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적가치

Search Result 84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ssessment of Environmental Value of Nakdong River Estuary (낙동강 하구의 환경적 가치)

  • Choi, Hyo Yeon;Ryu, Mun Hyun;Choi, Ha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8-28
    • /
    • 2019
  • 강 하구의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 형성되는 기수역 생태계는 독특한 환경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낙동강 하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철새 도래지로 풍부한 생태자원을 지닌 곳이지만, 하굿둑 건설로 기수역이 사라진 이후 기수역 생태계가 갖고 있는 고유의 생태적인 특성이 감소하였다. 한편, 낙동강 하굿둑 건설은 염해피해 방지 및 부산, 울산, 창원 등의 지역에 추가적인 용수공급을 가능하게 도왔다. 이에 낙동강 기수역 생태계 복원을 위한 하굿둑 개방과 용수공급 및 염해피해 방지 등을 위한 하굿둑 운영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 왔다. 낙동강 하구관리에 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하굿둑 건설 및 운영에 따른 편익과 동시에 낙동강 하구 기수역의 생태 환경적 가치도 함께 고려해야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낙동강 하구의 기수역 생태 복원에 초점을 맞추어 이와 관련된 환경적 가치를 조건부 가치측정법이라는 경제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추정하고자한다. 전국 800가구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일대일 개별면접을 통해 낙동강 기수역의 생태복원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조사하였다. 이 정보는 낙동강 하구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시 활용할 수 있다.

  • PDF

The Effect of Ecotourism Perception on Behavior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생태관광 인식이 행동의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Lee, Yk-S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
    • /
    • pp.268-27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value perception of ecotourism on the behavioral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ll ecotourism value recognition factors, such as cognitive value, emotion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all ecotourism recognition factors, such as cognitive value, emotion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awareness of ecotourism i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ecotourism are, but the functional value made up of services, quality, and programs has relatively less influence than other factors. Therefore,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ccessible weekend products and development of sustainable light-emitting products that can respond to each ecotourism value recognition factor that affects the ecotourism product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should be developed.

Valuation of Ecosystem Water Quality Regulation Service Using TMDL (수질오염총량을 이용한 생태계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 평가)

  • Lee, Chang Hee;Park, Kyung O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2
    • /
    • pp.240-245
    • /
    • 2017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 to assess quantitatively the amount and the economic value of water quality regulating service of ecosystem services. Numbers of species and aquatic organisms such as fish increased because of the improved water, but it was due to complex factors such as water quality regulation services of ecosystems, 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facilities for water quality treatment, and water quality regulation. Therefore we sought ways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value of ecosystem regulation servic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estimate the quantitative value of water quality regulation service of ecosystem by utilizing the total amount of water pollution. In addition, the economic value evaluation method was proposed by multiplying the estimated the quantitative value of water quality regulation service of ecosystem by the unit cost per unit capacity. Finally, the ecosystem water quality regulation service was estimated by using the evaluation method for BOD and T-P in Nakdong river watershed.

Evaluation of the Habitat Suitability of the Hantan Dam Reservoir (한탄강 댐 저수지 생태환경 서식적합도지수 산정)

  • Gang, Hyeong-Sik;Bang, Seok-Bae;Park, D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17-517
    • /
    • 2017
  • 본 연구는 저수지 주변 생태환경 서식적합도지수를 산정하여 댐 건설 전후의 생태환경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생태적 가치에 대한 평가 모델 고려 인자로는 고도, 경사 및 각과 같은 물리적 요인, 산림 지형, 식생 유형, 연령층, DBH 등급과 같은 초목 요인들, 그리고 생태 자연상태, 식생 보존 분류 및 야생 생물 출현 지점과 같은 서식지 요인을 이용하였다. 각 요소의 생태학적 기능을 고려한 평가기준을 정량화하여 개발된 모델은 한탄강 댐 저수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댐 건설 이전의 생태 가치가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 댐 건설 이후에 물리적 요소는 83.9, 초목요소는 92.4, 그리고 서식처 요소는 84.5로 저하되었다. 전반적인 생태 가치는 건설 후 86.9 %, 13.1 % 감소하였다. 또한, 평가 요소를 쌓은 방법을 통해 생태학적으로 건강한 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댐 저수지에 생태 복원 계획을 수립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appiness Economics Approach To Anthropocentric-Nature Perspective And Ecocentric-Nature Perspective (행복경제학적 분석을 적용한 인간중심적 자연관과 생태중심적 자연관의 비교)

  • Joh, Seung-Hun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7 no.2
    • /
    • pp.49-66
    • /
    • 2008
  • The goal of current study is to carry out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perspectives and their corresponding utilities by taking integrated approach combining economic values with environmental on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the structures of happiness function differ according to nature perspectives. The anthropocentric-nature perspective is centered on economic value. Whilst, environment and social trust play an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ole in deciding happiness levels. Secondly, the eco-centric perspective possesses a multi-facted structure of happiness function composing of income, environment, and social trust. In this vein, it is no reasonable behavior, from happiness maximization view, to focus on economic value vis-a-vis use value.

  • PDF

Estimation of the Benefits from the Water Ecosystem Improvement through Environmental Flow (환경생태유량 공급 편익 산정)

  • Choi, Hyo Yeon;Ryu, Mun Hyun;Choi, Ha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0-90
    • /
    • 2018
  • 환경의 가치, 특히 물의 가치는 시대와 함께 변화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 하천관리는 환경적 측면보다는 이수와 치수에 보다 초점이 맞춰져 있어, 하천 고유의 수생태계 서비스기능 유지에 필요한 용수의 확보에 정책적인 배려가 부족하였다. 그러나 최근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환경개선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물관리에 있어 이용뿐만 아니라 환경측면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하천관리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하천 수생태에 대한 정책 역시 과거보다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최근 물환경보전법 공포를 통해 수생태건강성 유지를 위한 환경생태유량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된 바 있다. 실질적인 환경생태유량 공급 정책방안 마련을 위해 환경생태유량 공급이 하천 수생태에 주는 효과에 대한 편익 정보를 산정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생태유량 공급효과에 대한 편익을 산정해 보았으며,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비시장재화 가치평가법인 선택실험법을 적용하였다. 한편 환경생태유량 공급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는 환경생태유량 공급효과를 하천의 주요 어종 관련 지표를 통해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환경생태유량 공급에 대한 편익산정시 하천고유어종 변화, 하천 어종 수 변화, 외래어종 변화의 3가지 속성에 대한 한계지불의사액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환경개선을 위한 정책수행, 특히 수생태계 환경개선을 위한 정책결정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First-Grade Area in Ecological Nature Status (생태자연도 1등급지의 경제적 가치 추정)

  • Shin, Young Chul;Min, Dongki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4 no.1
    • /
    • pp.25-50
    • /
    • 2005
  • This study estimates the willingness-to-pay (WTP) for avoiding the destruction of a first-grade ecological area by means of contingent valuation method. Specifically, we employ the dichotomous choice technique along with the follow-up questionnaires. Our analysis implies the yearly WTP per household for avoiding the destruction of the ecological area of 100,000 pyongs is 8,898 won with the 95% confidence interval of 6,611~11,976 won. We estimate the asset value of that area to be 1,707 billion won with the 95% confidence interval of 1,269 to 2,298 billion won. We also decompose the total value of the area into the value of direct (22%) and indirect (38.8%) use, the option value (19.9%) and the conservation value (21.3%). Although using these data for SEEA (the system of integrated environmental economic accounting) is bound by certain restrictions, one could employ our empirical findings as advisory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in the process of prior environmental review or for assessing the environmental impact.

  • PDF

에머지(Emergy) 개념을 이용한 산지가치의 계량화에 관한 연구

  • Kim, Nam-Guk;Kim, Jin-Lee;Lee, Seok-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421-424
    • /
    • 2006
  • 종래의 개발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개발로 인한 경제적 효율성과 편리성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그러한 개발로 인한 자연훼손 및 생태계 파괴이다. 이로 인해 개발과 보전은 양립할 수 없는 상반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져 왔고, 개발론과 보전론의 대립적 구도가 지속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65% 이상이 산지이기 때문에 산지의 부분적 개발은 피할 수 없는 사회적 요구인 동시에, 산지는 자연생태계의 보고로서 생태계 보전이 필수적인 지역이다. 이러한 산지 개발과 보전에 대한 상반적 이해를 통합하여 자연과 인간의 공생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인간중심의 사고에서 탈피하여 사람과 생태계 그리고 자연을 하나로 보는 총체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설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의 정량적인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시 공간적으로 다양한 인자들에 대해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그 중요성을 고려하고자 하는 에머지 개념을 통해 산지 본래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에머지 개념은 그 동안 생태계가치평가, 개발사업의 편익-비용평가, 환경수용력 평가, 개발대안 평가, 환경계정, 환경훼손 소송관련 비용 평가 등에 적용되었다. 이러한 에머지 개념을 이용한 평가 방법을 통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면 산지뿐만이 아닌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실현하기 위한 적절한 정책의 선택과 이의 이행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자연환경 가치의 정량적 평가를 통해서 우리는 한층 더 자연환경 및 자원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자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based on Land Use in Shinangun, Jeonnam, Korea (전남 신안군의 토지이용에 따른 생태계서비스 가치와 지속가능한 활용방안)

  • Kim, Jae-Eu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7 no.3
    • /
    • pp.202-213
    • /
    • 2014
  • More than half of all the tidal flats and islands in South Korea are located in Jeonnam. Shinangun accounts for a large amount of these tidal flats and island. This study assessed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for 14 administrative units (2 'eup' and 12 'myeon') that have around 1,000 islands in Shinangun, using the method described by Costanza et al. (1997). The assessment involved examining the land use types in Shinangun in relation to ecosystem services value. The finding showed that the tidal flat areas had the highest value of ecosystem services in most of the islands of Shinangun, in particular in Aphae-eup and Jido-eup. The study illustrates how quantitative analysis of land use patterns can help local governments like Shinangun to formulate policy for conservation and sustainaable use of ecosystem services. Especially, tidal flat areas are unique and fragile ecosystem, so it is very importat to make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bioculturally diverse areas. Some suggestions regarding landscape planning in Shinangun are provided.

An Economic Value for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eam in Hong Cheon Area, Korea (홍천강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경제적 가치)

  • Koo, Yoonmo;Kang, Hyeongsik;Lee, Misu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1
    • /
    • pp.71-79
    • /
    • 2014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economic benefit of restoring ecological stream of Hong Cheon river. The benefit is determined by estimating willingness-to-pay for the value of Hong Cheon river because it is a non-market good which is difficult to be measured in terms of monetary value. Specifically, the spike model, one of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is used to distinguish respondents having zero willingness-to-pay for Hong Cheon river. The results show that a household located near the Hong Cheon river is willing to pay 3,300~4,628 Korean Won per year, while a household not located near the Hong Cheon river is willing to pay 1,308~2,929 Korean Won per year. Thus, total benefit of restoring ecological stream of Hong Cheon river is estimated as 97.6~216.3 billion Korean 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