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체키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ryptographic Key Generation Method Using Biometrics and Multiple Classification Model (생체 정보와 다중 분류 모델을 이용한 암호학적 키 생성 방법)

  • Lee, Hyeonseok;Kim, Hyejin;Nyang, DaeHun;Lee, Kyung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8 no.6
    • /
    • pp.1427-1437
    • /
    • 2018
  • While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has been in general use, research is ongoing to apply biometric data to public key infrastructure. It is a significant task to generate a cryptographic key from biometrics in setting up a public key of Bio-PKI. Methods for generating the key by quantization of feature vector can cause data loss and degrade the performance of key extraction.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method for generating a cryptographic key from classification results of biometric data using multiple classifying models. Our proposal does not cause data loss of feature vector so it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key extraction. Also, it uses the multiple models to generate key blocks which produce sufficient length of the key.

Study on Key Generation Using Multi-Eigenfaces (다중 고유얼굴 기반의 키 생성 기법 연구)

  • Kim Ae-Young;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238-240
    • /
    • 2005
  • 인터넷과 같은 개방된 공간에서 중요한 정보는 상당한 발전을 이룩한 암호화 기술에 의해 보호된다 그러나 컴퓨터의 급속한 발전은 암호화의 근간이 되는 키에 대하여 더욱 길고 안전한 키를 요구한다. 이는 기억해야할 또는 안전하게 소지해야할 정보가 더 많아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의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키의 이용은 일정 수준의 보안성을 만족하기위한 키의 길이가 증가됨을 억제하고, 외우거나 소지해야하는 불편함도 해소해준다. 그러나 기존의 생체인식 기반의 키 생성 기법 연구는 여러 종류의 생체인식을 동원한 특징점 및 매개변수 정보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실제 활용함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적용할 단 하나의 생체인식으로 얼굴인식을 채택하였고, 이 얼굴인식의 다중 고유얼굴을 이용하여 특징점 및 매개변수 집합을 형성하고, 이 집합으로부터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키를 생성하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n Releasing Cryptographic Key by Using Face and Iris Information on mobile phones (휴대폰 환경에서 얼굴 및 홍채 정보를 이용한 암호화키 생성에 관한 연구)

  • Han, Song-Yi;Park, Kang-Ryoung;Park, So-Yo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4 no.6
    • /
    • pp.1-9
    • /
    • 2007
  • Recently, as a number of media are fused into a phone, the requirement of security of service provided on a mobile phone is increasing. For this, conventional cryptographic key based on password and security card is used in the mobile phone, but it has the characteristics which is easy to be vulnerable and to be illegally stolen. To overcome such a problem, the researches to generate key based on biometrics have been done. However, it has also the problem that biometric information is susceptible to the variation of environment, whereas conventional cryptographic system should generate invariant cryptographic key at any time. So, we propose new method of producing cryptographic key based on "Biometric matching-based key release" instead of "Biometric-based key generation" by using both face and iris inform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unstability of uni-modal biometries. Also, by using mega-pixel camera embedded on mobile phone, we can provide users with convenience that both face and iris recognition is possible at the same tim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we could obtain the EER(Equal Error Rate) performance of 0.5% when producing cryptographic key. And FAR was shown as about 0.002% in case of FRR of 25%. In addition, our system can provide the functionality of controlling FAR and FRR based on threshold.

생체 정보 보호 기술

  • Park, Gang-Ryeong;Kim, Jae-Hu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4
    • /
    • pp.36-48
    • /
    • 2007
  • 최근 생체 인식 시스템의 보급과 함께, 생체 인식 시스템의 인증 정확도 외에 생체 데이터와 생체 인식 시스템 자체의 보안성, 그리고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해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생체 데이터와 생체 인식 시스템의 보안성 증대를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과기부지정 ERC) 생체인식센터에서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생체 정보 보호 기술에 대하여 소개한다. 이러한 생체 정보 보호 기술에는 생체정보가 도난 되었을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원래의 생체정보를 그대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바꾸어 변환된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생체 정보 변환 기술이 있다. 또한, 원래의 생체정보가 유출되고 이를 이용하여 위조 생체 등을 만들어 공격할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 위조 생체 검출 기술이 있으며, 생체정보의 유출된 출처를 찾기 위해 생체정보에 소유 책임기관 등을 표시하는 데이터 은닉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 외에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암호화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키를 은닉하고 생체정보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에 한하여 키를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도 본 논문에서 소개한다. 끝으로 이러한 생체 정보 보호 기술을 이용하여 생체 인식 시스템의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Biometric System에서의 Privacy 보호 기술

  • 최경택;박강령;김재희
    • Review of KIISC
    • /
    • v.15 no.6
    • /
    • pp.19-30
    • /
    • 2005
  • 본 논문은 현재 생체인식에서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개인 정보(Privacy) 보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이 사용되는데, 우선 생체정보가 도난 되었을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원래의 생체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변환된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생체정보 변환 기술을 소개한다. 또한 원래의 생체정보가 유출되어 이를 이용해 위조 생체 등을 만들어 공격할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 위조 생체 검출 기술을 소개하며, 생체정보의 유출된 출처를 찾기 위해 생체정보에 소유권 등을 표시하는 데이터 은닉 기법도 소개한다. 이 외에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암호화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키를 은닉하고 생체정보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에 한하여 키를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도 소개한다. 끝으로 이러한 개인 정보 보호 기술들을 이용하여 생체인식 시스템의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Study on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MoC Using Fuzzy Vault (퍼지볼트 스킴을 이용한 MoC 기반의 인증 방안 연구)

  • Kim Ae-Young;Seo Seung-Hyu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c
    • /
    • pp.331-333
    • /
    • 2006
  • 중요한 정보의 저장 및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카드가 온라인/오프라인에서 대규모 응용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강력한 사용자 인증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는 생체정보의 사용으로 그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생체정보의 사용은 사용자 인증을 강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우지 않아도 되는 편리한 비밀키를 제공한다. 동시에 중요한 개인정보인 생체정보 및 처리중의 정보를 스마트카드에 의해서 보호받는 MoC(Match on Card) 방식을 적용받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MoC방식의 인증 및 키 추출과정에서는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과정/방법이 키값의 획일성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퍼지볼트 스킴을 이용하여 키의 획일성을 확보하면서 생체정보에 대한 보호를 강화시키는 동시에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Quantum cryptography-used Key Distribution Model Design of U-healthcare environment (양자 암호를 이용한 유헬스케어 환경의 키 분배 모델 설계)

  • Jeong, Yoon-Su;Han, Kun-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1
    • /
    • pp.389-395
    • /
    • 2013
  • As fusing IT and medical technique, the number of patients who adhere medical equipment inside of them is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problem of for the third person to tap or modulate the patient's biometric data viciously. This paper suggests quantum encryption-based key distribution model to share key for the third person not to tap or modulate the patient's biometric data between patient and hospital staff. The proposed model uses one-time pad key that shares key sending random bits not direct sending message of quantum data. Also, it guarantees patient's anonymity because the biometric data of injected-device in the body doesn't be exposed unnecessarily.

An Efficient LWE-Based Reusable Fuzzy Extractor (효율적인 LWE 기반 재사용 가능한 퍼지 추출기)

  • Kim, Juon;Lee, Kwangsu;Lee, Dong 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2 no.5
    • /
    • pp.779-790
    • /
    • 2022
  • Fuzzy extractor is a biometric encryption that generates keys from biometric data where input values are not always the same due to the noisy data, and performs authentication securely without exposing biometric information. However, if a user registers biometric data on multiple servers, various attacks on helper data which is a public information used to extract keys during the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fuzzy extractor can expose the keys. Therefor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reusable fuzzy extractors that are secure to register biometric data of the same person on multiple servers. But as the key length increases, the studies presented so far have gradually increased the number of key recovery processes, making it inefficient and difficult to utilize in security systems. In this paper, we design an efficient and reusable fuzzy extractor based on LWE with the same or similar number of times of the authentication process even if the key length is increased, and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reusably-secure defined by Apon et al.[5].

Secure private key exchange method based on optical interferometry using biometric finger print (생체 지문을 이용한 광학 간섭계에 기반한 안전한 개인키 교환 기법)

  • Jeon, Seok-Hee;Gil, Sang-Keun
    • Journal of IKEEE
    • /
    • v.25 no.1
    • /
    • pp.42-46
    • /
    • 2021
  • A novel key exchange cryptographic method utilizing biometric finger print as a user's private key is proposed. Each unknown users' finger print is encrypted by optical phase-shifting interferometry principle and is changed into two ciphers, which are exchanged with the other party over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for secret key sharing. The transmitted ciphers generate a complex hologram, which is used to calculate a shared secret key for each user.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high security when applied to a secret key sharing encryption system.

Process of the Encryption key using a Physical Information in the U-Healthcare Service (원격의료서비스에서 생체정보를 이용한 암호화키 생성방법 연구)

  • Song, Chung-Geon;Lee, Keun-Ho;Ryu, Gab-Sa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
    • /
    • pp.573-578
    • /
    • 2014
  • Recently as we enter into the world of an aging society, the U-Healthcare service is newly spotlighted. In order to secure this U-Healthcare, a development of security solution that is suitable for the U-Healthcare environment is required. But the U-Healthcare environment is difficult to apply the existing security solution with the lack of standards, a security solution with high completeness was not developed. At this point, in order to structure the safe U-Healthcare environment, a generating method of an encryption key using the body information that helps the effective key management and ensuring the confidentiality of the data is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