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화학적 특성

검색결과 787건 처리시간 0.024초

오존 노출 시간에 따른 버즘나무와 백합나무의 광합성과 SOD 활성 변화 (Changes on Photosynthesis and SOD Activity in Platanus orientalis and Liriodendron tulipifera According to Ozone Exposing Period)

  • 이재천;오창영;한심희;김판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6-163
    • /
    • 2005
  • 버즘나무와 백합나무의 오존에 대한 생리 생화학적인 반응 특성을 비교하고, 단기간 동안의 노출에 따른 피해 및 내성 반응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수종 1년생 묘목을 100 ppb의 오존에 2, 4, 8 시간/일 동안 노출시키며 1주일간 광합성, 기공전도도, 오존흡입량을 측정하고 1주일 후 광화학 효율 및 탄소고정 효율, 엽록소 함량 및 항산화효소인 SOD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광합성과 기공전도도는 버즘나무의 경우 2시간 처리구는 감소하지 않았지만 오존 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으며, 백합나무는 버즘나무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여 2시간 처리구에서도 광합성과 기공전도도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오존 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욱 많이 감소되었다 엽록소 형광반응을 이용한 광화학을 측정에서는 두 수종 모두에서 오존 처리 시간에 빠른 광화학효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탄소고정효율에 있어서는 오존 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매우 많이 감소하였으며, 백합나무의 감소 폭이 더 켰다. 엽록소 함량은 두 수종 모두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SOD 활성에서는 수종간에 큰 차이가 나타났는데 버즘나무 2시간 처리구에서는 증가하였으며,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백합나무에 비하여 감소 폭이 적었다. 따라서 오존에 대해서 버즘나무보다 백합나무가 민감하게 반응하며 내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AGL 유전자 검사로 확진된 제 3a형 당원병 1례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II Confirmed by AGL Gene Analysis)

  • 서정환;구교연;김규연;이철호;양정윤;이진성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8-112
    • /
    • 2012
  • 제 3형 당원병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II: OMIM #232400)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을 하는 매우 드문 유전 질환으로, 1p21 염색체에 존재하는 AGL 유전자 (OMIM *610860)로부터 전사되는 글리코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가지제거효소(amylo-1,6 Glucosidase; EC 3.2.1.33 and 1,4-${\alpha}$-D-glucan 4-${\alpha}$-D-glycosyltransferase; EC 2.4.1.25)의 결함으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이다. 제 3형 당원병의 환자들은 분해되지 못한 글리코겐이 조직에 축적되면서 증상이 발생하는데, 효소가 분포하던 조직에 따라 그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제 3a형 당원병에서 간비대, 저신장, 그리고 저혈당증 증상은 아동기에 주로 나타나나 나이가 들면서 증상이 호전되어 사춘기를 전후하여 정상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심근병증 및 근무력감, 운동발달지연 등의 근질환 증상은 영아기나 아동기에는 뚜렷하지 않지만 나이가 들면서 심해져 30-40대 이후 성인기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간비종대, 심근 약화 증상, 근무력증 등의 전형적인 제 3a형 당원병의 임상증상 및 생화학적 특성이 관찰된 25세 여환에게서, AGL 유전자의 분석을 통해 제 3a형 당원병을 확진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Streptomyces corcohrussi JK-20 유래 혈전용해효소의 순수분리 및 이의 생화학적 특성 규명 (Purific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ibrinolytic Enzyme from Streptomyces corcohrussi JK-20)

  • 김유정;박정욱;서민정;김민정;이혜현;진세훈;강병원;최영현;정영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38-844
    • /
    • 2010
  • 토양에서 생육하는 Streptomyces corcohrussi의 혈전용해효소가 DEAE-Sephadex A-50 그리고 Sephadex G-50 젤 여과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라피 방법에 의해 순수분리 되었다. SDS-PAGE 분석결과, 분리된 효소는 단일 단백질이고, 그 분자량은 약 34 kDa 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순수분리된 효소의 혈전용해활성은 plasminogen-rich fibrin plate에서 0.8 U/ml 이었으나, plasminogen-free fibrin plate 에서의 그 효소활성은 0.36 U/ml 이하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순수 분리된 효소가 plasminogen activator 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백질 저해제인 $\varepsilon$-ACA, t-AMCHA 와 mercuric chloride의 존재시에 그 혈전용해활성은 24% 이하이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이들 plasmin 저해제 그리고(혹은) fibrinogen을 fibrin으로 전환시키는 과정과 관련된 fibrinogen 저해제에 의해 이 효소가 조절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으로, 중금속 이온인 $Zn^{2+}$은 그 활성을 58% 감소시켰다. 순수 분리된 효소의 최적 온도는 약 $50^{\circ}C$ 이었고, 그 효소활성의 92% 이상은 pH 5.0과 8.0 사이에서 유지되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들은 하나의 강력한 혈전용해효소를 제공해서, S. corcohrussi 유래 새로운 혈전용해제의 개발에 기여하도록 한다.

포항 부추의 생화학적 기능성 효과 (The Various biofunctional effects(anticarcinogenic, antioxidative and lypolytic activity) of Pohang buchu)

  • 황철원;신현길;도명술;김윤주;박종흠;최영섭;주우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9-281
    • /
    • 2001
  • 포항 지역에서 생산되는 부추를 중심으로 부추의 식품기능성 분석을 한 결과 암예방 지표 효소인 QR의 유도능을 확인하였고 항산화 효소의 유도능도 확인하였다. QR 유도능은 음성대조구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활성을 보여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지역에 따른 QR 유도능과 SOD 유사 활성 유도능의 차이는 각 지역의 토질과 환경에 의한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토양분석 등 기후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부추의 항비만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지방세포 분해능에 의해 측정한 결과 $50\;{\mu}g/{\mu}L$농도에서는 음성 대조구의 약 3배 이상의 분해능을 나타내어 항비만 기능성 식품으로서 효과가 큰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감마선 조사된 개량메주의 보존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Grain Shape Improved Meju)

  • 김동호;이경행;육홍선;김재훈;신명곤;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40-645
    • /
    • 2000
  • 전통메주의 대체제품으로 시판되고 있는 낱알형 개량메주의 보존성 향상을 목적으로 메주에 0, 5, 10, 2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하고 $25^{\circ}C$에 6개월간 보존하면서 메주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곰팡이와 산생성세균은 10 kGy의 감마선 조사로 완전사멸이 가능하였으며 Bacillus는 10 kGy의 조사선량에서 약 5 log cycle 정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미생물군의 $D_{10}$을 곰팡이, Bacillus, 산생성 세균에서 각각 0.79, 2.28, 1.02 kGy 수준이었으며 감마선 조사 후 생존한 미생물들도 보존기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메주의 품질열화 요소인 암모니아태질소 함량과 갈색화도의 중가는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억제되었고 메주의 생화학적 품질평가 지표인 protease의 활성과 pH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는 메주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유용한 방법이 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Bacillus amyloliquefaciens IUB158-03이 생산하는 항진균물질의 분리와 항균활성 (Isolation of Antifungal Substances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IUB158-03 and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Pathogenic Fungi)

  • 김혜영;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6-103
    • /
    • 2009
  • 병원성 미생물을 방제하기 위하여 국내의 고추 재배지에서 탄저병균에 감염된 고추로부터 Bacillus속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중 고추탄저병균인 C. gloeosporioides 균주와 식물에 회색곰팡이병을 일으키는 Botrytis cinerea 균주에 대한 길항작용이 가장 우수한 Bacillus sp. IUB158-03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의 형태적, 생리 생화학적 특성과 MicroLog 방법을 이용하여 동정된된 균주는 B. amyloliquefaciens IUB158-03로 명명하였다. 항진균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배지 조건은 2% soluble starch, 3% yeast extract, 0.5% tryptone, 0.5% $NH_4H_2PO_4$, 1% NaCl의 pH 6.0에서 $25^{\circ}C$, 72시간 배양한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진균활성을 나타내었다. B. amyloliquefaciens IUB158-03이 생산한 항진균물질을 butanol로 추출한 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HPLC을 이용하여 항진균물질을 정제하였다. 정제된 항진균물질은 TLC plate 상에서 $R_f$값이 0.27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 물질은 식물병원균인 Fusarium solani, Rhizoctonia solani, Botrytis cineria, Alternata alternaria와 인체병원성 진균인 Trichophyton mentagrophytes, Epidermophyton floccosum, Cryptococcus neoformans 등에만 선택적으로 높은 항진균 활성을 보였다.

쥐간에 미치는 ethanol 독성에 대한 한국산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의 예방적 효과 (THE PREVENTIVE EFFECT OF THE SAPONIN FRACTION OF PANAX GINSENG C.A. MEYER AGAINST ETHANOL INTOXICATION OF RAT LIVER)

  • 주충노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63-74
    • /
    • 1984
  • 한국산 인삼 (Panax ginseng C. A. Meyer)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 분획이 쥐의 간에 미치는 에탄올 독성을 예방하는 효력이 있음을 생화학적 및 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실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적당량(반응액에서의 농도 : $10^{-5}\%$내외)의 인삼 사포닌은 여러가지 효소를 비 특이적으로 활성화하며 1mg의 사포닌 분획을 쥐에게 경구 투여하면 2시간후의 간에서의 인삼 사포닌 분획의 농도가 약 $10^{-5}\%$ 수준이고 간에서의 사포닌 분획의 반감기는 약 5시간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도 인삼 사포닌 분획이 에탄올 대사에 관여하는 alcohol dehydrogenase, aldehyde dehydrogenase 그리고 microsomal ethanol oxilizing system을 시험관 내에서나 생체에서 다같이 촉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인삼 사포닌 분획이 에탄올 산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독한 acetadizing를 체내에서 신속히 제거하고 과량의 수소를 생합성에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서 에탄올 독성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전자현미경적 관찰도 물대신 $12{\%}$ ethanol만을 6일간 투여한 쥐의 간세포가 크게 손상되었는데 비하여 인삼 사포닌을 $12{\%}$ethanol과 함께 같은 기간 투여한 쥐의 간세포는 손상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인삼 사포닌 분획이 에탄올 특성에 예방적 효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씀바귀 추출물이 인체유방암세포의 활성 산소 및 Bcl-2 Family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xeris dentata Extract on Radical Oxygen Species and Bcl-2 Family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 김희정;강금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39-747
    • /
    • 2014
  • 본 연구는 인체유방암세포인 MDA-MB-231세포를 이용하여 IDE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화학적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IDE를 각각 0, 20, 30 및 $40{\mu}g/mL$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증식 억제, 막투과성, 세포내 ROS 분석 및 세포사멸 단계의 특성을 FACS 분석하고, RT-PCR에 의한 사멸관련 유전자 중 Bax/Bcl-2 ratio 분석을 통하여 IDE의 항암작용의 조절작용을 밝히고자 하였다. MTT의 세포 증식 억제는 첨가된 IDE의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와 동시에, trypan blue에 대한 염색성과 DCF-DA 형광 분석의 결과는 각각, 막투과성과 세포내 ROS 농도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됨을 보였다(p<0.05). 이와 같은 IDE 농도에 따른 세포화학적 변화 중에서 세포의 초기사멸에서 후기사멸 과정으로 급격한 사멸단계의 변화가 특히, IDE 농도 30과 $40{\mu}g/mL$에서 일어났다. RT-PCR 분석에 의한 Bax/Bcl-2 ratio도 IDE 농도 30과 $40{\mu}g/mL$에서 급격히 증가하였다(p<0.05). 이와 같은 세포화학적 결과와 RT-PCR 결과를 종합해 볼 때, IDE의 유방암세포(MDA-MB-231)에 대한 세포사멸작용은 막 투과성의 증가와 ROS 증가를 통하여 세포에 점진적인 손상을 일으키며, 이는 세포의 생화학적 변화도 초래하여 세포 증식 억제를 감소시켜, 결국 세포내의 사멸관련 유전자 지표인 Bax/Bcl-2 ratio를 크게 변화시키는 일련의 세포사멸을 점진적으로 유도시켜 항유방암의 효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Bacillus cereus에서 유래한 Lactate Dehydrogenase 동질효소 유전자의 대장균 내 발현 및 효소특성 규명 (Enzymatic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 장명운;박정미;이홍균;이소라;김태집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13-218
    • /
    • 2010
  • Lactate dehydrogenases (LDHs)는 세포 내의 생화학적 대사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효소로서 오랜 동안 많은 관심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미생물 genome database의 탐색을 통해 Bacillus cereus ATCC 14579 genome으로부터 LDH로 추정되는 3종의 유전자를 발견하고, 대장균에서 클로닝 및 대량 발현하였다. 모든 BcLDH 동질효소들의 상동부위 아미노산 잔기 대부분이 기존의 $NAD^+$-의존형 LDH와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한편 31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BcLDH1과 2는 86%의 서열 상동성을 보였으나, BcLDH3와는 49%의 상동성을 나타냈다. 흥미롭게도 BcLDH1만이 $NAD^+$ 조효소 존재 하에서 L-lactate와 pyruvate 간의 상호전환 활성을 나타냈으며, 그 외의 동질효소들은 거의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BcLDH1은 전형적인 $NAD^+$-의존형이며, L-lactate에 특이적인 dehydrogenase 효소임을 확인하였다.

Macrophoma sp.에 의(依)한 사과 부패(腐敗)의 생화학적(生化學的) 특성(特性) (I) -병진전(病進展)과 감염(感染)과일의 탄수화물(炭水化物), 아미노산(酸) 함량(含量)-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pple Rot Caused by Macrophoma sp. (I) -Disease Development, Carbohydrate and Amino Acid Contents in Infected Fruits-)

  • 황병국;이용세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81-185
    • /
    • 1982
  • 사과품종(品種) 후지와 밀러의 미숙과(未熟果)는 7월(月) 10일(日)까지 사과 부패병균(腐敗病菌)(Macrophoma sp.)에 대(對)해 완전히 저항성(抵抗性)이었다. 7월(月) 31일(日)에 접종(接種)하였을 때 품종(品種)에 관계(關係)없이 감수성(感受性)이 되었고 이곰팡이는 밀러보다 후지에서 더 잘 자라났다. $25^{\circ}C$에서 사과부패(腐敗)가 $20^{\circ}C$에 비(比)하여 뚜렷하였다. 양품종(兩品種)의 사과 과육(果肉)에서 총탄수화물(總炭水化物), 환원당(還元糖)은 사과가 성숙(成熟)됨에 따라 점차 증가(增加)했다. 건전(健全)한 과일에서는 후지가 밀러보다 더 높은 탄수화물(炭水化物)을 함유(含有)했으며 감염(感染)된 사과가 건전과(健全果)에 비(比)해서 수용성(水溶性) 탄수화물(炭水化物)을 더 많이 함유(含有)했다. 건전과(健全果)에서 총수용성(總水溶性) 아미노산(酸) 함량(含量)에 후지와 밀러사이에 차이(差異)가 없었고 사과가 성숙(成熟)함에 따라 총(總)아미노산(酸) 함량(含量)은 과육(果肉)에서 감소(減少)되었다. 과육(果肉)에서 탄수화물(炭水化物), 아미노산(酸) 함량(含量)을 사과부패병(腐敗病)에 대(對)한 미숙과(未熟果)의 저항성(抵抗性)과 연관(聯關)시켜 논(論)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