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적 연결성

Search Result 25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Recent changes in springtime discharge and nutrient fluxes to the vicinity of the Korean Peninsula (2012-2021) (봄철 한반도 연안으로 유입되는 하천 유량과 영양염류 유출량 변화량 (2012-2021))

  • Ye Na Kim;Jong Hun K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5-145
    • /
    • 2023
  • 육지의 영양염류는 강수를 통해 강을 따라 바다로 흐른다. 연안 수질과 생태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계를 통해 연안으로 배출되는 육상 영양염류 유출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제한적인 수량과 수질 동시 관측자료로 인해 한반도 연안으로 유입되는 영양염량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내륙에서 주변 연안 지역으로 유출되는 영양염류의 유출량과 그 변화량을 추정 및 분석하고 유출량에 대한 수량과 수질 변화의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2012-2021년 봄철(3-5월)에 한반도 연안 주변의 75개의 하천 지점에서 측정된 수질 농도 및 유량 관측 데이터와 한반도 연안 375지점에서 측정된 해양 수질 농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더불어 22개의 해안지역 하천 유량 관측소와 근접한 수질 관측자료를 통해, 총 질소(TN), 총 인(TP), 클로로필a의 봄철 영양염류 유출 총량을 추정하고 그 변화량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영양염류 유출 변화량을 모델 수식으로 분해하여 유출 총량 변화량에 대한 하천 유량과 영양염류 농도 변화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연간 봄철 TN, TP, 클로로필a 유출 총량의 변화율이 영양염류의 농도 (각각 19%, 48%, 5%)보다는 하천 유량 (각각 84%, 51%, 91%)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주었다. 한반도 연안을 서해, 남해, 동해로 나누어 영양염류 유출 총량을 분석한 결과, 한반도 전체 유출량에서 서해의 가장 큰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한반도 내륙에서 유출된 영양염류 총량이 연안의 수질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내륙 하천과 연안의 수질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간접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적인 접근을 통해 하천과 연안 수질 환경에서 수문학적인 연결고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영양염류 유출 변화가 해안에 서식하는 생태계와 양식산업 생산성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을 강조하였다.

  • PDF

Green Spaces in the Urban Peripheries of Metropole Reg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Focused on Berlin, Milano and Seoul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도시 외연부 녹지 활용 사례연구 - 베를린, 밀라노, 서울을 대상으로 -)

  • Hoh, Yun Kyeong;Chae, Jin-H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6 no.1
    • /
    • pp.72-85
    • /
    • 2018
  • This study focused on cases that led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rough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organic greenery systems linking green spaces of urban peripheries with metropolitan areas. To that end, Berlin - Brandenburg's regional parks in Germany and Milan's Raggi Verdi, a radial green axis project, in Italy were selected for analysis as case studies. As frameworks for this analysis, this study has established existing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and linkage, recycling and cooperative management.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pecialized spatial strategy based on the individuality of the green space outside the city rather than a uniform landscape was used as the founda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Second, physical linkage from the center of the city to the periphery contributed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overall metropolis by improving the economic value of the surrounding area as well as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values. Third,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was established to reduce the administrative inconvenience caused by multiple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he green space of urban periphery. The implications of applying the above results to Seoul, Korea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ifferentiation strategy by re-establishing the identity of a green landscape in the urban periphery, because the green spaces of Seoul's periphery are dispersed and mostly have a repetitious mountain landscape. Also, it is necessary to actively link peripheral mountains and urban green areas to create ecological value and economic value, and ultimately to help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ity. Finally, building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to solve fragmented green space management departments in most of the urban periphery's green space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nt possibility tha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 metropolis can be derived from the utilization, linkage, and management of the green space in the urban peripheries, which is extraordinary compared to normal centralized urban development.

Meaning Structure of Green Infrastructure - A Literature Review about Definitions - (그린인프라스트럭처의 의미구조 - 기존문헌의 정의문 분석을 중심으로 -)

  • Lee, Eun-Sek;Noh, Cho-Won;Sung, J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2 no.2
    • /
    • pp.65-76
    • /
    • 2014
  • Green Infrastructure(GI) is suggested to recover urban water circulation system as a newly conceptual alternative methodology by Korean landscape field in recent years. In this context, the study considers the essential meaning of GI.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literature review with 47 published papers which were peer-reviewed in international journals in the recent 5 years. These papers were collected from online database and academic archives. The main analysis targets are definition sentences about GI. The each sentences were interpreted by semantic structure between verbs and objects in the definition sentences. As the results, it figured out 5 aims('Provide', 'Improve', 'Produce', 'Conserve', 'Reduce'), 4 objects('Humanistic', 'Environmental', 'Ecological', 'Hydrological') and 3 spaces('Object space', 'Technically available spaces', 'Object or technically available spaces'). The '5 aims' connected with the elements of '4 objects' based on the '3 spaces'. The elements was connected to the '5 aims' via single form or 2~3 forms of the essential meaning networks of GI. The study provides 83 meaning networks to use landscape architecture planning and urban planning.

The Periodical Trend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Mass Media - Focused on the 1920s and 1990s - (매스미디어를 통해 본 도시재생의 시대적 동향 - 192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

  • Kim, Sa-rang;Lee, Je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7 no.2
    • /
    • pp.28-48
    • /
    • 2019
  • This research is aimed at identifying the perception associated with urban regeneration and predicting policy implications of future directions by analyzing the trend of urban regeneration depicted in the mass media by utilizing SNA (Semantic-Network Analysis) techniques. As the number of articles has increased, it is noted through analysis that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henomena and issues have combined to form the meaning of urban regeneration. Overall, 'urban' and 'regeneration' keywords also appeared at different periods, with 'urban' closely related to 'regeneration' starting in 1970 when urbanization was becoming more prevalent. It was analyzed that the frequency of 'urban' appeared more frequently in the early 1990s, while the frequency of 'rural' decreased sharply. Until the 1990s, the slums and the recession that appeared as side effects of urban problem-solving policies were mostly concentrated in cities. Policy discussions were conduct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ities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the surrounding rural areas. The distributions of the keywords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have increased quantitatively since the 1970s, and urban polarization has explod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external growth of cities, mirroring the trend of accelerated environmental threats. In particular, the keywords for 'regeneration' emerged mainly related to environmental problems, which led to the need for urban regeneration, and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friendly development. The emergence of "urban," "regeneration" and "environment" as keywords having to do with urban regeneration grew in the 1990s. This suggests that urban regeneration is now linked to "environment", as that has become a social issue.

Eco-friendly Design of Horticultural Complex through Application of Saemanguem Areas (시설원예 단지의 친환경적 조성 계획의 새만금지역 적용 연구)

  • Son, Jinkwan;Kang, Taegyoung;Kang, Donghyeon;Lim, Ryugab;Kim, Changhyun;PARK, Minjung;KONG, Minja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2 no.4
    • /
    • pp.225-238
    • /
    • 2020
  • The agricultural landscape is considered an important space to provide service functions, but the reality is that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oblems are being reported in the creation of a facility horticulture complex.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agriculture by creating a more eco-friendly facility horticultural complex. The elements of planning for eco-friendly development of the facility horticultural complex were derived from literature and expert surveys. The master plan and the bird's-eye view were then applied to the Saemangeum area by applying the planning elements. After analyzing the method of selecting and deploying input elements for improving functions, it was suggested that low-flow areas, wetlands, artificial storage facilities, green spaces, and waterways should be placed in harmony with the landscape and that the building-to-land ratio should be applied at 55%. The final design was prepared by applying the ecological service function improvement plan proposed by experts. The final bird's-eye view also reflected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connection of wetlands to waterways, packing of pitchers, and connection of green are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and budget allocation for the eco-friendly creation of horticulture facilities and contribute to sustainable agriculture by contributing to national biodiversity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I 음성인식 기반 차량 인포테인먼트 포렌식 기술 동향

  • Shin, Yeonghun;Kim, Minju;Jeong, Daan;Shon, Taeshik
    • Review of KIISC
    • /
    • v.29 no.6
    • /
    • pp.23-28
    • /
    • 2019
  • 최근의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모바일 네트워크 및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과거에는 제조사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OEM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주를 이뤘지만, Android Auto, Apple CarPlay, Amazon Echo Auto 등의 개방형 플랫폼 생태계가 구축됨에 따라 다양한 차량들이 AI 음성인식 기반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연동되며, 사용자에 대한 방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On-Demand 서비스 등 다양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차량에 연동하여 사용하는 만큼 개인정보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같이 포렌식 관점에서 많은 증거를 획득할 수 있는 매체가 된다. 더욱이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시스템이기에 기존 모바일 포렌식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대상으로 수행된 포렌식 연구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의 포렌식 기법과 보완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The Concept of 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s And Its Implication On Mitigation Of Peak Flows In Urban Catchments (DCIA 개념을 이용한 도시유역 첨두홍수량 저감방안)

  • Hwang, Junshik;Seo, Y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3-53
    • /
    • 2017
  • DCIA(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 및 EIA(Efficient Impervious Area)의 개념은 불투수층의 하위 개념으로서, 배수관망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는 불투수층이다. DCIA는 하천 생태계의 건전성을 예측함에 있어 전체 불투수지역 자료를 사용하는 것보다 정확성이 높다. DCIA의 가장 큰 장점은 도시환경에서 녹색 사회기반시설(green infrastructure)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에 녹색 사회기반시설 설치에 따른 영향분석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밀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DCIA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출량 해석을 수행한 결과 전체 불투수지역 자료를 사용한 것 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대상유역의 녹색 사회기반시설 설치에 따른 유출량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DCIA와 폭함수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녹색 사회기반시설 설치에 따른 DCIA의 감소율에 따라 첨두홍수량 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유역의 홍수량 저감방안으로서 DCIA 분석을 기반으로 한 녹색 사회기반시설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The Concept of 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s And Its Implication On Mitigation Of Peak Flows In Urban Catchments (DCIA 개념을 이용한 도시유역 첨두홍수량 저감방안)

  • Hwang, Junshik;Kwon, Youjeong;Seo, Y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5-65
    • /
    • 2019
  • DCIA(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 및 EIA(Efficient Impervious Area)는 불투수층의 하위 개념으로서, 배수관망과 직접 연결된 불투수층을 지칭한다. DCIA는 하천 생태계의 건전성을 예측함에 있어 전체 불투수지역 자료를 사용하는 것보다 정확성이 높다. DCIA는 도시환경에서 녹색 사회기반시설(green infrastructure)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에 녹색 사회기반시설 설치에 따른 영향분석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정밀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DCIA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출량 해석을 수행한 결과 전체 불투수지역 자료를 사용한 것 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대상유역의 녹색 사회기반시설 설치에 따른 유출량의 변화를 평가 결과 그린인프라 설치로 이한 DCIA의 감소와 이에 따른 첨두홍수량 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유역의 홍수량 저감방안으로서 DCIA 분석을 기반으로 한 녹색 사회기반시설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A Study on the Site Selection Method for the Creation of a Flood Buffer Section Considering the Nature-based Solution - Case Study from Upstream of Daecheong Dam to Downstream of Yongdam Dam (자연성기반기술의 홍수완충구간 조성을 위한 입지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 대청댐 상류부터 용담댐 하류구간 사례 연구)

  • Ji, Un;Jang, Eun-kyung;Bae, Inhyeok;Ahn, Myeonghui;Bae, J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9 no.3
    • /
    • pp.131-140
    • /
    • 2022
  •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extreme floods are increasing owing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Therefore, multipurpose flood management techniques incorporating nature-based solutions have been introduced to mitigate the limitations of flood management and river design methods relying on existing observation data. Nature-based solutions to prepare for such extreme flooding events include ways to retreat the embankment, expand the floodplain, and reduce flood damage. To apply these technologies, adopting appropriate location selection methods based on various evaluation factors, such as flood damage reduction effects, sustainable ecological environments, river connectivity, and physical channel structure enhancements, should be prioritiz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optimal location for implementing the multipurpose floodplain construction project was determined by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floodplain expansion with objectivity in the river waterfront area upstream of Daecheong Dam to downstream of Yongdam Dam. Through the final location determination, the Dongdaeje and Jeogokje sections were included in the optimal location considering both flood damage reduction and water environment improvement.

자율주행자동차 개발 동향

  • Kim, Yong-Hun;Kim, Hyeon-G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5
    • /
    • pp.10-18
    • /
    • 2017
  • 본고에서는 자율주행 완성차와 자율주행 융합 부품 관련 기술과 국내외의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정책과 기술 개발 동향을 살펴본다. 자율주행 차량은 고안전, 고편의, 친환경, 신생태계의 자동차 산업에서의 4가지 미래 키워드를 만족시키는 기술로서 국가차원의 전략적 양성이 필요하다.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은 자동차 산업 생산기반 및 우리나라의 IT, 반도체 등의 기술 활용이 가능하며, 아직 상용화 되지 않은 분야로서 자율주행 분야의 상용화 기술 조기 확보 시 세계시장을 선점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율주행 완성차 및 부품업체 등의 복수 수요기관이 참여하여 중소, 중견 부품업체 수요처 다각화 및 생태계 체질 개선, 자율주행 핵심부품 및 제어를 위한 SW 등 원천기술 확보 및 수입대체, 자율주행 기술과 관련 센서 선도기술 개발 및 글로벌 중견기업 육성을 기대 할 수 있다. 또한 빠르게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전장 부품이 자동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서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전기전자 시스템의 기능안전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자동차 전자제어 시스템 의무 장착을 강화시키는 추세이며 차량 안전 확보를 위해 전자제어장치의 기능 안정성의 중요성과 기술 표준의 필요성을 기반으로 자동차 기능 안전선 국제 표준을 규격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외의 자율주행차량 분야의 산업 현황과 기술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시장의 현황을 파악하고 자동차 기능 안전성 국제 표준에 관하여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