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어도

Search Result 239,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Assessment of Ascending Capacity of Migratory Fish in Fishways by Eco-hydraulic Experiments (II) (어도 생태수리실험에 의한 회유성 어류의 소상능력 평가(II) - 계단식 어도 -)

  • Park, Sang-D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4
    • /
    • pp.381-390
    • /
    • 2001
  • This is to evaluate the ascending capacity of migratory fish in the pool and weir type fishways. Ascending environment of the migratory fish in rivers is analyzed through eco-hydraulic experiments using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trout, Oncorhnchus mykiss, and surveying the fall height of existing pool and weir type fishways. When the fall height is less than 16.0cm, the ascending capacity of sweetfish in the pool and weir type fishways is greater than trout. On the other hand when the fall height is over 20.0 cm, the ascending capacity of trout is greater than sweetfish. A sweetfish may prefer to jump for upward moving than trout. And its endurance after upward jumping over wear is greater than that of sweetfish. Because of high fall height of existing pool and weir type fishways the migratory environment in rivers is so poor. When the pool and weir type fishways are designed and constructed in river the fall height of weir must be considered for the variety of migratory fish living in river and the fall height of weir less than 20.0cm is suggested.

  • PDF

Analysis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Natural Fishway by using Flow-3D (Flow-3D를 이용한 자연형 어도 수리학적 특성 분석)

  • Yoon, Jae Seon;Ha, T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3-513
    • /
    • 2016
  • 하천의 횡단 수공구조물인 보 및 낙차공은 구조물 상 하류 생태계의 단절을 발생시켜 회귀성 어류 등 하천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최근의 하천 설계는 자연형 하천조성사업과 같이 하천의 치수 및 이수뿐만 아니라 하천생태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하천의 생태적 통로가 단절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하천 횡단 구조물인 보와 낙차공에 어도를 설치하고 있다. 어도의 설계는 어도 내의 수리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여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시되지 않았던 자연형 어도를 제안하고, 3차원 유체의 흐름성분을 해석할 수 있는 범용프로그램 FLOW-3D를 이용하여 수리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어종별 돌진속도에 따른 자연형 어도의 기능적 활용여부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Flow Analysis in the Baffled Fishway using FLOW-3D (FLOW-3D를 이용한 도류벽식 어도내의 흐름해석)

  • Choi, Soo-Hyoung;Kim, Seo-Jun;Lim, Yoon-Sung;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37-1840
    • /
    • 2009
  • 최근 자연형하천 조성사업과 하천복원 등을 목적으로 하천의 치수, 이수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생태적인 기능을 고려한 하천설계를 위하여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하천의 생태적 통로가 단절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하천 횡단 구조물인 보와 낙차공에 어도를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어도 설계는 어도 내의 흐름특성을 정확히 고려하지 못하고 설계되어 어도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이유는 현장 상황에 따라 어도의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게 설계되고 있는 것에 반해 이를 검토할 수 있는 방법이 수리실험으로 한정되어 있어서 어도내 흐름특성을 결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어도 설계를 위한 수리실험은 시간적, 공간적 및 경제적인 제약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어도 조건과 수리조건을 검토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반면에 수치모의는 매개변수 결정에 어려움이 있지만 수리실험에 비해 다양한 형태와 수리조건에 대해 간편하게 흐름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도 설계시 간편하게 어도내 흐름특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수리실험 결과와 수치모의 기법을 이용한 흐름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수치모의는 3차원 흐름모형인 FLOW-3D를 이용하였고, 어도 형태는 도류벽식 어도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수행 결과 수리실험과 비교하여 수심별로 최대 13% 정도의 오차를 보이고 있으며, 최대유속 발생 지점을 비교한 결과 하폭의 6% 정도 오차를 보였다. 따라서 최종 설계 이전에 어도의 흐름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FLOW-3D를 사용한다면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ment of Ascending Capacity of Migratory Fish in Fishways by Eco-hydraulic Experiments (I) - Baffled Fishways - (어도 생태수리실험에 의한 회유성 어류의 소상능력 평가(I) - 사다리식 어도 -)

  • Park, Sang-D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4
    • /
    • pp.365-379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n echo-hydraulic experimental approach to assessment of ascending capacity of migratory fish in a baffled fishway.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trout, Oncorhynchus mykiss, are used in these experiments. Ascending environment of the migratory fish in rivers is analyzed through the results of taco-hydraulic experiments.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ascending capacity of migratory fish in baffled fishways are the discharge and slope of fishways and the fall height between the fishway entrance and the river bed. In these fishways the migratory capacity of sweetfish for a given fishway discharge is mainly affected by fishway slope, whereas the ascending capacity of trout for a given fishway slope was influenced by the change of fishway discharge. Loss of ascending properties of landlocked salmon, Oncorhynchus masou var ishikawai, was confirmed by these experiments. An ascending hydraulic criteria of the baffled fishway is defined by means of dimensionless factor F$_{f}$ and falling head H$_{f}$. Ascending capacity of migratory fish in existing baffled fishways in river of eastern coastal region is poor because the slope of fishways is verb steep.eep.

  • PDF

Examination of Modified Larinier pass Fishway in Korea (수정 라리니에식 어도의 국내 적용성 검토)

  • Kim, Sun-Joo;An, Min-Woo;Choi, Young-Kyoung;Kyoung,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452-456
    • /
    • 2006
  • 본 연구는 수정 라리니에식 어도를 조립식으로 개발하여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에 앞서 수리모형을 통해 어도 경사와 어도내 조류제 형태(평면형, 경사형, 역경사형)를 3가지로 달리하여 각 형태별 유속을 조사하고 실제 우리 나라 토착 민물고기인 갈겨니, 쉬리, 피라미, 금강모치의 소상능력을 시험하였다. 또한 실제 크기의 목재로 만든 조립식 수정 라리니에식 어도를 제작하여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천의 농업용 보에 적용하였으며, 2005년 6월부터 10월까지 모니터링을 하여 수정 라리니에식 어도의 국내 하천 적용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모형실험결과 수심은 6cm(현장 30cm)일때, 조류재의 형태는 평면형과 경사형, 경사는 1/20, 유속은 0.3-0.4m/s에서 어류가 원활하게 소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도내 마련된 휴식부에서는 실제 물고기들의 휴식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또한 휴식부의 잠공은 하천 유량 조건이 좋을 때보다 갈수기나 홍수기에 어류가 소상하는 통로의 역할뿐만아니라 저서 생물의 이동통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어도는 조류재의 형태에 따른 다양한 유속대를 제공하여 다양한 어종이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조립식으로 되어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우리나라 하천 상황에 적절한 어도로 판단된다.

  • PDF

The Effect of Ecological Restoration and Water Purification of Ecological Fish-way and Floodplain Back Wetland Created as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e at Maeno Stream (매노천에서 생태적수질정화비오톱(SSB)으로 창출된 생태어도 및 홍수터 배후습지의 생태계 복원과 생태적 수질정화효과)

  • Byeon, Chan-Woo;Kim, Yong-M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6
    • /
    • pp.508-523
    • /
    • 2017
  • This study monitored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restoration of ecological stream focusing on the places which are applied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SSB) system and ecological Fish-way for restoration of Maeno stream. A total of 11 species and 191 individuals of fishes were founded out which were not verified inhabitation before restoration at SSB wetlands. Especially, it was could identified that micro habitat and healthy Fish-way was created because the restored target species, Microphysogobio yaluensis and Iksookimia koreensis were identified that habitation was monitored in SSB wetland. Amphibian have been restored to a number of Rana nigromaculata found in and around wetlands at the time of the third survey, which is highly active after restoration. Specified endangered species class 1 and natural monume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Lutra lutra lutra, as a Mammalian, uses the wetlands and ecological Fish-way as habitat areas, and the his habitat is restored. In the case of Flora, vascular plants emerging in the survey area were increased to 7 and 13 species before restoration and 15 and 19 species directly after restoration, and 22 species and 33 species after restoration.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was found to be a basic producer of various ecosystems and a plant community that contributes to the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such as Phragmites japonica communities. As the result of water quality monitoring, the average of treatment efficiencies were BOD 64.3%, T-N 47.2%, T-P 80.7%. Successful treatment of the nonpoint pullution source, which is a limiting factor to disturb the ecosystem, creatively restored the target species in the water quality class I, II.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for Fish Movement Behavior (어류거동 예측을 위한 2차원 수치모형 개발 및 검증)

  • Kim, Hyung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39-439
    • /
    • 2021
  • 하천에서는 물리적 및 생태적 측면에서 종횡적 연결성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물리적 환경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생물의 종도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이어진다. 하천에서 안정적으로 물이 흐르고 거기서 서식하는 어류들의 보호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해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보 혹은 댐 등과 같은 하천 횡단구조물 설계 시 어도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어도는 어류의 이동이 차단 혹은 곤란한 경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수로를 의미한다. 국내에 설치된 보는 35,000개 이상으로 이 중 어도는 5,081개가 설치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하천설계기준의 어도설계기준은 2002년에 개정되었으며 보의 부대시설로 어도의 형식에 대해서 다루어졌다. 그러나 어도의 기능을 평가하고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어도 내의 수리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야 하며 또한 어류거동 및 이동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어도의 위치선정 및 설계유량을 선정해야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리해석모형(Kim et al., 2018)에 Lagrangian기반 어류이동모형을 결합한 수치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수리실험결과(Tan et al., 2018)와 비교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어류의 운동 및 생물학적 특성을 반영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현장조사 및 실험실 테스트로 통하여 획득한 주요 특성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최근 기후변화 및 하천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종횡적 연결성을 검토하고 어도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술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The Monitoring of Eel-ladder in Geumgang Estuary Bank, Yeongam Embankment and Asanman Embankment (금강하굿둑, 영암방조제, 아산만방조제 뱀장어 전용어도 모니터링)

  • Jae Goo Kim;Yun Jeong Cho;Cheol Woo Park;Jong Wook Kim;Yu-Sin Shin;Min-Young Im;Younghee Song;Wonjang Kim;Yoon Choi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5 no.2
    • /
    • pp.167-174
    • /
    • 2022
  •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romoted the installation of eel-ladder for the purpose of creating inland water resources. Currently, eel-ladder have been installed and operated at the Geumgang Estuary Bank (2018), Yeongam Embankment (2019), and Asanman Embankment (2020). In this study, the number of glass eels in eel-ladder in 2021 was monitored and factors affecting the rise that from ocean to river of eels were investigated. Glass eels in eel-ladder were found when the salinity was relatively low, and they started when the freshwater and seawater temperatures were above 20℃. Comparing the number of occurrences by year, the largest number of glass eels was observed in 2021, but it is judged that this is no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glass eels in sea, but rather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or's eel-ladder repair and guidance on illegal fishing.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Mt. Turyunsan, Korea (두륜산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 오구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8 no.1
    • /
    • pp.43-57
    • /
    • 1994
  •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Mt. Turyunsan was classified into four plant communities :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Carpinus tschonoskii - Quercus acute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Neolitisea sericea community. Quercus acuta, which had been appeared as a dominant species in most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as assumed to be succeed from Quercus serrata and Quercus variabilis through Carpinus tschonoskii, and would be succeed to Neolitsea serisea. Carpinus thschonoskii and Quercu serrata were assumed to be competitive with Quercus acuta, Camellia japonica, Neolitsea serisea and, Machilus thunbergii. It was assumed that Quercus acuta had a similiar ecological niche with Camellia japonica. Also it was assumed Neolitsea serisea had a similiar ecological niche with Lozoste lansifol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