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CVD)-related risk factors. Methods: The research adopt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1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in the control group sampled among middle-aged women who had CVD-related risk factors residing in a commun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four-session comprehensive lifestyle promotion program, which consisted of lectures, demonstrations, small-group meetings and telephone-counsel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evaluated by measuring knowledge, attitude, health behavior, and self-efficacy for CVD preventio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fficacy for CVD pre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knowledge, attitude, and health behavior.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rehensive lifestyle improvement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fficacy for CVD preven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more effective lifestyle improvement programs designed to improve knowledge, attitude, and health behavior for CVD prevention. In further research, a follow-up evaluation is also needed to investigate any delayed effects on targeted variables among which no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immediatel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 Effects of Lifestyle Factors on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한국인의 대사증후군에 대한 생활습관 요인의 영향)

  • Im, Mee-Young;Lee, Young-Ran;Han, Suk-Jung;Cho, Chung-Min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23 no.1
    • /
    • pp.13-21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ffects of lifestyle factors on metabolic syndrome (MS) among Korean adults ($age{\geq}20$). Methods: A total of 7,798 subjects (weighted subjects=37,215,961) were recruited from the 2009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Data were analyzed by t-test, ${\chi}^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in consideration of strata, cluster and weight as national data using the SAS 9.1 program. Results: The prevalence of MS by definition of AHA/NHLBI and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Koreans was 22.4%. The mean clinical MS score for MS patients was 3.4, but the mean score for the non-MS group was 1.2 out of 5.0. Among the lifestyle factors, smoking (OR=1.024), stress ($0.546{\leq}OR{\leq}0.587$) and drinking (OR=1.005)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S risk and MS scores, but exercise did no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on the effect of lifestyle factors on MS risk and nurses should focus on effective programs about smoking, stress and drinking for th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MS risk.

여성의 피부건강 관리의 인식과 실천행위 연구

  • Choe, Jong-Won;Lee, Eun-Hu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171-174
    • /
    • 2017
  • 오늘날 경제 성장의 발전은 현대인의 삶의 여유를 가져오게 되었으며, 그 중 뷰티산업의 발전은 국가 주력의 산업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뷰티산업의 구성원인 여성의 사회진출의 기회가 증가 되었고, 이로 인해 여성들은 사회 적응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외모적인 경쟁력을 가져야 했다. 외모에 대한 관심은 물론 매스미디어의 증가, 사회적, 문화적 분위기, 미용기술의 발달 등을 들 수 있다. 외모의 사전적의미로는 겉으로 나타나는 모습으로 외모관리를 위한 영역으로 피부 관리를 꼽을 수 있다. 피부 관리는 미에 관한 현대 여성의 관심의 증가로,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여 외적으로 보여주는 관리로서 외모관리의 대표적 부분으로 중요시 되어오고 있다. 피부의 건강관리는 인식도 중요하고 실천도 중요하다. 그러나 인식과 실천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연구한 논문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성인여성들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인식과 실천을 연구하여 피부건강 관리에 대한 올바른 방안을 제시해준 논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자는 이 논문을 설계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신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02일부터 7월 30일까지 2달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집단은 서울지역에 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그 중 응답이 불량한 사람 49부를 제외되고 351부가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연령은 '21-30세'가 85.2%로 가장 많았고, 결혼 상태는 '미혼'이 89.5%, 직업은 '학생' 67.0%, 최종학력은 '대학교 재학/졸업'이 68.1%, '가계의 월 소득은 '200만원 미만'이 71.8%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은 이혜원 (2009)의 논문과 같이 연령이 낮을수록 피부인식이 높아지며, 이들은 잠정고객으로서 피부 건강에 대한 비용을 높게 지불한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피부 관리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피부유형은 '복합성'이 47.6%, 적정 피부 관리 횟수는 '주 2회'가 32.5%, 적정 1회 피부 관리 비용으로는 '5만 원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피부 관리의 목적으로는 '여드름관리'가 32.8%, 피부 관리에서 중요하게 인식하는 부분으로는 '생활습관'이 79.8%로 대부분이었고, 피부의 유해요인으로는 '스트레스' 4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은 유유정(2013), 장은영(2013)와 같이 생활습관과 스트레스가 피부 관리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