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 위기

Search Result 41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IUCN 적색목록 기준에 의한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식물종에 대한 평가)

  • Chang, Chin-Sung;Lee, Heung-Soo;Park, Tae-Yoon;Kim, Hu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8 no.5
    • /
    • pp.305-320
    • /
    • 2005
  • Recently 64 species in Korea have been ranked as rare and endangered taxa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using two categories, I and II. The original threat categories produc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developed to provide a standard for specifying animals and plants in danger of extinction and has been influential sources of information used in species conservation in Korea. However, the criteria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applied to the whole taxa only by regional boundaries, especially in South Korea, rather than international context, and it also lacked an explicit framework that was necessary to ensure repeatability among taxa because of the absence of quantitative criteria to measure the likelihood of extinction. The World Conservation Union (IUCN) has developed quantitative criteria for assessing the conservation status of species. The threatened species categories, the 2000 IUCN Red List, proposed by SSC (Species Survival Commission) of IUCN have become widely recognized internationally. Details of threatened Korean plants, identified by applying the IUCN threat categories and definitions, were listed and analyzed. The number of species identified as threatened was only 34 out of 64 taxa (48.4%), while the rest of taxa were rejected from the original lists. Many of the species (51.6%, 33 taxa) excluded from the original list propos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do not qualify as Critically Endangered, Endangered or Vulnerable because these taxa were widely distributed either in Japan or in China/far eastern Russia and there is no evidence of substantial decline in these countries. An evaluation of taxa in Korea has been carried out only based on subjective views and qualitative data, rather than quantitative scientific data, such as rates of decline, distribution range size, population size, and risk of extinction. Therefore, the national lists undermine the credibility of threatened species lists and invite misuse, which have been raised by other cases, qualitative estimate of risk, political influence, uneven taxonomic or geographical coverage. The increasing emphasis on international responsibilities means that global scale is becoming more significant. The current listings by Environment of Ministry of Korea should be challenged, and the government should seek to facilitate the resolution of disagreements. Especially the list should be flexible enough to handle uncertainty and also incorporates detailed, quantitative data. It is suggested that the highest priorities for the Red List should be given to endemic species in Korea first. After setting up the list of endemic species to Korea, quantitative data on population size and structure, distributional range, rated of decline, and habitat fragmentation should be collected as one of long term projects for the Red list categorie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are the most important key factors. Also, species assessors are named and data sources referenced are required for the future objective evaluations on Korean plant taxa.

Floristic Study on Chuwangsan National Park (주왕산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

  • 김용식;강기호;박달곤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8 no.2
    • /
    • pp.81-92
    • /
    • 1995
  • The flora of the Chuwangsan National Park was surveyed. The field works was done for three times from February to October, 1994. The total number of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were surveyed as 433 taxa ; 94 families, 260 genera, 365 species, 60 varieties, 2 subspecies, 5 formas, and 1 cultivars. The twenty seven taxa which were artificially planted could be found at the temple and abandoned cultivated areas. The population of Jeffersonia dubia Benth, one of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in Korea, were surveyed and mapped for an ecological monitorings in the future. Since this population is restrictly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mountain trails, the protection measures should be urgently needed in the future.

  • PDF

기획특집 - 미래형 도시, 꿈꾸는 탄소 제로도시 개발

  • 환경보전협회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389
    • /
    • pp.8-24
    • /
    • 2010
  • 도시생활과 관련된 교통 주택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43%를 차지하고 있어 도시에서의 온실가스 저감대책 마련이 시급하며, 저탄소 녹색성장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기후변화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저탄소 녹색도시'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축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기능을 확충하면서 자연과 공생하는 도시를 말한다. 최근의 '저탄소 녹색도시'는 기존의 녹색도시와 또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자원순환과 신재생에너지원의 도입을 주장하고, 탄소상쇄를 위한 에너지 및 자원절감 전략을 중요시 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주거단지내 소비되는 난방과 전력은 단지내에서 생산되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고 있으며, 모든 주택의 지붕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단지 내 열병합 자가발전소에서 산업폐기물을 소각하여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제로 에너지(Zero Energy)를 실현하고 있다. 선진국 뿐 아니라 전 세계의 이목이 '저탄소 녹색도시'에 집중되고 있으며 저탄소 녹색도시를 조성해야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의무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0년 그린홈 100만호 보급을 목표로 주택분야 보급가능 신재생 에너지원을 태양열, 지열, 소형풍력, 연료전지 등으로 다양화하여 안정적 보급 기반을 확보해 가고 있다. 녹색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저탄소 주택, 저탄소 에너지, 녹색교통, 생태녹지, 물 및 자원순환등 핵심요소들의 적용방안이 검토되어져야 한다. 이에 본지에서는 "저탄소 녹색도시의 해외사례와 국내 적용방향", "그린홈 100만호 보급사업 그간 성과와 발전방향", "온라인 전지자동차의 기술 개발 동향"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스마트 코리아를 위한 IT R&D 추진전략

  • Kim, Heung-Nam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
    • /
    • pp.30-37
    • /
    • 2011
  • 아이폰으로 촉발된 스마트 혁명이 우리의 생활상과 글로벌 시장의 경쟁구도, IT의 역할을 진화시키고 있다. 스마트 혁명으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정보와 콘텐츠 소비가 가능해지며, 소비자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문명의 이기를 마음껏 누리고 있다. 시장의 경쟁 구도는 플랫폼과 SW 콘텐츠에 대한 혁신적 성향을 가진 사업자들이 자사의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스마트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에 전통적인 IT 사업자들은 시장에서 쇠퇴하는 위기도 맡고있다. 우리나라는 스마트 혁명에 뒤늦게 합류하였지만, 스마트 혁명을 주도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적 정책적 노력을 진행 중이다. 그 동안의 기기 경쟁력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3D TV 등의 첨단부문에서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성공하였다. 그럼에도 지식 기반의 혁신기업들이 IT시장을 선도하며, 국내 IT는 다시금 힘겨운 노력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우리는 SW와 콘텐츠, 플랫폼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역량 확보에 미진한 점을 인정하고 산학연이 연계하여 다양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있다. 본고에서는 스마트 코리아 실현을 위한 IT R&D 추진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지식기반 기업들의 시장내 확산에 대응하여, 우리나라 IT현황을 재검토하고 미래 스마트 시장에 대한 대응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미래 IT의 역할은 단순히 기기 서비스 기반의 스마트 라이프 실현을 넘어, 유관산업의 신시장 개척, 글로벌 이슈 해결까지 확장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IT를 기반으로 스마트코리아 실현을 위해서는 전방위적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스마트 IT기술의 특성과 산업내의 IT 진화 및 역할 변화를 고려할 때 창의형 원천연구, IT융합기술, 메가프로젝트 추진, 모바일 이후 시대의 학제적 연구를 장기적인 관점의 IT R&D 전략으로 제안하고자한다.

Flora of Dongbok Stream Areal (동복천 일대의 식물상)

  • 임동옥;박양규;유윤미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7 no.4
    • /
    • pp.346-359
    • /
    • 2004
  • Flora was investigated in the Dongbok stream area of hwasun-gun, Jeonllanam-do from February in 2002 to August, were identified as 206 taxa; 75 families,158 genera,174 species,31 varieties and 1 form of plant. Hydrophytes of research site was investigated total, 29 taxa; 16 families, 23 genera, 26 species and 3 varieties. Emerged plants, submerged plant, floating leaved plants and floating plants among the hydrophytes was classified 22, 4, 2 and 1 taxa respectively. Naturalized plants of research site was investigated total, 19 taxa; 10 families, 17 genera, 17 species, 2 varieties. Based on the list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from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1 species Sparganium stoloniferum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

Vascular Plants of Manbokdae, Goribong and Suieongbong in the Baekdudaegan (백두대간 만복대.고리봉.수정봉 일대의 관식물상)

  • 임동옥;김용식;박양규;유윤미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4
    • /
    • pp.387-403
    • /
    • 2003
  • The vascular plants in Manbokdae-Yeowonjae section of the Baekdudaegan were consisted of 502 taxa; 104 families,305 genus,439 species, 60 varieties, 3 forma. From the floristic point of view, the Baekdudaegan of Manbokdae-Yeowonjae section belongs to the southern province in Korea.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Abies koreana, Pedicularis verticillata, Patrinia saniculaefolia, Hololeion maximowiczii, Lilium callolsum, Paeonia obovate, Tricyrtis dizutata and VioEa diamantica, and Cymbidium goeringii. The Korean endemic species were Abies koreana, Patrinia saniculaefolia, Vicia unijuga, Stewartia koreana, Cornus walteri, Weigela subsessilis, Saussurea seoulensis, Tyicyrtis dilatata, Hosta capitata, Clematis trichotoma et at.

Ecology as a New Paradigm and Environmental Justice (생태학의 재인식과 환경정의)

  • 최병두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spc
    • /
    • pp.709-719
    • /
    • 1998
  • 오늘날 세계는 물질적으로 풍요롭게 되었지만, 생태위기의 발생과 더불어 환경문데를 둘러싼 불평등이 감소하기 보다는 오히려 증대하고 있다. 21세기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생태학은 이러한 불평등을 극복하기 위한 지식 및 실천으로서 '환경정의'의 개념 또는 이론을 필요로 한다. 진정한 환경정의론은 한편으로 생태학의 규범적 측면들을 발전시키면서 다른 한편으로 이의 이데올로기의 동원을 막을 수 있는 이론적 및 실천적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정의에 관한 개념적 연구는 주로 사회정의에 관한 철학적 전통, 특히 자유론, 공리주의, 계약론을 포괄하는 자유주의적 정의론, 맑스주의적 정의론 및 포스트모던 정의론 등에서 도출된 주요 개념들을 자연환경에 확대시키고자 한다. 환경정의에 관한 몇몇 학자들, 대표적으로 벤쯔(Wenz), 하비(Harvey), 로와 그리슨 (Low and Gleeson) 등은 다양한 전통을 위에서 제시한 (환경)정의론들을 면밀히 고찰하여, 이들 각각의 한계를 제시하거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나아가 이들을 종합하고자 했다. 이들의 연구는 환경정의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지만, 그 자체로 일관성 있는 이론으로 발전하지는 못했다. 이 글에서 제시되는 환경정의론은 인간들 간의 관계, 자연과 인간들 간의 물질적 관계, 그리고 상징적 관계 등에 상응하도록 정의를 3가지 차원, 즉 분배적 정의, 생산적 정의, 승인적 정의로 구분하고자 한다. 이들은 각각 필요의 원칙, 노동의 원칙, 그리고 의사소통의 원칙에 기초하며, 또한 각각 자유주의적, 특히 롤즈의 정의론, 맑스주의 정의론, 그리고 비판이론이나 포스트모던 정의론에서 많은 시사점들을 얻을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Creating Alternative Habitats through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환경영향평가 협의 시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 Shim, Yun-Jin;Park, Yong-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22 no.5
    • /
    • pp.69-7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guideline that can be used as a standard for consultation and review b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sultation and review practitioner to enhance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creating alternative habitats. The consultation stag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as significantly divided into 1) preparation of draf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s and gathering of consensus thereon, 2) prepar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s and consultation thereon, 3) follow-up survey of environmental impacts(under construction) and 4) follow-up survey of environmental impacts(in operation).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procedures of creating alternative habitat by each consultation stage were linked in order of 1) planning, 2) designing, 3) construction, and 4) post-monitoring and maintenance. The basic principles were also proposed for each stage of consultation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rocedure for the creation of alternate habitats. Then, issues and methods to be reviewed by the consulting agency and review agenc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ere presented in detail. The guideline of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not only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sultation and review practitioner, but also to developers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gents who plan, construct, and manage alternative habitats.

Water Industry Innovation for Climate Response (기후 대응 물 산업 혁신)

  • Lee, HwaRyeong;Kim, Sha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17-517
    • /
    • 2022
  • 세계는 기후 위기, Covid-19에 직면함에 따라 물 산업 분야 탄소감축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GWI(Global Water Intelligence)에서는 2030 물 분야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17억 8,500만 달러, 노후자산 교체를 위한 신규 인프라 건설에 40억5600만 달러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물산업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물 기업 혁신 전략 마련에 앞서 '영국 물 산업 2050 혁신 전략' 사례를 고찰하였다. '영국 물 산업 2050 혁신 전략'은 물 산업의 변화를 자극하고 장기적으로 고객과 환경, 그리고 국제사회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본 전략은 현재와 미래에 제공할 물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과 이해관계자의 요구(Needs)에 집중한다는 특징이 있다. 문제점에 대한 시스템적 관점을 취하면서, 물 부문이 더 넓은 사회적 요인(물, 식량, 에너지 등)에 대해 대응할 수 있는 역할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산업 인프라 및 환경 관련 다양한 부문 간 협력에 의한 시너지 창출은 온실가스 배출 'Zero'(2050년) 목표 달성에 한발 다가설 것으로 기대되며, 에너지, 제조, 데이터 과학, 식량 안보, 생태 복원 등의 분야는 물 산업 간 연계성이 높아 물 분야 혁신의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물 산업 혁신 전략으로 첫째, 중장기적인 혁신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 혁신 센터를 설치하여 인적·물적 자원을 네트워크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물 분야 데이터 개방을 통하여 일반, 학계, 중소기업, 스타트업 등과 공동성장 지원을 제시하였다. 셋째, 다양한 물 문제와 경영 의사결정에 환경성을 고려할 것을 제시하였다.

  • PDF

Biodiversity Change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Weir Section of the Nakdong River, South Korea (낙동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변화와 군집 특성)

  • Jung, Sang Woo;Kim, Yoon-Ho;Lee, Jae-Ha;Kim, Dong-Gun;Kim, Min-Kyung;Kim, Hyun-Mac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6 no.2
    • /
    • pp.150-164
    • /
    • 202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iodiversity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 the Nakdong River with eight weirs, which was constructed as one of the Four Major River Restoration Projects from May to October 2020. The study also includes the analysis of changes in the major group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or about ten years, from 2010 to 2020. The surveys collected 97 speci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belonging to 83 genera, 52 families, 18 orders, five classes, three phyla, and 128.1 individuals/m2. Chironomidae sp. and Tubificidae spp., which are pollutant indicators, dominated throughout the sections. The community analysis result shows the average dominant index and the diversity index of 0.62±0.20 and 1.87±0.63, respectively, and indicated the most stability of the freshwater ecosystem in the upper stream of the Nakdong River. The survey showed dominance by Chironomidae sp. at the center of the Nakdong River weir and the most unstable community in Chilgok and Gangjeong Goryeong weirs. The results of the community stability analysis showed a high distribution of the characteristic group I with high resilience and resistance and small distribution of characteristic group III with low resistance and resilience, indicating a very unstable condition of communities in the Nakdong River weir section. Predators were relatively abundant among the functional feeding groups (FFGs), whereas shredders, gathering-collectors, and filtering-collectors were relatively lower. Among the habitat orientation groups (HOGs), burrowers and climbers were dominant, indicating a wide distribution of groups in ecosystems with low dissolved oxygen. An endangered species level II of Macromia daimoji was found in Sangju and Nakdan weirs. The analysis results for 10 years from 2010 showed that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the dam construction but plummeted in 2016 and are now stabilizing. Chironomidae spp. has been dominant in all sections over the past 10 years, and they are currently maintained at a rate of about 50%. The EPT groups have de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11, and the Plecoptera and Trichoptera of the group have not yet been restored. The population of Tubificidae spp. showed an increase after construction was completed in 2012 and drastically increased in 2015 and 2020. The species of Cristaria plicata, 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level I, has not been observed since 2011 in Hapcheon Changnyeong weir. Moreover, Macromia daimoji was rarely observed in seven weirs until 2015,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urrent distribution habitat has decreased rapi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