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쥐

Search Result 1,98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Fine Structure of Suxtaglomerular Cells in Streptozotocin-treated Normal and Genetically Diabetic KK Mice (Streptozotocin이 정상 ICR 생쥐 및 유전성 당뇨병을 가진 KK생쥐 사구체곁세포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 최월봉;최창도원무호김남주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3
    • /
    • pp.372-382
    • /
    • 1992
  • 당뇨병유발제인 streptozotocin이 생쥐 신장 사구체곁세포의 미세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일반계통인 ICR생쥐와 유전성 당뇨병계통인 KK생쥐에 streptozotocin을 투여하여 경시적으로 각 동물의 신장 사구체곁세포의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Streptozotocin을 투여한 ICR생쥐의 사구체곁세포는 3일째부터 과립형질내세망의 미약한 팽창과 과립내에 대소 공포의 출현 및 용해소체가 간혹 관찰되었다. 그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심하여 특히 2주 및 4주에서는 과립형질내세망의 팽창, 사립체, 골지장치 및 리보소곤 등이 소수 출현하였는데 비해 대소 용해소체는 많이 관찰되었으며 심한 탈과립으로 인해 세포질내 과립의 면적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그러나 KK생쥐의 실험군에서는 전 실험군에 걸쳐 퇴행성변화가 적었으며 ICR 생쥐 실험군에 비해 그 영향이 훨씬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정상 ICR생쥐에 streptozotocin을 투여하자 되면 ICR생쥐 사구체곁세포에서 과립의 유의한 감소 및 세포내 미세구조의 퇴행성변화가 뚜렷한데 비해 KK생쥐 실험군에서는 ICR생쥐 실험군에 비해 손상을 적게 받았는데 이는 KK생쥐가 갖고 있는 당뇨병에 대한 내성에 의해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 PDF

Comparative Studies of the Combined Dietary Animal and Vegetable Proteins on Growing and Blood Compositions the Weanling Rats and Mice (식이중의 동물성 및 식물성단백질의 종류와 배합비율에 따른 흰쥐 (Rat)와 흰생쥐 (Mouse)의 성장과 혈액성분에 관한 비교연구)

  • Sun, Young Sil;Lee, Sung Woo;Han, In K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12 no.3
    • /
    • pp.273-283
    • /
    • 1983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mbined dietary animal and vegetable proteins on growing female and male rats and mice. 25 female and 25 male rats of 4 weeks old weighing approximately 43-65g and 47-60g, respectively, were subjected to feeding trials for 4 weeks and then subsequently to metabolic trials for 10 days. In case of mice, 25 female and 25 male mice of 4 weeks old weighing approximately 12-17g and 12-16g, respectively, were equally treated. The dietary energy level was set as 3600 kcal ME/kg, and protein and fat provided respectively 12 and 5% of the dietary energy. The rest 83% of the energy level was supplied with appropriate amounts of starch and glucos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body weight gain of female and male rats were increased as the combined dietary animal protein level increased. Whereas that of male mice was the highest for the diet E(Ap 10+Vp 90). Food efficiencies both of female and male rats were improved as combined dietary of animal protein increased. Male rats were superior to that of female. In the mice, the food efficiency value of male mice was superior to that of female. And the values of the male showed the same fashion as that in the growth rate, although it was not for the female. Protein efficiencies, both of female and male rats, were improved as combined dietary of animal protein level increased. That of male mice was in accord with the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ies. But that of female mice was not accordant. Nitrogen retention of the experimental diets in the same protein level was in proportion to nitrogen intake. That of male mice was improved as animal protein level increased, but, that of female mice was not. Body protein utilizability was found to be superior in mice to rats. Blood serum protein level was not found to be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s in the same protein level. The best combination ratio of animal and vegetable protein seems to be variable depending on the sex and species of animals, and the best diets for female and male rats and female and male mice were found to be experimental diet A(Ap 10+Vp 90) or diet B(Ap 75+Vp 25), diet C(Ap 50+Vp 50), and diet E(Ap 10+Vp 90), respectively. From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growth rate of body weight gain from the weanling period to puberty, and that the protein requirements of rats and mice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PDF

Expression Analysis of Diphtheria Toxin-A Gene Regulated by Lck Promoter in Transgenic Mice (형질전환생쥐에서 Lck Promoter에 의한 Diphtheria Toxin-A Gene의 발현 분석)

  • 나루세겐지;이승현;최화식;이성호;박창식;진동일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7 no.3
    • /
    • pp.225-231
    • /
    • 2003
  • Transgenic mice containing Diphtheria Toxin-A (DT-A) gene fused to proximal lck promoter sequences was used for analysis of DT-A gene expression and thymocyte development. The diphtheria toxin gene was expressed in thymus, spleen and liver of transgenic mice confirmed by RT-PCR and Northern blotting. A FACS analysis with thymocyte cell surface antigens antibodies (CD4 and CD8) showed that the number of peripheral mature single positive thymocytes ($CD4^{+}\;and\;CD8^{+}$ cells) T-cells was severely reduced in transgenic mice compared to that in the non-transgenic littermates. A relative portion of $CD8^{+}$ single positive thymocytes was about 33.2% in transgenic peripheral T-cells while 50.6% in wild type. Reduction of $CD4^{+}$ cell numbers in transgenic mice was observed (5.9% in transgenic versus 10.3% in non-transgenic). The data from analysis of these transgenic mice indicate that the proximal lck promoter regulated the expression of DT-A gene at high level in developing thymocytes and the DT-A disrupted developing thymocytes in transgenic mice.

Stable Expression of hGH Transgene in the Milk of Transgenic Mice (유즙내 사람 성장 호르몬을 분비하는 형질전환생쥐의 형질 유전성에 관한 연구)

  • 이철상;김선정;한용만;유대열;이경광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18 no.3
    • /
    • pp.175-182
    • /
    • 1994
  • Rat $\beta$-casein 유전자와 사람 성장호르몬 (hGH) 유전자의 융합유전자를 생쥐 수정란의 웅성전핵에 미세주입하여 형질전환생쥐 (transgenic mouse) 6계통을 확립하였다. 이들로부터 사람성장호르몬(hGH)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조사한 결과, 6계통중 4계통의 생쥐 유즙에서 hGH가 2~900 ng/ml 수준으로 발현되고 있었으며, 혈중에서는 hGH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형질전환생쥐에서 사람성장호르몬이 우선특이적으로 발현, 분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사람성장호르몬의 발현이 확인된 두 계통 (ChGH2-2, CChGH2)의 형질전환생쥐를 대상으로 하여 세대별, 산차별로 유즙내 사람성장호르몬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3세대에 걸쳐, 또한 제1세대에서의 세차례 반복된 비유기에도 유즙내 사람성장호르몬은 지속적으로 분비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형질전환생쥐에서의 외래유전자의 발현성은 반복되는 비유기와 여러 세대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보여 주고 있다.

  • PDF

Analysis of Transgenic Mouse, for the Production of Immunodeficiency Animals (면역결핍동물의 생산을 위한 형질전환생쥐의 분석)

  • 나루세겐지;양정희;이승현;최화식;이성호;박창식;진동일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7 no.2
    • /
    • pp.179-185
    • /
    • 2003
  • To determine whether the diphtheria toxin-A (DT) gene disrupts development of thymocytes in transgenic animal, the DT-A gene was used for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mice directed by proximal Ick promoter sequences. Two transgenic founder mice that contained several copies of transgene were produced by DNA microinjection and integration of transgene in transgenic mice was confirmed by PCR and Southern blotting analysis. Transgenic $F_1$ and $F_2$ mice were produced by outbreeding of founder and $F_1$ mice to investigate expression of transgene and phenotypes in transgneic mice. Expression of the diphtheria toxin gene was confirmed in thymus, spleen and liver of transgenic mice by RT-PCR. In circulating blood of transgenic mice, lower number of circulating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were observed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mice. In addition, transgneic mice had reduced number of circulating peripheral T-cells analyzed by FACS with anti-CD3 antibody. The data in these transgenic mice indicate that DT gene can play a disruptive role in developing thymocytes of transgenic mice resulted in lower number of T-cells that can be applicable to a wide range of tissues in other animals.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Antibody to Mouse Zona Pellucida and its Effect on the Fertilization of Mouse Eggs (생쥐卵子의 透明帶에 대한 抗體의 生産과 이 抗體가 受精에 미치는 影響)

  • Seo, Gwang-Yeong;Lee, Seung-Bae;Choe, Gyeong-Ho;Kim, Chang-Gyu;Jeong, Gil-Saeng;Kim, Jong-Bae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15 no.1
    • /
    • pp.67-77
    • /
    • 1991
  • 本 試驗은 受精初期段階에서 생쥐卵子 透明帶의 機能을 糾明하고 種特異的인 精子受容體의 存在 및 構造理解를 위한 基礎硏究로서 ICR 생쥐의 透明帶를 免疫原으로 하여 토끼에서 抗透明帶抗體를 生産하고 免疫分析法 및 生物學的 檢査法으로 生産된 抗體가 생쥐 透明帶에 特異性이 있음을 確認한 후 이 抗體가생쥐 未受精卵의 體外受精에 미치는 影響과 또 이 抗體를 생쥐에 受動免疫하였을 때 受精에 미치는 影響을 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處理區로서 抗血淸을, 對照區로서 對照血淸을 卵子培養液에 各各 0.3~10%로 含有한 培養液에서 생쥐의 未受精卵을 2時間 培養한 後 觀察하였을 때 對照區 卵子들의 透明帶가 正常的인 形態를 나타내었던 反面에, 處理區의 卵子들은 모두 透明帶 表面에 뚜렷한 沈澱層을 나타내었다. 이어 對照區와 處理區의 卵子를 0.1% pronase가 含有된 培養液으로 옮긴 후 觀察하였을 때, 對照區 卵子들의 透明帶가 5~7分만에 完全히 融解한 反面에, 處理區에서는 2~3時間까지 殘存하였다. 2. 處理區와 對照區 卵子를 FITC-goat anti-rabbit IgG가 含有된 培養液에서 養液한 후 螢光顯微鏡下에서 觀察하였을 때 對照區에서 對照血淸을 10% 含有한 培養液에서 培養한 일부 卵子들의 透明帶에서 희미한 螢光이 나타났으나 血淸稀釋度가 增加함에 따라 전혀 螢光을 나타내지 않았던 反面에, 處理區에서는 抗血淸이 1 : 1,000으로 含有된 培養液에서 培養한 卵子의 透明帶에서도 강한 螢光이 나타났다. 3. 帶抗體를 抗原으로 하여 間接酵素免疫分析法을 實施하였을 때 抗血淸과 對照血淸이 PBS에 1 : 200까지 稀釋되었을 때의 O.D.價는 별다른 差異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血淸의 稀釋度가 增加함에 따라 O.D.價가 有意한 差異를 나타냄으로써 透明帶에 特異性을 갖는 抗體임을 確認할 수 있었다. 4. 抗血淸과 對照血淸이 各各 0.3~10%까지 含有된 培養液으로 생쥐의 未受精卵을 豫備培養한 다음 體外受精을 實施하였을 때의 受精率은 對照區에서 77.7%~87.7%이었던 反面에, 處理區에서는 0~29.8%로서 抗透明帶抗體가 생쥐卵子의 體外受精을 完全히 또는 顯著히 抑制하였다. 그러나 抗血淸과 對照血淸이 各各 2.5~10%까지 含有된 培養液으로 透明帶를 除去한 未受精卵의 體外受精을 하였을 때의 受精率은 處理區와 對照區에서 各各 93.0~98.3% 및 93.3~94.3%로서 受精抑制現象을 나타내지 않았다. 5. 抗血淸과 正常血淸, 그리고 兩 血淸으로부터 protein A-affinity chromatography에 의해 分離한 immunoglubulin G를 各各 생쥐에 受動免疫하였을 때, 對照區로서 對照血淸을 0.1~0.3ml 또는 control IgG를 1~3ml 投與했을 때의 各各의 受精率이 80.4~90.2%, 82.2~94.4%이었던 反面에, 處理區로서 抗血淸을 0.3ml 또는 immune IgG를 3mg 投與한 생쥐에서는 完全한 受精抑制現象이 確認되었다.

  • PDF

Effect of Tang-gwi-eum-za-gagambang along with External Spray Therapy on the Spontaneously Occurring Atopic Dermatitis Development in NC/Nga Mouse (당귀음자가감방(當歸飮子加減方)과 외치방(外治方) 병용이 NC/Nga 아토피 생쥐에 미치는 영향)

  • Kim, Sung-Hun;Kim, Jong-Han;Park, Su-Yeon;Choi, Jung-Hwa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 /
    • v.18 no.1
    • /
    • pp.27-49
    • /
    • 2005
  • 당귀음자가감방(當歸飮子加減方)과 외치방(外治方) 병용의 아토피 치료 기전을 규명하고자 NC/Nga 생쥐의 동물 병태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면역 반응을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NC/Nga 생쥐의 피부손상 정도 16주와 20부에 대조군에 비해 36.0%, 37.8% 감소하다. 2. NC/Nga 생쥐의 혈중(血中) IgE, IL-4, IL-5, IL-6, IgM, IgG1 및 IgG2a 수준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IL-13 수준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IFN-{\gamma}$ 수준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다. 3. NC/Nga 생쥐의 비장 무게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4. NC/Nga 생쥐의 lymph node에서 B/f ratio는 증가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CD4^+$$CD8^+$ 세포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고, $CD4^+$는 유의성있는 감소를, $CD8^+$는 유의성 없는 약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CD69^+$, CD11a 세포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5. NC/Nga 생쥐의 피부조직배양에서 IL-4 IL-5, CCR3 유전자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고, IL-6, IL-13, $CD69^+/CD3{\varepsilon}^+,{\;}CD19^+/CD44^+$ 발현량은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며, $IFN-{\gamma}$의 유전자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6. NC/Nga 생쥐 귀, 목의 피부 조직 변화에서는 표피와 진피의 염증 정도와 침윤된 염증 면역세포 등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7. Lymphokine assay에서 IL-4 발현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減少)하였고, $IFN-{\gamma}$의 발현량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 PDF

한국산 야생 생쥐(Mus musculus subspecies)에서 Chiasma, Univalent 및 X-Y 염색체 조기 분리에 관한 연구

  • Choe, Yeong-Hyeon;Gwon, Yong-Won;Lee, Won-Ho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1
    • /
    • pp.104-112
    • /
    • 1994
  • 한국산 야생 생쥐(Mus muscurus subspecies)와 동계교배 계통인 BALB/c의 정모세포에서 감수분열에 따른 염색체의 chiasma 말단화 여부와 chiasma 빈도, X-Y 염색체의 조기 분리 빈도 등을 조사하였다 한국산 야생 생쥐에서는 chiasma 말단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말단 chiasma는 말단 부위에 특이적으로 생긴 chiasma로 생각되며, chiasma 빈도의 감소와 univalent 빈도의 증가에 관한 ageing의 영향도 관찰되지 않았다. 불임개체에서 X-Y 염색체 조기 분리가 낮은 빈도로 나타나 동계교배 계통과는 다소 상반된 결과를 보였고, chiasma 빈도는 한국산 야생 생쥐가 동계교배 계통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복사기, 이동기 및 중기 1을 거치는 동안 거의 일정한 수준을 보여주었다. 또한 한국산 야생 생쥐에서 특징적으로 개재 chiasma 빈도 보다 말단 chiasma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대해서는 부가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lterations of stratum corneum associated with aging in hairkless mouse (노화에 따른 무모 생쥐의 각질층 상태 변화)

  • 박선규;김영득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2 no.1
    • /
    • pp.27-39
    • /
    • 1996
  • Recently, in vitro stratum curneum model was a useful tool to evaluate the skin condition such as tranespidermal water loss, skin hydration and etc..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alteration of SC with aging in hairless mouse, we measured TEWL using in vitro SC model, SC lipid, and outer corneocytes area. Although the total SC lipid was rich about 30% in 8 week old mouse compared with that of 82 week old mouse, the TEWL values were higher in the former than that of the latter. The outer corneocytes area was 559 $\pm$ 65 $mu extrm{m}$2 in 8 week old mouse and 755 $\pm$ 56 ${\mu}{\textrm}{m}$2 in 82 week old mouse. So the barrier function was reinforced with aging.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reinforced barrier function is one of the defense systems against the outer enviornment and the decreased skin function with aging.

  • PDF

Bisphenol A의 투여가 생쥐의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 박동헌;최영진;정희태;박춘근;김정익;양부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9-9
    • /
    • 2001
  • 내분비계 장애물질 중 관찰물질로 지정된 bisphenol A(BPA)의 투여가 생쥐의 번식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웅성 ICR 생쥐에 무처리구, corn oil, 0.05, 0.5 및 5.0mg BPA/kg b.w의 BPA을 3일 간격으로 5회 투여했으며, 자성 ICR 생쥐도 웅성생쥐와 동일하게 3일 간격으로 5회 투여한 후, 웅성은 투여후 2일, 자성은 7일후에 모든검사를 실시하였다. BPA의 투여가 웅성 생쥐의 번식기관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체중, 정소상체, 정낭선 및 응고선의 무게는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며(P>0.05), 정소의 무게는 5.0mg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다소 낮은 무게를 나타냈다. BPA의 투여가 웅성 생쥐의 정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과 유효 정자수는 각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나 총정자수는 각각 35.50, 35.73, 36.33, 33.13 및 29.28$\times$$10^{7}$ 정자/$m\ell$로서 5.0mg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결과을 나타냈다(P<0.05). 기형율은 5.0mg 투여구가 23.15%로서 무처리구(18.13%), 대조구(18.58%) 및 0.05mg 투여구(19.68%)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기형율을 나타냈다(P<0.05). 웅성 생쥐에 BPA의 투여가 혈액의 일반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RBC, Hb, HT, MCV, MCH 및 MCHC는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WBC는 BPA 투여구가 무처리구 및 대조구보다 다소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PLT는 BPA 투여구가 무처리구 및 대조구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BPA의 투여가 자성 생쥐의 번식기관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체중은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며 자궁의 무게는 BPA 투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다소 논은 무게를 나타냈다. 오른쪽 난소의 무게는 0.5mg 투여구와 5.0mg 투여구가 각각 0.0059 및 0.0061g으로 대조구(0.0081g)와 0.05mg 투여구(0.0071g)보다 낮은 무게를 나타냈으며, 왼쪽 난소의 무게는 각각 0.0076, 0.0076, 0.0058 및 0.0061g으로 0.5mg 투여구가 대조구와 0.05mg 투여구보다 낮은 무게를 나타냈다(P<0.05). BPA의 투여가 자성 생쥐의 혈구화학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RBC, Hb, HT, MCV, MCH 및 MCHC는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WBC는 BPA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PLT는 0.5mg 투여구와 5.0mg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정소, 난소 및 자궁의 조직, 병리학적인 검사에서는 모든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