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학적 접근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omparisons of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Landscape Design and the Apartment Skylines (생태학적 조경설계 평가와 아파트 스카이라인의 비교)

  • Kwon, Sang-Z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1 no.1
    • /
    • pp.90-100
    • /
    • 2003
  • 본 연구는 건축고도제한에 의해 생태학적 조경설계는 어떻게 통제되며, 또한 생태학적 조경 설계가 무엇인가를 구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두 가지 다른 단지를 비교하여 건축물 스카이라인이 주변경관과 조화로운 심미적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영향에 관하여 고찰할 수 있다. 이 비교를 통하여 스카이라인 통제가 아파트단지 계획과 설계에서 생태학적 조경설계에 영향을 주는가를 검증하게 될 것이며, 스카이라인이 통제된 아파트단지가 조경시설 설계에 있어서 전체적, 역동적, 반응적, 직관적 접근을 할 때 상대적으로 우선성을 표출할 수 있을 것이다. 아파트단지 계획·설계에 있어 건물고도제한이 적절하게 검토되어 스카이라인의 통제를 더 강하게 할수록 아파트단지에서 만들어진 조경환경의 특성이 강조되고 강화한 경관이 더 조화롭게 된다는 점에서 경관에 유용하고 편익이 있다. 생태학적 조경설계의 평가사항은 자기 지속적, 자연적·문화적 정체성, 개연적 외관, 생태학적 접근으로 이뤄진다는 전제 아래 세부사항 18개 항목을 표출하였다. 또한 스카이라인 통제는 자연적 경관을 보전하고 수목이 단지의 안팎으로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녹지 네트워크와 야생 동물 코리도를 획득하기 위하여 독특한 경관을 설계하고 개성적인 것으로 도출하여 조화로운 심미성을 이룩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계량적으로 표출하였다. 아파트단지의 경관에서 의미 있는 것은 다양한 접근으로 설계되고 건물 스카이라인 통제방법을 강화함으로써 관리되는 스카이라인의 실루엣이 다양하고 개성적 형태를 표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스카이라인의 영향과 생태학적 조경설계가 계량적 요소에 의해 상대적으로 비교될 수 있으며, 생태학적 조경설계의 평가시설지표는 보다 세분화됨으로써 전체적인 설계요소의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Geoecological Situation and Promotion of Mountain Settlements in Korea (I) (한국 산지촌의 실태와 진흥방안에 관한 연구 (I) -강원 남부지역의 산지촌을 사례로 한 경관생태학적 접근-)

  • 김일기;이민부;박승규;전종한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1
    • /
    • pp.27-46
    • /
    • 1999
  • 이 글은 상대적으로 연구 성과가 미비하고 그 접근방식도 다양하지 못했던 기존의 산지촌 연구를 회고하면서, 경관생태학적 관점을 활용하여 산지촌의 분포지역을 세분하고 이 틀 속에서 산지촌에 접근하자고 하였다. 특히 산지촌들이 생태지역에 따라 그 존립방식에 있어서 내적 차별성을 보인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연구지역은 산지촌이 전형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강원 남부지역의 태백산맥 일대로서 지형경관, 사면경사도, 해발고도 등에 의거하여 세 개의 생태지역으로 세분될 수 있었다. 고위평탄면지역 산지촌, 고위산간지역 산지촌, 그리고 급사면산간지역 산지촌이 그것이다. 이러한 생태지역의 개념에 기초하여 먼저 산지촌의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추적해본 후, 자연경관, 촌락의 분포 패턴, 생활방식 등을 생태지역별로 비교하면서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출된 세 곳의 생태지역, 생태지역별 자연경관 및 생활양식의 차별성, 산지촌 생활의 현실태, 촌락존립상의 문제점 등은 산지촌의 진흥방안을 모색하는 데 매우 중요한 관점과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고에서 사용한 경관생태학적 방법론은 연구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적용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전국의 산지촌으로 확대될 때 현실에 바탕을 둔 산지촌의 진흥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A Study on Design Directives for the Elderly Housing Environment -based on an ecological approach- (생태학적 접근으로 본 노인 주거환경계획 지침에 관한 연구)

  • 우정민;홍형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 /
    • 1999.04a
    • /
    • pp.11-15
    • /
    • 1999
  • By taking an ecological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analyze the existing literary work about design directives for the elderly housing, 2. case study about actual housing conditions of elderly people, and analyz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level of requirement about housing environment by Korean elderly, By integrating the above three, suggested foundational data arranging the appropriate housing design directives pertaining to Korea's catual circumstances.

  • PDF

An Ecologcial Approach to the Study of Family Welfare: A Review of Literature (가정 복지의 생태학적 접근)

  • 윤종희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9 no.8
    • /
    • pp.93-106
    • /
    • 2001
  • The primary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d intervention programs designed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in dealing with issues on family welfare. This study cites several research evidence that indicates why an ecological model is a relevant alternative to investigate issues in family welfare. The strengths of the ecological approach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 PDF

School Adjustment of Korean-Chinese Children : Ecological Factors in Yanbian (연변 조선족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 Cho, Bokhee;Lee, Kwee-ock;Park, Hyewon;Lee, Jin Suk;Han, Sae-young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25 no.3
    • /
    • pp.127-140
    • /
    • 2004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8 Korean-Chinese parent-child dyads of an elementary school in Yanbian Province, northeastern China. Research questions covered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ecological factors, significance of factors within ecological levels,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 causal relationships. Resul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within each ecological level. Achievement motivation of the individual system, home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of the microsystem, and mother's job satisfaction in the exosystem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other's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through home environmen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was mediated by achievement motivation. Personal and general factors from each ecological level were more significant than ethnic related factors in explain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PDF

A Classification of Studies on Human Values in Home Management : With a Two-Dimensional Model for Measurement, as Proposed by Schlater & Sontag (가정관리학에서 가치에 관한 연구의 분석 : Schlater와 Sontag의 2차원 가치측정모델의 적용)

  • 황덕순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3
    • /
    • pp.124-132
    • /
    • 1995
  • 본 연구는 Schlater와 Sontag가 인간생태학적 관점에 기초하여 제시한 가치측정 모델에 의하여 국내 가정관리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인간의 가치에 관한 연구를 분류하였다. 2차원의 매트릭스로 구성된 이 모델은 가치연구를 가치조사의 초점에따라 내용과 구조, 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또한 피험자-가치대상 포함관계에 따라 3가지 측정접근법 즉, 피험자 단독, 피험자-가치대상 반응적, 피험자-가치대상 상호작용적 접근법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모델을 분석도구로 사용하여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창가호부터 1995년 13권 1호까지와 대한가정학회지 1983년 21권 1호부터 1995년 33권 1호까지에 수록된 논문중 인간의 가치를 연구한 논문과 몇편의 학위논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연구들은 측정접근법상 피험자 단독 접근법이나 피험자-가치대상 반응적 접근법을 사용하면서, 내용에 초점을 두고 연구된 것을 알 수 있다. 미래의 가치연구방법으로 인간생태학적 접근법인 피험자-가치대상 상호작용 접근법과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요구되며, 우리나라 가치측정패턴에서만 특히 부족한 구조에 초점을 두는 것 또한 요구되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