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문화공동체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동아리 활동을 통한 감성마을 사례 연구

  • Jeong, Bong-Seon;Song, In-Bang;Kim, Yeon-J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23-2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한 사례로 경상남도 화동군 화개면 대성리 의신마을의 노인주민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유산 개발과 자발적(생산적) 문화주체발굴 및 양성을 하고자 한 사례연구이다. 2017년부터 2019년의 3년차 사업으로 지역의 마을회(영농회, 부녀회, 청년회, 노인회)와 체험시설 관리운영, 체험행사 관리, 가공시설장 활용, 체험 프로그램 기획/운영, 마을기반조성사업 및 관광체험을 주요활동으로 하는 영농조합법인의 유기적 협력을 통하여 주변의 특산물, 자연환경, 산업환경 및 지리산을 중심으로 구성된 지역역사 문화환경이 연계되어 진행되는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이다. 특히 농악/낙차 동아리, 사진동아리, 그림동아리, 압화동와리와 같은 동아리 활동을 통하여 산골의 지역적인 약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문화예술을 향유하려는 시대적인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실질적인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동체 발전을 지속하고자 함이 취지이다. 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들의 감성지능의 변화에 의한 지역공동체의식과 6차산업 기업가 정신 및 노인들의 사회참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Impact of Peer Attachment,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on School Life Adaption in Children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g-C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9
    • /
    • pp.321-331
    • /
    • 2014
  • This research purposed to verify the effects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Also, I verified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degrees of peer communication, trust, alienation,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research utilized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 Panel Survey data to get more comprehensive and objective research result. As a result, the children who had higher peer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more peer communication and better trust), higher community spirit, and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cceptability adapted to school better. In particular, peer attachment had the highest effect on the children's school adaptation, community spirit next, followed by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refore, children's education needs to enhance their intimacy with peer groups, compliance with basic norms in school communities, and arouse rightful multi-cultural awareness in order to help them adapt to school better.

농촌 전통문화보전 기능의 인식 분석과 화폐가치

  • Kim, Eun-Ja;Kim, Young;An, Yoon-Soo;Lee,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162-163
    • /
    • 2004
  • 우리나라는 농경문화가 주류를 이루어 발달해 온 문화권에 속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전통생활문화에서는 농업의 특성과 지역공간에 기반을 둔 두레나 품앗이 등 공동체의 생활양식이 발달되어 왔다. 설날과 보름, 단오, 추석과 같은 명절의 세시풍속과 많은 전통문화의 요소는 농업ㆍ농촌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이는 도시보다는 농촌에서 보다 쉽게 유지되고 보존되어진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Social Value of Living Culture as the Foundation of Local Culture : Focusing on the Case of 'Gosaek Nongak Conservation Association' in Suwon (지역문화 근간으로서 생활문화의 사회적 가치 연구 : 수원 고색전통농악보존회 사례를 중심으로)

  • Choung, Geeun;Chang, Woongjo
    • 지역과문화
    • /
    • v.7 no.3
    • /
    • pp.1-21
    • /
    • 2020
  • Living culture emphasizes cultural activities in daily life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and aims to integrate art with daily life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In this process, the values that individuals and society should have, are evoked and resto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xt and processes in which the values of the living culture are expressed as local culture, we analyzed the case of 'Gosaek Nongak(community band music, dance and rituals in Korea) conservation association' in Suwon area and tried to diagnose how art and daily life are integrated and restoring community life in the actual field. For this purpose, phenomenological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o categorize the social impacts of living culture activities and public support due to individual, community, and local influences. We found that public support for living culture led to increased artistic development and human interaction in the community, and that individuals who are thus empowered to seek artistic experience and actively interact with other people, emerge as vital subjects and practitioners of culture and arts in their local community.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activities of living culture facilitated the formation of local identity for members and local residents. Through living culture activities, members and local residents became more aware of being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found value and meaning in participating in daily life and cultural activities.

한국의 전통마을에서 본 공간구성과 환경설계 원칙

  • 신상섭;강인애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61-67
    • /
    • 2003
  • 우리의 선인들은 자연환경과 풍토조건을 고려하여 ‘인간과 자연의 합일’이라는 안정된 생활환경공간을 조성하였는바 복거관에 따라 주거지를 조성하고 경작물재배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며 이웃과 공동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삶터를 경영하였으며, 우주관에 따라 생활영역을 구축하여 삶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정신세계로 확장시켜 나가는 형이상학적 관념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즉, 전통마을의 경영에는 하늘과 땅과 사람(천+지+인, 산+수+방위+사람)이 조우하여 균형을 이루고 합일되는 생명영속사상의 준거틀을 운용하여 물질적 풍요는 물론 정신적 풍요를 중시하는 환경설계 철학을 엿볼 수 있다. 특히, 마을의 조영체들을 자연환경 속으로 깊숙이 관입시켜 생태환경에 대한 질서와 평형원리를 존중하는 유기체론적 설계목표를 반영하였다. 안정된 생활환경공간으로서 생태적 네트워크를 구축한 환경설계기법은 입지, 토지이용과 동선, 주거형태, 생태, 영역성, 교육생활문화, 경관, 공동체 구성과 관련된 원칙의 내용을 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