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적가치

Search Result 84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기업의 기술역량 VS 사회적가치: 창업 교육을 이수하는 대학생의 모의투자를 중심으로

  • Nam, Jin-Hyeo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61-65
    • /
    • 2021
  • 세계적으로 창업 생태계가 구축되면서 기술창업 분야가 두각을 보이고 있다. 기술창업은 기술력을 통한 지속력뿐 아니라 혁신적으로 변화를 진행시키므로 기술에 대한 투자 동향을 날이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함께 주목되고 있는 분야가 사회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소셜벤처이다. 특히 UN에서 발표한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의 경우 필수적으로 사업 비즈니스 모델적으로 채택된 분야를 갖고 있어야하며 비재무적성과를 판단하는 기준인 ESG 또한 필수적인 사회적 가치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기술 역량을 내세웠을 때와 사회적 가치를 내세웠을 때 투자자들은 어떤 역량과 특성을 더 선호하며 투자 유무가 결정되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결국 기술 역량 또는 사회적 가치 둘중 하나를 내세운다는 것은 기업의 이미지를 나타내는것과 같은 의미이다. 이에 기술역량과 사회적 가치가 기업이미지를 유능 또는 따뜻함 중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투자 유무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창업 기업 기술 범위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바이오(Bio)로 총 4개로 분류하였다. 기술 창업의 기술범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기술창업에서 기술역량 또는 사회적 특성을 내세웠을 때 기업이미지가 유능하게 보여지는지 따뜻하게 보여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기업이미지가 유능함 또는 따뜻함으로 비춰졌을 때 벤처투자에서 투자 유무가 결정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검증 방법에서는 벤처투자자가 아닌 창업교육을 이수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모의투자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Economic Value to Eulsukdo based on SB-DC CVM (단일양분형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한 을숙도 가치추정)

  • Joo, Soo Hyeon;Lee, Sun Young;Kim, Young Pyo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4 no.2
    • /
    • pp.3-23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imate value of the Eulsukdo that is attracting lots of birds. Eulsukdo became one of the most famous eco-tourism destinations worldwide and environmental restoration work is progressing with enormous budget. The input of the budget by policy judgement basically can be justified when the benefit excesses the cost in social aspect. Eulsukdo has external effect as cultural tourism resource but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value in market. The study is to estimate the value of Eulsukdo through the single-bounded dichotomous 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the mean WTP(Willingness to Pay) and the truncated mean WTP are estimated at 5,240 and 3,374 won in the log-normal model, and 5,888 and 3,232 won in the log-logistic model respectively. The annual total benefits value based on the truncated mean WTP is estimated at 3,870 million won in the log-normal model and 4,040 million won in log-logistic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guide to policy makers and developers who fully realize the value of public goods.

지구생명의 신비-습지와 개펄

  • Seo, Won-U
    • 공원문화
    • /
    • s.72
    • /
    • pp.86-88
    • /
    • 1998
  • 지구환경문제와 관련 역사이래 오랫동안 '가장 쓸모 없는 땅'으로 여겨져 왔던 습지와 개펄이 21세기 환경경제시대를 앞두고 '지구의 콩팥'으로 비유되며 재평가 되고 있다. 습지와 개펄의 경제적.문화적.경관적.환경생태학적 가치와 보존 방안 등을 기획 시리즈로 엮는다.

  • PDF

A Study on the Meaning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in the Ecological Ethics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생태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 Byun, Sun-Yong
    • Journal of Ethics
    • /
    • no.85
    • /
    • pp.167-186
    • /
    • 2012
  •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sustainability in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cological ethics,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In the discussion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relation between sustainability and change should be regarded as not conflictual but interactive. The concept 'ecological' in this context means network, and the concept 'sustainability' mean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ing being(or beings) which constitutes ecological system and its unchanging being(or whole relation). So there are two axes of human and ecological system, and three elements namely network which means mutual dependence of human and nature, sustainability which means the maintenance of ecological relations, and responsibility which humans should take for the sustainability, in the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maintenance between being and relations of beings, changing sustainability, the priority of being to non-being, mutual interdependence on the basis of solidarity of beings are important values in the ecological sustainability.

스마트 미디어 생태계

  • Kim, Do-H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0
    • /
    • pp.3-8
    • /
    • 2012
  • 본고에서는 스마트폰과 스마트TV 등과 같은 커넥티드 디바이스(connected device)에 관한 ICT 생태계(이하 '스마트 미디어 생태계')에 대해 알아본다. 스마트 미디어 생태계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가치가 창출되는 생태계라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양면시장(two-sided market)에서 관찰되는 직/간접적 네트워크 외부성(direct and indirect network externality)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단일 기능요소보다는 여러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기능요소들의 복합체인 플랫폼 연합체(platform coalition)로 출발한다. 이에 따라 생태계 초기에는 생태계 간 경쟁과 더불어 생태계 내에서 메타 플랫폼(meta platform)의 지위를 획득하려는 지배구조 경쟁도 전개된다. 스마트 미디어 생태계의 특성과 진화과정 및 운영원리에 대한 이해는 생태계 참여자들의 전략과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Evaluation of Carbon Storage and Economic Value Assessment of Wetlands in the City of Seoul (서울시 습지지역의 탄소저장 및 경제적 가치 평가에 대한 연구)

  • Choi, Jiyoung;Oh Jongmin;Lee, Sangdo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8 no.2
    • /
    • pp.120-132
    • /
    • 2021
  • The ecosystem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of Seoul were designated according to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nd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Ordinance. With the adoption of the "Rapid Assessment of Wetland Ecosystem Service (RAWES)" approach and the "wetland ecosystem service" for the Ramsar Wetland City Accreditation at the 13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Contracting Parties to the Ramsar Convention on Wetlands in 2018, the need for data evaluating wetland ecosystem services has become a necess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selected five wetlands from the ecosystem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in Seoul, having high ecological conservation values, and evaluated their carbon sequestration and economic value assessment using the InVEST model, which is an ecosystem service evaluation technique. The evaluation results for carbon storage in each wetland are as follows: Tancheon Wetland: 3,674.62 Mg; Bamseom Island in the Hangang River: 1,511.57 Mg; Godeok-dong Wetland: 5,007.21 Mg; Amsa-dong Wetland: 7,108.47 Mg; and Yeouido Wetland: 290.27 Mg. Particularly, the Tancheon Wetland showed the lowest carbon sequestration of 1,130.37 Mg, as compared to the results acquired in 2013, of 4,804.99 Mg. When the average effective carbon rate of $16.06 (US) was applied to the decreased carbon sequestration value, a loss of $15,910.58(US) was calculated. Furthermore, if the average social cost of carbon ($204 (US)) is considered, which include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productivity and ecosystems, the total loss is equivalent to $202,101.97 (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atural resource value of urban wetlands by evaluating selected major wetlands in Seoul.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plan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ecosystem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Additionally, because wetland value assessment is considered essenti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future research to provide measures for evaluating ecosystem services in the Ramsar Wetland City Certification System. Moreover,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selecting important wetlands as Ramsar sites, and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significance of conserving urban wetlands, and for expanding international exchange among the Ramsar Wetland sites.

김치의 유산균 생태

  • 한홍의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7 no.3
    • /
    • pp.68-75
    • /
    • 1991
  • 김치란 상품의 가치를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지금까지 시도된 물리, 화학적 방법만으로는 성공적이 될 수 없다. 그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는 고유한 우리 김치의 풍미를 만들어내는 주된 유산균은 어떤 종이며 그 특성이 무엇인가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시행착오적인 물리, 화학적 처리 방법의 도입으로 인하여 고유의 윤산균이 증식하지 못한다면 김치의 고유성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김치의 산패와 연부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군집제어적으로 일어나며 그 고유성과 풍미를 유지하기 위하여 새로운 도태압의 개념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김치의 미생물생태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으므로 본 절에서는 필자의 연구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배추김치의 미생물에 대한 연구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Fauna Habitat Valuation of Urban Ecological Maps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을 위한 육상동물 서식지 가치평가 방안 연구)

  • Park, Minkyu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9 no.5
    • /
    • pp.377-390
    • /
    • 2020
  • URBAN ECOLOGICAL MAPS must be created by local governments by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nd the maps are generally called biotope map. So far, biotope maps study was a tendency to focus on the type of vegetation, naturalness, land use, landscape ecology theories. However, biotope related studies have not reflected the concept of animal habitat, which is a component of biotope, and that is the limitation of biotope map research. This study suggest a methodology to predict potential habitats for fauna using machine learning to quantify habitat values. The potential habitats of fauna were predicted by spatial statistics using machine learning, and the results were converted into species richness. For biotope type assessments, we classified biotope values into vegetation value and habitat value and evaluated them using a matrix for value summation. The vegetation value was divided into 5 stages based on vegetation nature and land use, and the habitat value was classified into five stages by predicting the species richness predicted by machine learning. This is meaningful because our research can positively reflect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of fauna that were negatively reflected in the evaluation of biotope types in the past. Therefore, in the future, if the biotope map manual is revised, our methodology should be applied.

Dryness Evaluation of A Mountain Wetland Using Drought Index (가뭄 지수를 이용한 산지 습지의 건조화 평가)

  • Lim, Jong Hun;Kim, Jung Wook;Kim, Soo J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96-396
    • /
    • 2019
  • 습지는 가장 생산적인 생태계 중 하나이며, 인류에게 수문학적, 경제적, 문화적 가치로도 매우 귀중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와 인간의 영향으로 수위저하와 건조, 수문체계에 변화를 주어 습지의 건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산지습지는 인위적 간섭에 매우 취약하고 환경변화에 민감하여 불규칙한 강수패턴 및 무분별한 개발은 습지수문환경에 영향을 미쳐 습지의 건조화를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 결과 자연적으로 습지의 면적이 감소하고 식생의 패턴 변화로 다양한 생물들과 보호가 필요한 종들이 사라질 것이므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건조화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습지 내 지하수위 저하 또는 유입 유출량의 변화로 습지 토양의 수분이 감소하여 말라가는 현상을 습지 가뭄이라 정의하고 가뭄지수를 활용하여 이를 지수화 하였다. 현재 산지습지를 대상으로 가뭄을 지수화 시킨 선행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향후 산지 습지의 가치를 보존하고 생태계 관리의 목적으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