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성

Search Result 5,648, Processing Time 0.04 seconds

Determination of Weight of environmental/ecological assessment Factor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in Kore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GIS (인공신경망 및 GIS를 이용한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환경.생태적항목 가중치 분석)

  • Lee, Moung-Jin;Jeon, Seong-Woo;Won, Joong-S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237-240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2006년 전국을 대상으로 구축된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 생태적항목에 대한 각 항목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기본 분석 도구로 지리정보시스템(GIS)가 사용되었다.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 생태적항목은 다양성(생태자연도), 자연성(임상도, 녹지자연도, 생태자연도), 풍부도(생태계변화관찰 지역도), 희귀성(생태자연도), 허약성(수치지형도, 토지피복도), 군집구조의 안정성(임상도)등이 활용되어 구축되었다. 본 연구는 기 구축되어 사용되고 있는 국토환경성평가 지도의 환경 생태적항목을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고, 인공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여 각 평가항목간의 상대적 가중치를 구하였다. 인공신경망의 훈련 지역은 환경 생태적항목중 환경성이 높은 1등급 지역 및 환경성이 낮은 5등급 지역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50번의 가중치를 산정하였을 경우 허약성이 다른 항목들에 비해 1.58배 정도 높은 상대적 가중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가중치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환경 생태적 항목의 취약성도를 작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Eco-Area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Complexes : Focusing on Eco-Area Ratio, Eco-Area Diversity, and Eco-Area Connectivity (공동주택단지 생태면적 적용 특성 분석 : 생태면적률, 생태면적 다양성, 생태면적 연계성을 중심으로)

  • Seung-Bin An;Chan-Ho Kim;Chang-Soo Lee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5 no.1
    • /
    • pp.77-97
    • /
    • 2024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inctions in evaluation index items between overseas and domestic ecological area-related systems, derive analytical indicators, and assess recently completed apartment complex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overall ecological area ratios. The objective is to analyse variances in the application of ecological area characteristics, categorizing them into ecological area analysis indicators and presenting their implications. The spatial scope covers completed apartment complexes in both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Thirty-six completed apartment complex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basic ecological area data were compiled. Subsequently, the data was utilized to categorize three analysis indicators-ecological area ratio, ecological area diversity, and ecological area connectivity-by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s well as by type of apartment complex (sale housing versus rental housing) and size (large-scale, medium-scale, and small-scal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higher ecological area ratios and greater diversity in ecological area spatial types in metropolitan areas compared to non-metropolitan areas, and in pre-sale housing complexes compared to rental housing complexes. Mediumand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exhibit higher ecological area ratios, with ecological area diversity being more pronounced. Ecological area connectivity reveals more numerous and varied connection points and types in metropolitan areas than in non-metropolitan areas.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arge-scale development should prioritize securing ecological area ratios and diversity in apartment complexes. Enhancing biodiversity necessitates establishing connections within and beyond the ecological area network of the complex.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linking the ecological area network within the complex.

A Study on the Meaning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in the Ecological Ethics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생태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 Byun, Sun-Yong
    • Journal of Ethics
    • /
    • no.85
    • /
    • pp.167-186
    • /
    • 2012
  •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sustainability in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cological ethics,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In the discussion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relation between sustainability and change should be regarded as not conflictual but interactive. The concept 'ecological' in this context means network, and the concept 'sustainability' mean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ing being(or beings) which constitutes ecological system and its unchanging being(or whole relation). So there are two axes of human and ecological system, and three elements namely network which means mutual dependence of human and nature, sustainability which means the maintenance of ecological relations, and responsibility which humans should take for the sustainability, in the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maintenance between being and relations of beings, changing sustainability, the priority of being to non-being, mutual interdependence on the basis of solidarity of beings are important values in the ecological sustainability.

KISTI 생물다양성 DB 구축 현황

  • An, Bu-Yeong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10
    • /
    • pp.26-49
    • /
    • 2002
  • 생물다양성은 육상 생태계, 해양과 기타 수생 생태계와 이들의 복합 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물체의 다양성을 말하며, 종내.종간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즉, 생물다양성이란 생물종(Species)의 다양성,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Ecosystem)의 다양성, 생물이 지닌 유전자(Gene)의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지칭하는 말이다. 종다양성(Species diversity)은 한 지역내의 종의 다양성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서 분류학적 다양성을 지칭하며, 생태계 다양성(Ecosystem diversity)은 한 생태계에 속하는 모든 생물과 무생물의 상호작용에 관한 다양성을 말한다. 또한 유전적 다양성(Genetic diversity)은 종내의 유전자 변이를 말하는 것으로 같은 종내의 여러 집단들을 의미하거나 한 집단내 개체들 사이의 유전적 변이를 의미한다.

  • PDF

Estimation of Ecology of Urban Areas Natural Rivers that use LAWA (LAWA를 이용한 도심지역 자연형 하천의 생태성 분석)

  • Kim, Joo-Hwan;Choi, Gye-Woon;Koo, Bo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98-210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자연형 하천의 복원이 이루어진지 5년 이상이 된 도시지역의 하천을 LAWA(Laenderarbeits-gemeinschaft Wasser = 연방물관리연구공동체)(2000)를 이용하여 하천의 물리적 구조를 평가하였다. 물리적 구조 평가에서는 하천의 종적특성 및 종단면, 횡단면, 하상구조, 하안구조 및 하천변의 토지 이용성 등 6개항의 25개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하천의 자연성과 하천의 인공성 정도를 가늠하였다. 그 결과 기 조성된 국내의 하천의 생태성이 크게 개선되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볼 때에 과거의 자연형 하천 조성방법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책을 찾아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도심하천의 경우 이, 치수의 기능 위주로 정비가 되어 있었기 때문에 자연형 하천으로의 복원 후에도 주변의 좋지 않은 구조물들에 의해서 물리적 등급이 낮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하천 스스로 생태성, 자연성을 회복할 수 없는 구간에 대한 하천설계에서는 물리적 구조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방안이 시도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Eco-Citizenship Contents Elements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the Introduc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한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

  • Cho, Sung Mi;Park, Mi Jeo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5 no.2
    • /
    • pp.1-20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and analyze ecological citizenship elements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used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for the introduc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 was validated by six experts who are incumbent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he S-CVI value was 0.97, ensuring the validity of the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zing 242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s extracted from home economics textbook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ontent area of the 2015 n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area had the highest presence of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s followed by the 'resource management and self-reliance' area and the 'home life and safety' area. Among the categories of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s, 'value⋅attitude' was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process⋅function' and 'knowledge⋅understanding'. For each textbook composition system, ecological citizenship elements were extracted in the order of pictures, text, activities, and supplementary materials. There was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number of ecological citizenship factors among publishers,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the textbook writers' perception, interpretation, and direction of writing.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ecological citizenship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pplicable to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presented.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practicing ecological citizenship education in line with the new orientation of the curriculum o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through home economics education. Furthermore, it provides valuable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xtbooks for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Update of Stability Evaluation Program for Levee Revetment (호안 안정성평가 프로그램의 개선)

  • Kim, Ki-Tae;Jeon, Jae-Ryung;Yoon, Moon-Sang;Kim, Sang-Mun;Choi, He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16-416
    • /
    • 2011
  • 최근 하천의 생태성이 강조된 식생, 사석, 목재 등의 자연 재료를 사용하는 친환경적인 호안이 고안되어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호안들은 홍수시 유실에 따른 안정성의 확보와 생태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되어진 돌망태호안, 식생호안 및 식생블록호안의 안정성평가 프로그램에 개발한 사석안정성 산정식을 이용하여 사석호안공에 대한 안정성평가를 추가하였다. 각각 호안에서의 밑다짐공의 최대세굴심과 폭의 산정으로 밑다짐공의 안정성평가를 추가하여 호안 안정성평가에 대해 폭 넓은 평가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호안 안정성평가 프로그램에 사석호안공과 밑다짐공의 안정성을 추가하여 김상문, 최흥식(2008)에 의해 Data-Base를 기반으로 개발된 Menu-Driven방식의 호안 안정성평가 프로그램을 개선하였다. 개선을 통하여 호안의 축조는 물론 생태성이 강조된 호안설계에 의한 자연형 하천복원 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ydrolocgic and Ecologic Indices in the Han River Basin (한강유역의 수문지수와 생태지수 상관성 분석)

  • Kim, Siyeon;Lee, Jiwan;Jeon, Seol;Lee, Moonyoung;Jung, Wonwoo;Jung, Kichul;Kim, Seongjoon;Park, D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40-44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수문지수와 생태지수간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하천의 유량이 하천 생태계와 하천 건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했다. 수문지수는 각 유역의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각 유역의 평균 일일 유량, 평균 월 유량, 일 중앙 유량, 월 중앙 유량, 유량의 왜곡, 유량의 변동계수, 유량 빈도 등을 구하였다. 생태지수는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BMI)를 이용하였다. 피어슨 상관계수 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을 통해 수문지수와 생태지수 간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또한 Gaussian Process Regression(GPR) Model을 이용하여 수문지수와 유역의 지형적 특성을 이용한 회귀모형을 통해 미래의 BMI를 예측할 수 있었다. 각 수문지수별로 생태지수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과 낮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PR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의 BMI의 값을 예측해 하천 건강성 평가로 이용될 수 있는 수문지수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수문학적 지수와 생태지수를 이용해 정량적으로 건강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GPR 모형을 통해 미래 생태지수의 값을 예측해보고 해당 연구 유역의 하천 건강을 위한 하나의 지표를 제안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단계별 의사결정 모형` 통해 생태위해성 평가 - 컷-오프$\cdot$단계적 의사결정$\cdot$확률론적 모형 등 3단계로 평가 - 초기$\cdot$정밀$\cdot$통합평가 자료량=영향평가, 개발입장 진퇴양난

  • 이성규
    • Agrochemical news magazine
    • /
    • v.23 no.5 s.178
    • /
    • pp.10-13
    • /
    • 2002
  • 농약은 농산물 생산에 있어서 병해충 및 잡초를 방제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농업자재로 인식하고 있다. 그런데 모든 화학물질이 그러하듯이 농약도 두 가지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즉, 약효와 독성이다. 일반적으로 농약은 뿌려진 농약의 $0.1\%$이하만이 목표물이라고 할 수 있는 해충 및 잡초, 이병작물에 떨어지고 그 외는 비표적 생물 및 환경매체에 떨어짐으로써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약효는 농약으로서 지녀야 하는 당연한 기능이지만 독성은 가능한 줄여야 할 기능이기 때문에 농약회사에서는 약효는 높으면서 사람과 생태계에는 좀 더 안전한 농약을 개발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세계적으로 볼 때 농약을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나라로 알려져 있으나 경제규모 및 사용량에 비해서 생태계에 대한 농약관리는 앞서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농약의 생태위해성 평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이번호부터 연재를 통해 생태위해성에 대한 기본개념을 소개함과 동시에 국내외 농약등록제도에서의 생태위해성 의사결정 과정을 비교하고 마지막으로는 국내 농약관리제도에 있어서 생태독성분야의 의사결정에 대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Study on Improvement Measure for Ecosystem Health of Samcheonpo Stream (삼천포천의 수생태계 건강성 향상 방안 연구)

  • Gilsang Jeong;Hansu Choi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6 no.4
    • /
    • pp.414-419
    • /
    • 2023
  • Aquatic ecosystem is composed of various organic and inorganic matters. Its health is essential for sustaining its members such as vegetations, mammals, birds, fishes and invertebrates. Samcheonpo stream is one of candidate streams in Sacheon area of ecological restora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conducted to build up a data base for future comparison. The results shows that biodiversity of Epilithic Diatoms and Invertebrates is below average which means that human impacts such as artificial structures and activities have been negatively related to stream health. Consequently, we suggest several key factors when ecological restoration is performed in the st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