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적 건전성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Effect of Ecological Restoration and Water Purification of Ecological Fish-way and Floodplain Back Wetland Created as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e at Maeno Stream (매노천에서 생태적수질정화비오톱(SSB)으로 창출된 생태어도 및 홍수터 배후습지의 생태계 복원과 생태적 수질정화효과)

  • Byeon, Chan-Woo;Kim, Yong-M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6
    • /
    • pp.508-523
    • /
    • 2017
  • This study monitored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restoration of ecological stream focusing on the places which are applied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SSB) system and ecological Fish-way for restoration of Maeno stream. A total of 11 species and 191 individuals of fishes were founded out which were not verified inhabitation before restoration at SSB wetlands. Especially, it was could identified that micro habitat and healthy Fish-way was created because the restored target species, Microphysogobio yaluensis and Iksookimia koreensis were identified that habitation was monitored in SSB wetland. Amphibian have been restored to a number of Rana nigromaculata found in and around wetlands at the time of the third survey, which is highly active after restoration. Specified endangered species class 1 and natural monume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Lutra lutra lutra, as a Mammalian, uses the wetlands and ecological Fish-way as habitat areas, and the his habitat is restored. In the case of Flora, vascular plants emerging in the survey area were increased to 7 and 13 species before restoration and 15 and 19 species directly after restoration, and 22 species and 33 species after restoration.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was found to be a basic producer of various ecosystems and a plant community that contributes to the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such as Phragmites japonica communities. As the result of water quality monitoring, the average of treatment efficiencies were BOD 64.3%, T-N 47.2%, T-P 80.7%. Successful treatment of the nonpoint pullution source, which is a limiting factor to disturb the ecosystem, creatively restored the target species in the water quality class I, II.

A Study on the Irrigation Reservoir to prevent Drying Stream (건천화방지를 위한 농업용수 개발방안)

  • Choi, Nag-Weon;Choi, Hyun-Il;No, Hwang-Won;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90-394
    • /
    • 2009
  • 우리나라의 강우특성 및 지형여건상 최근 농촌지역 하천의 건천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전통적인 농촌지역 하천의 기능이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건천화 원인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은 극히 저조하다. 농촌지역 소하천의 건천화 원인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각각의 원인에 따라 방지 대책이 달라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일률적인 방지책을 시행하고 있어 그 효율성이 불확실한 상태이다. 농촌지역 소하천 건천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는 기존 저수지 유지수량 미확보, 유휴지 난개발, 지하수 과다사용, 무분별한 하천개수, 하천 퇴사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원인분석 없기 때문에 개략적인 방지 대책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중소하천의 생태환경 건전성을 위해서 농업저수지를 비롯한 농업용수의 하천유지용수 공급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정한 농업용수의 하천유지유량 공급방안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농촌 소하천 유역에서 상류에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는 우선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함에 따라 소하천들은 수문순환 과정이 인위적으로 단절되어 심각하게 건천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안정적인 하천유지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촌 소하천의 건천화에 따른 하천수의 부족은 용수확보의 불가능, 수질오염의 심화 등의 문제를 초래함으로써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손실을 가져오고 있으며 하천이 갖추어야할 친수공간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주민들이 여가 활용과 휴식공간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농업용저수지의 시설규모를 확장하여 추가적으로 하천유지용수를 확보함으로써 하천의 건천화를 예방하고 향후 확장 가능한 농업용수 전용저수지의 설계방향을 제시코자 한다. 기존저수지의 지역적 요소 및 환경적 요소를 감안하여 저수지 증고에 의한 재개발 방향을 검토 분석하여 물부족에 의한 하천 건천화를 예방하고 추가 용수량의 확보를 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겠다.

  • PDF

Development of the Roadmap of Water and Green Growth (물과 녹색성장을 위한 로드맵 구축)

  • Lim, Kwang-Suop;Chae, Hyo-Sok;Lim, Jeong-Yeol;Shin, Yee-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54-454
    • /
    • 2011
  • 녹색성장은 최근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세계물위원회(World Water Council, WWC)의 경우 2012년 마르세유에서 개최되는 제6차 세계물포럼(World Water Forum, WWF)에서 물문제 해결을 위한 신개념 패러다임으로서 '녹색성장(Green Growth)'을 채택하기 위한 협력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녹색성장을 국가 슬로건으로 선정하고 글로벌 녹색성장연구소(Global Green Growth, GGGI)를 설립하는 등 녹색성장을 선도하고 있다. 이는 물의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녹색성장을 물 분야에 확산시킬 수 있는 적절한 기회로 보인다. 녹색성장은 물 관련 환경서비스가 환경오염 없는 경제성장을 이룩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당위성에서 파생된 최근에 만들어진 개념으로서, 물 분야의 경우 녹색경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으며 이후 지속적인 인구증가, 물 소비패턴의 변화, 에너지비용 증가, 기후 변화 등으로 물 분야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물 관리는 경제발전, 재해로부터 보호, 인간의 건강 및 생태계와 삶의 질을 위하여 필수적이기에 녹색성장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올바른 물 관리가 녹색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화 구체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녹색성장을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의 패러다임으로 구축하기 위해 수자원분야에서의 녹색성장방법론을 정립하고, 선진국과 개도국 정부들의 균형 있는 참여를 통한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세계물위원회 등 국제기구와 공동으로 연계시킨다면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물관리는 국가의 경제발전, 재해로부터 생명과 재산의 보호, 인간의 건강 및 생태계 다양성 및 건전성 유지와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환경보존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녹색성장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도 가장 핵심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올바른 물 관리가 녹색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고 구체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과 녹색성장'의 이론적 배경, 필요성, 개념정립, 벤치마킹 사례, 국제사회에서의 녹색성장과 관련한 논의 기구 및 흐름 등의 이해를 기초로 녹색성장을 통한 경제성장의 상호작용과 선순환구조를 체계화시키기 위한 균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수자원 및 하천관리 분야에서의 WGG구현을 위한 정책제안 및 실행방안이 담긴 중장기 로드맵을 구축하여 물을 통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The Status of Ramsar wetlands in India: A review of ecosystem benefits, threats, and management strategies (인도 내 람사르 습지 현황 : 생태계 이점, 위협 및 관리 전략)

  • Farheen, K.S.;Reyes, N.J.D.G.;Jeon, M.S.;Kim, L.H.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4 no.2
    • /
    • pp.123-141
    • /
    • 2022
  • Wetland also known as "Jheelon" in Hindi langu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ural resources, contributing various economic and ecological benefits. The study gave a short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Ramsar wetlands in India. The wildlife species, conservation measures, and their significance in Indian wetlands were also explored in this review paper. As of 2022, there are 49 Ramsar sites in India covering approximately 1,09363.6 km2 of land. The largest Ramsar wetland is Sundarbans, while the smallest is Chandertal. It was found that preventing wetland loss is important even though studies about wetland degradation in various nations including India, caused directly by human activities is still limited. Since Monitoring and protecting natural wetlands, supporting scientific studies on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s, demand on imposing regulations for limiting pollutant discharges were recommended allowing researchers,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to better maintain wetland and its ecosystem services.

Study on Development of River Synthesis Management Index (하천종합관리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Choi, Si-Jung;Lee, Dong-Ryul;Baeck, Seung-Hyub;Hong, Seung-Jin;Kang, S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34-734
    • /
    • 2012
  • 국내에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하천을 이수, 치수, 하천환경 등 기능별로 구분하여 관리해 오고 있다. 하지만 하천을 보다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며 하천의 현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천을 평가하기 위해 제방축조율, 수질 등 다양한 하천지표 및 평가기법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치수 이수 환경 친수 등 하천의 다양한 기능 중 특정 기능들에 대해서만 단편적으로 진단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4대강 사업, 생태하천조성 등 다양한 하천사업이 시행되고 있어 그 성과와 필요성을 정량적으로 평가 관리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며, 하천 기능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매우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한 하천종합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하천의 기능인 이수, 치수, 하천환경 및 친수 요소간의 조화와 평가가 가능한 정량적 지표 및 지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보다 건전한 하천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국가 수자원 정책 결정 시 정책결정자가 보다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통한 분석정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대안을 도출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여러 가지 정보를 종합한 지표를 통해 보다 쉽게 얻을 수 있다. 하천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지표화함으로써 정책결정자는 여러 가지 경우를 고려한 다양한 대안을 검토할 수 있게 되어 최적의 대안 도출이 가능해진다(건설교통부, 2006). 본 연구에서는 한정된 수자원을 다양한 목적과 제약조건을 충족시키면서 효율적으로 이용, 보전하기 위해 하천의 다양한 정보의 연계, 공유를 통한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하고자 하천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다수의 대리변수를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된 대리변수들 중 하천의 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 대리변수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잠재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잠재지표를 이용하여 하천의 각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하천종합관리지표를 개발하여 국내 국가하천에 적용함으로써 하천 특성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개발된 지표를 통해 국내 하천관련 사업에 대한 B&A 분석을 수행하여 사업 성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표는 하천관련 사업의 전, 후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사업효과를 분석할 수 있으며 하천관련 사업의 효과에 대한 대국민 홍보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the Graded Wildlife Dose Assessment Code K-BIOTA and Its Application (단계적 야생동식물 선량평가 코드 K-BIOTA의 특성 및 적용)

  • Keum, Dong-Kwon;Jun, In;Lim, Kwang-Muk;Kim, Byeong-Ho;Choi, Yong-H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40 no.4
    • /
    • pp.252-260
    • /
    • 2015
  • This paper describes the technical background for the Korean wildlife radiation dose assessment code, K-BIOTA, and the summary of its application. The K-BIOTA applies the graded approaches of 3 levels including the screening assessment (Level 1 & 2), and the detailed assessment based on the site specific data (Level 3). The screening level assessment is a preliminary step to determine whether the detailed assessment is needed, and calculates the dose rate for the grouped organisms, rather than an individual biota. In the Level 1 assessment, the risk quotient (RQ)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actual media concentration with the environmental media concentration limit (EMCL) derived from a bench-mark screening reference dose rate. If RQ for the Level 1 assessment is less than 1,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ecosystem would maintain its integrity, and the assessment is terminated. If the RQ is greater than 1, the Level 2 assessment, which calculates RQ using the average value of the concentration ratio (CR) and equilibrium distribution coefficient (Kd) for the grouped organisms, is carried out for the more realistic assessment. Thus, the Level 2 assessment is less conservative than the Level 1 assessment. If RQ for the Level 2 assessment is less than 1,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ecosystem would maintain its integrity, and the assessment is terminated. If the RQ is greater than 1, the Level 3 assessment is performed for the detailed assessment. In the Level 3 assessment, the radiation dose for the representative organism of a site is calculated by using the site specific data of occupancy factor, CR and Kd. In addition, the K-BIOTA allows the uncertainty analysis of the dose rate on CR, Kd and environmental medium concentration among input parameters optionally in the Level 3 assessment. The four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of normal, lognormal, uniform and exponential distribution can be applied.The applicability of the code was test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IAEA EMRAS II (Environmental Modeling for Radiation Safety) for the comparison study of environmental models comparison, and as the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 K-BIOTA would be very useful to assess the radiation risk of the wildlife living in the various contaminated environment.

Post Closure Long Term Safely of the Initial Container Failure Scenario for a Potential HLW Repository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불량 용기 발생 시나리오에 대한 폐쇄후 장기 방사선적 안전성 평가)

  • 황용수;서은진;이연명;강철형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2 no.2
    • /
    • pp.105-112
    • /
    • 2004
  • A waste container, one of the key components of a multi-barrier system in a potential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HLW) repository in Korea ensures the mechanical stability against the lithostatic pressure of a deep geologic medium and the swelling pressure of the bentonite buffer. Also, it delays potential release of radionuclid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it is corroded by intruding impurities. Even though the material of a waste container is carefully chosen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es are under quality assurance processes, there is a possibility of initial defects in a waste container during manufacturing. Also, during the deposition of a waste container in a repository, there is a chance of an incident affecting the integrity of a waste container. In this study, the appropriate Features, Events, and Processes(FEP's) to describe these incidents and the associated scenario on radionuclide release from a container to the biosphere are developed. Then the total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on the Initial waste Container Failure (ICF) scenario was carried out by the MASCOT-K, one of the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tools KAERI has developed. Results show that for the data set used in this paper, the annual individual dose for the ICF scenario meets the Korean regulation on the post closure radiological safety of a repository.

  • PDF

The Evaluation of River Naturalness Improvement Using AHP (AHP를 이용한 하천자연도평가법 개선)

  • Cho, Hong-Jae;Yoon, Jong-Chun;Hwang, Jae-Ho;Lee, Do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138-2142
    • /
    • 2009
  • 하천생태계의 서식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하천의 환경적인 측면에서 건전성을 평가하여 하천환경정비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자연도를 평가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하천자연도평가에 관한 방법을 조사하였다. 한편 하천의 특성은 하천 고유의 성질이므로 하천 간에 자연도를 상호 비교하는 것 보다는 하천구간별로 자연도를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별 특성을 반영하여 하천 형태와 하천 환경에 따른 하천자연도 평가 항목을 선택하고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하여 계층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적용하였다. 계층분석과정의 쌍대비교를 사용하여 하천자연도 평가항목별 상대적 중요도를 정량화하였고 지방하천인 회야강 22개 구간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회야강의 하천자연도는 기존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2.96점에서 가중치를 적용하는 경우 2.86점으로 산정되었다. 한편 구간별로 기존 방법과 개선된 방법의 산정결과를 비교하면, 2등급 1개, 3등급 10개, 4등급 10개, 5등급 1개에서 2등급 1개, 3등급 14개, 4등급 6개, 5등급 1개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하천기술자가 하천환경정비계획을 수립하는 업무에 채택하는 등 실무에 적용하는 경우 매우 유용할 것이다.

  • PDF

A Monitoring for Citizen Participation in Artificial Nest Boxes Using Mobile Applications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시민참여 인공새집 모니터링 방안 연구)

  • Kyeong-Tae Kim;Hyun-Jung Lee;Chae-Young Kim;Whee-Moon Kim;Won-Kyong S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7 no.3
    • /
    • pp.221-231
    • /
    • 2023
  • Great tit (Parus major) is a bioindicator species that can measure environmental changes in urban ecosystem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health as a representative insectivorous bird. Researchers have utilized artificial nest box surveys to understand the reproductive ecology of the Paridae family of birds, including the Great tits, but it is difficult to conduct a macroscopic study due to spatial and temporal limitations. This study designed and applied a citizen-participatory monitoring of artificial nest boxes project to transcend the limitations of expert-centered monitoring methods. The Suwon Front Yard Bird Monitoring Team installed artificial nest boxes in green spaces in Suwon, Gyeonggi Province and observed the reproductive ecology of the Paridae family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voluntary citizen surveyor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February 9 to February 22, 2021, and they directly performed from installation to observation of artificial next boxes from February 23 to August 31, 2021. Online education was provided to the volunteers for the entire monitoring process to lower the entry barrier for non-expert citizen surveyors and collect consistent data, and observation records were collected through a mobile app. A total of 98 citizen surveyors participated in the citizen-participatory monitoring of artificial nest boxes project, and 175 (84.95%) of the 256 distributed artificial nest boxes were installed in green spaces in Suwon City. Among the installed artificial nest boxes, the results of the citizen science project were confirmed for 173 (83.98%), excluding two boxes with position coordinate generation errors. A total of 987 artificial nest box observation records were collected from citizen surveyors, with a minimum of one time, a maximum of 26 times, and an average of 5.71±4.37 times. The number of observations of artificial birdhouses per month was 70 times (7.09%) in February, 444 times (44.98%) in March, 284 times (28.77%) in April, 133 times (13.48%) in May, 46 times (4.66%) in June, 6 times (0.61%) in July, and 4 times (0.41%) in August. Birds using the artificial nest boxes were observed in 57 (32.95%) of the 173 installed artificial nest boxes, and they included Great tit (Parus major) using 12 boxes (21.05%), Varied Tit (Parus varius) using 7 boxes (12.28%), and unidentified birds using 38 boxes (66.67%). This study is the first to consider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monitoring of artificial nest boxes, a survey method for the reproductive ecology of the Paridae family, including Great tits, and it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ecological monitoring combined with citizen science in the future.

The Role of Large Companies in Entrepreneurial Ecosystem (창업생태계 강화와 대기업의 역할)

  • Kim, Do Hye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8 no.2
    • /
    • pp.83-91
    • /
    • 2013
  • Korean government recently plan to transform Korean economic system into so called "creative economy" in which entrepreneurial activities play major role. Therefore, a large number of new public support program for entrepreneurs have been announced.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growing needs for fairness of economy: large companies are regarded to have abused their negotiating power so far. These two very apparent social trend may require active role of large companies to develop sustainable entrepreneurial ecosystem in Korea.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s to review current situation and to find what would drive active participation of large companies as seen in other countr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