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체모방공학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생물학과 기계공학의 만남

  • Lee, Sang-Im;Choe, Hae-Cheon
    • Journal of the KSME
    • /
    • v.52 no.4
    • /
    • pp.30-33
    • /
    • 2012
  • 자연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어 기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생체모방 연구가 기계공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보다 효율적으로 성공적인 생체모방 연구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여기에서는 효율적인 생체모방적 노력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서 생물학과 기계공학의 만남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Robot Control Method in Parameter Space Adopting Biomimetics (생체모방기술을 접목한 파라미터 공간에서의 로봇제어 기법)

  • Kim, Heejoong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2 no.5
    • /
    • pp.16-23
    • /
    • 2018
  • In the paper, a robot control technique by employing Biomimetics is described. Rhythmic movements of the diving beetle's leg were analyzed and the formulated equations on the motion were drawn by applying Fourier least mean square fitting method. Simple control parameters were defined by comparing the observed locomotion through a motion capture system and reproduced motion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values in the equation. Subsequently, the correlation of each parameter was discovered and expressed in a parameter space. Apparently,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bio-mimicking motions can simply be generated for controlling the robot. Additionally, robot designing based on adopting structural advantages which the living organism possess have been briefly introduced. The proposed bio-mimicking motion generating technique was observed to be applicable to robot system development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Status of Research & Education in Recent Biomedical Engineering (최근 생체공학의 연구동향과 그의 교육현황)

  • 박상희
    • 전기의세계
    • /
    • v.20 no.5
    • /
    • pp.43-46
    • /
    • 1971
  • 생체계통과 그 제어기구는 지구상의 여러가지 조건에 조화하려고 점차로 진화되어 왔으며, 현대기술문명의 발달은 인공적으로 자연과의 불조화로 생긴 문제를 해결하도록 계속 노력하고 새로운 생체계통은 모방할 수 있게 연구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생체공학은 의용전자공학의 범위에서 벗어나 medical engineering, biological engineering,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으로 영역은 확장하여 왔으며, 지금 여기서 이야기하고져 하는 생체공학은 bioengineering에 해당하게 그 영역을 정하여 보았다. 본문에서는 생체공학에서 취급되고 있는 분야를 간단히 살펴보고 주로 의용공학에 가까운 영역에 대한 연구동향과 교육현황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Capture Simulation for Space Objects Using Biomimetic Space Nets (생체 모방 우주 그물을 이용한 우주 물체 포획 시뮬레이션)

  • Mi, Jang;Hyun-Cheol, Shin;Chang-Hoon, Sim;Jae-Sang, Park;Hae-Seong, Cho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6 no.6
    • /
    • pp.24-34
    • /
    • 2022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apture of a 12U-sized CubeSat space object using a spider-web structure-based space net. The structural dynamics analysis program ABAQUS is used to simulate the shock-absorbing capability of the space net with a diagonal length of 2.828 m. The space object is modelled as a rigid body, and the space net is modelled using non-linear elastic beam elements. The simulations reveal that the spider-web structure-based space net outperforms the squared space net of the same structural weight in capturing the space object. The numerical simulations are conducted to examine the successful or unsuccessful captures of the space object in various cooperative and non-cooperative motions.

미세공학기술로 만들어낸 인체 아바타: 인체장기칩

  • Heo, Dong-Eun
    • Journal of the KSME
    • /
    • v.53 no.5
    • /
    • pp.45-50
    • /
    • 2013
  • 인체장기칩(Human Organs-on-Chips)은 미세공학, 생체모방, 세포생물학 분야의 기술을 시너지 있게 접목하여 개발되는 신개념의 인체 대리모델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생체모사 시스템의 개발 배경과 최근 연구동향, 그리고 잠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 PDF

의용생체공학과 전기공학과의 관련

  • 박상희
    • 전기의세계
    • /
    • v.23 no.1
    • /
    • pp.29-33
    • /
    • 1974
  • 의용생체공학은 생체시스템에 대한 생물학적, 의학적인 지식과 공학기술을 응용하여 이들 개개의 시스템을 조화시키고, 도 생체시스템과 공학시스템간의 기능조화를 시키며, 양 시스템에 존재하는 환경의 조화를 추구하는 학문이다. 이렇게 볼때 응용생체공학에서 다루는 분야는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게 된다. 1. 생체시스템의 계측, 진단 및 치료에 공학적 수법(수단, 기술, 장치등)을 사용하는 분야.. 의용전자공학, 2. 생체시스템을 공학적으로 해석하고 미지의 생체부분을 예측 또는 해명하는 분야, 사이버네틱스, 3. 생체시스템의 우수한 기능을 모방해서 새로운 공학시스템을 창조하는 분야, 바이오닉스, 4. 공학적 수법을 사용하여 생체기능에 적합한 공학시스템 또는 환경을 개량하는 분야, 인간공학, 환경공학, 그러므로 여기서는 의용생체공학에 속한 여러문제가 전기공학과 더불어 발전하여 온 과정을 먼저 더듬어 보고 전기공학분야와 관련을 갖고 다루어지고 있는 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져 한다.

  • PDF

Moving Control of Snake Robot Using PDA (PDA를 이용한 스네이크 로봇의 동작 제어)

  • 박광식;유영선;주영훈;두평수;박현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04a
    • /
    • pp.418-421
    • /
    • 2004
  • 생체 모방 공학이란 자연의 생명체가 보여 주는 행동이나 구조, 그들이 만들어 내는 물질등을 연구해 모방함으로써 인간 생활에 적용하려는 기술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모방 공학에서 비롯되어 생물학적 뱀이 가지고 있는 특징 중 자유로운 이동 모션이나 좁은 공간을 유연하게 통과하는 성질을 로봇에 응용한다. 연구 목표로서 먼저 뱀의 가장 큰 특징인 사인 파형의 이동모션 원리와 동작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천 가능성을 검증한다 또한 자율 이동시 센서를 이용 장애물을 회피하며 PDA를 제어기로 사용하여 Snake Robot를 제어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