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개념

Search Result 57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Environment Analysis and Policy of Smart Education (스마트교육 환경 분석과 정책 제언)

  • Noh, Kyoo-Sung;Ju, Seong-H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4
    • /
    • pp.35-44
    • /
    • 2013
  • This article is exploring on the concept and realization conditions of 'Smart Education' including the propulsion environment and problems about 'Smart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and realization conditions of 'Smart Education', this paper will review various aspects, such as the technology, infrastructure, school teachers' preparation situation, ecosystem and distribution system, and propose further policy alternatives of 'Smart Education'.

Function of Environmental Flows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s Management (지속가능한 물 관리를 위한 환경유량의 기능정립에 관한 연구)

  • Choi, Ji-Yo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6 no.2
    • /
    • pp.47-70
    • /
    • 2007
  • In recent days, people's requests about water resources have been developed from managing quality and quantity of water resources to forming a river environment by restoring normal function of river. To meet these reques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flows. In Korea, the environmental flows was introduced as a concept of river maintenance flows in a sense of river management. The function of river maintenance flows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what the major issue is in that age such as navigation, water quality, and prevention of saline water intrusion. As the assesment of river maintenance flows in Korea focused mainly on the function of water usage oriented in human, it could not be defined and emphasized in a sense of ecosystem as a pure meaning of environmental flows. And while the existing river maintenance flows are included the assesment of flows, there is not a practical procedure to supply them and the efficient management in a sense of environment is not performed. The environmental flow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from the river maintenance flows and changed to a new concept focused on maintaining the health of ecosystem. In other words, the environmental flows should be defined as a necessary flows for maintaining the function of river and its original value, and be considered on the same or higher value of flows for maintenance of economic activity, recreation, and power generation.

  • PDF

Influence of Agricultural Water Return flow on Aquatic Ecosystem in Downstream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

  • Lim, Eunjin;Kim, Jonggun;Shin, Yongchul;An, Hyunuk;Nam, Won Ho;Lim, Kyoung Jae;Lee, KwangY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46-246
    • /
    • 2020
  • 최근 우리나라에서 농업용수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작물생육에 필요한 관개용수로만 인식되던 농업용수의 개념이 농촌생활환경개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지역용수로의 포괄적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다. 농업용수는 식량생산 이외의 효용을 위한 다원적 기능을 가지며 농촌지역의 각종 생산활동과 생활조건의 유지개선을 위한 농업용수의 다원적 기능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농업용수에서 발생하는 회귀수는 유역의 용수공급계획, 하천 유황의 예측, 관개용수 사용량 결정, 하천 건전화 방지, 수생생태계 보호 및 생물 다양성 확보 등 농업용수의 효율적 사용 및 환경생태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농업용수 회귀수량은 농업용수 중 하천으로 회귀하는 수량을 의미한다. 본류의 생태 유량 확보에 농업용수 회귀 수량이 기여하고 있으며 본류 하천의 환경 보전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수생태계 보호 및 생물 다양성 확보 등 환경 생태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 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농업용수 회귀 수량이 하류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귀 수량은 관개용수량, 배수량, 침투량, 담수심 등 물수지 항목을 논물수지 모형에 적용하여 산정하였으며, 하류 하천의 생태유량 산정을 위해 대사저수지 하류에 위치한 생물측정망 자료를 통해 대표 어종을 선정하였다. PHABSIM 모형을 이용해 모의 대상 지역 특성 자료 및 인근 소하천 생물측정망 자료를 바탕으로 HSI 기반 대표 어종 서식처 환경에서 최적 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추정된 농업용수 회귀 수량에 따른 필요 유량이 어류 서식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사저수지 하류 하천에서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차지하고 있는 기여도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최적 생태유량과 비교한 결과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수생태(어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용수 회귀수량은 하류 하천의 하천유지수량뿐만 아니라 하천 환경생태유지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The basic study of Service Innovation Design (서비스혁신디자인의 이해를 위한 기초연구)

  • Lee, Su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253-256
    • /
    • 2009
  • 급변하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제조업 중심의 대량생산 전략으로 이윤을 창출하는 수익구조의 시대는 지나고 새로운 산업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통한 사회적 문제들의 해결안을 모색하려는 의도가 요구된다. 이에 미래의 대체 핵심 산업으로서 서비스산업을 국가적 차원에서 발전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으나 서비스의 정의 및 방향성에 대한 개념의 정립에 있어 여러 가지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국가별 서비스의 이해와 연구 방향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으나 국가별 환경과 인프라를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국가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함에 있어 서비스혁신디자인 학문분야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가령 한국을 비롯한 미국, 일본, 중국 등의 나라는 제조 산업 기반의 생산성 지향적 서비스(Productivity in Service)를 서비스 산업에 적용하고, 유럽의 대부분의 나라는 생태보존의 방법에 있어 서비스분야를 접목하는데 있는데 Product Service System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서비스 개념의 접근 방법을 지역혁신서비스 (Regional Revitalization)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의 개념을 정립하고 서비스의 의미와 연구 분야 별 접근방법 등을 여러 가지 사례로 설명하려 한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하여 서비스디자인 관련분야의 학문적 기초를 다지는데 기여를 할 것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PDF

A Survey on the Disposition of Ecotourism (생태관광성향에 관한 조사연구)

  • 김용근;조중현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2 no.2
    • /
    • pp.156-162
    • /
    • 1998
  • The disposition of ecotourism was surveyed form October 5 to 22 in 1996. 600 persons were participated from 5 big cities including Seoul in Korea. Of those individuals, 48% were males, 52% were females, 50%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gone as far as college, and 38% were 20 years of age. Most percentage of respondents (72%) were not satisfied from their leisure behavior in their daily life, 60% of respondents had a chance to visit outdoor recreation areas per month. The most respondents(75%) didn't hear the concept of ecotourism, but they recognized necessity of the ecotourism development. There was a tendency in the sample for high disposition of ecotourism subjects to be more likely to intend to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s, and participate to environment movement. They were very interested in ecotourism. The differences existed in ecotourists' dispositions of ecotourism, according to their s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 potentional ecotourists' intentions of visiting eco-park had strong relationships with the disposition of ecotourism.

  • PDF

A Review of Studies on Knowledge Ecosystem (지식생태계 연구 경향, 한계 그리고 제언)

  • Yu, Jae Mi;Oh, Cheol H.
    • Informatization Policy
    • /
    • v.18 no.4
    • /
    • pp.3-21
    • /
    • 2011
  • Knowledge ecosystem means a dynamic knowledge circulation, including knowledge creation, exchange and sharing and utilization. It is also the field of knowledge practice, which creates interactions in knowledge exchange between people and groups. The key premises of knowledge ecosystem, based on the nature of general ecosystems,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it primarily focuses on social networks between people and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of knowledge circulation; secondly, knowledge ecosystem thrives on diversity of knowledge; and thirdly, it is significant for selection of valuable knowledge and adoption of appropriate knowledge. This review attempts to make a systematic examination of a wide range of existing studies on knowledge ecosystem. In so doing, it is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further inquiry into more critical and complicated issues. Although the scarcity of existing research-at least those in Korea-may limit the implications of findings, this review offers a set of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PDF

Estimation of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for the Aquatic Ecosystem Management in Urban Rivers (도시하천 수생태계 관리를 위한 환경생태유량 산정)

  • Kim, Keewook;Baek, Kyung Hoon;Kwon, Dong Woon;Kim, Jin Hee;Kang, Ji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67-467
    • /
    • 2022
  •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자연형 하천정비 사업은 기존의 수질보전정책 외에도 하천생태계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이 중 환경생태유량은 기존의 하천유지유량보다 확대된 개념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부산의 대표적인 도시하천인 온천천과 학장천을 대상으로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환경생태유량은 하천의 물리적 특성 및 어류·유량을 조사하는 하천현장조사, 서식지적합도지수 산정의 과정을 통해 산정된다. 온천천과 학장천에서 각각 3개의 대표지점을 선정하고 각 지점별로 2회의 현장조사를 통해 각 지점에서의 수심, 유속, 하상재료, 어류 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붕어와 참갈겨니를 대표어종으로 선정하고 Instream Flow and Aquatic Systems Group(IFASG, 1986)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서식지적합도지수를 산정한 후, 미국지질조사국의 물리적서식지모의시스템(PHABSIM)을 이용하여 하천별, 어종별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온천천의 경우, 붕어와 참갈겨니 모두 약 0.7~0.8m3/s에서 가용서식지면적이 가장 크게 산정되어 일 60,000~70,000m3 가량의 환경생태유량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장천의 경우, 붕어는 약 0.6~0.7m3/s, 참갈겨니는 약 0.3~0.4m3/s에서 가용서식지면적이 가장 크게 산정되어, 각각 일 50,000~60,000m3, 25,000~35,000m3 가량의 환경생태유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산정된 환경생태유량을 금번 관측유량 및 현재의 하천유지용수 공급계획량과 비교해보면 온천천에서는 일 15,000m3 이상, 학장천에서는 어종에 따라 일 7,000m3 이상의 추가유량 확보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장천의 경우, 어종에 따른 환경생태유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하천 구간별 유량조사를 통해 어종별 주요 서식지 구간 설정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mprovement Planting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Planting Design with Ornamental Trees in Apartment Complex, Seoul (서울시 아파트단지내 조경수목 배식특성 및 개선 연구)

  • 이경재;한봉호;이수동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8 no.2
    • /
    • pp.236-248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improvement planting method by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planting concept, planting density, planting style and pattern in apartment complex, Seoul. Survey sites were selected by reflecting the change of green area ratio : Hawgok Jugong apartment complex, Gangseo-gu(1974), Samik-green apartment complex, Gangdong-gu(1980), Dongsindaea apartment complex, Gangseo-gu(1992). Green area in apartment complex was classified with front green area, side green area, and back-side green area. Planting concept that composed of landscape planting concept but anyother concept was not, was similar to all sites not differ from creation time. And planted species was not differ from planting style. Planting density was of both conopyㆍunder story layer was 0.0∼0.2 tree/$m^2$, and that of shrub layer was 0.0∼0.5 tree/$m^2$ Shrub layer planting density was insufficient and the density was not changed according to the creation time. Canopyㆍunderstory and shrub was planted to another green space, not concern with multi-layer structure. Planting pattern was utilized to single planting, linear planting, and random triangle planting, but it was not to the change that in each green space planting concept. Green area in apartment complex should be variety according to planting density, planting structure and planting pattern. And we should get the function of covering and beauty in case of front green space, that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increasing green volume in case of back-side green area, that of increasing green volume in case of side green area, apartment compl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