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존함수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단조 서포트벡터기계를 이용한 카플란-마이어 생존함수의 평활 (Smoothing Kaplan-Meier estimate using monotone support vector regression)

  • 황창하;심주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6호
    • /
    • pp.1045-1054
    • /
    • 2012
  • 서포트벡터 기계는 분류 및 비선형 함수추정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통계적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입력변수와 회귀함수의 단조 관계를 이용하여 단조 서포트벡터기계를 제안하고, Kaplan-Meier의 방법에 의해서 생존함수의 추정값이 주어진 경우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생존 함수를 평활하는 방법 또한 제안한다. 모의실험에서는 실제 생존함수를 이용하여 Kaplan-Meier의 방법에 의한 생존함수의 추정값과의 성능을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보이기로 한다.

KOZIOL-GREEN 모형에서 생존함수에 대한 붓스트랩 구간추정 (Bootstrap confidence interval for survival function in the Koziol-Green model)

  • 조길호;정성화;최달우;최현숙
    • 응용통계연구
    • /
    • 제11권1호
    • /
    • pp.151-161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Koziol-Green 모형에서 생존함수에 대한 신뢰구간을 붓스트랩 방법을 이용하여 제안하고, 생존함수에 대한 붓스트랩 추정량의 일치성을 밝힌다. 또한 제안된 붓스트랩 신뢰구간들을 기존의 근사적 정규분포를 이용한 신뢰구간과 생존함수에 변수변환을 고려하여 구성한 신뢰구간들과 모의실험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제안된 붓스트랩 신뢰구간이 기존의 방법보다 포함확률 측면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고 중도절단율에 덜 민감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 PDF

극단적인 오른쪽 관측중단모형에서 생존함수의 추정 (Estimation of the Survival Function under Extreme Right Censoring Model)

  • 이재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1권2호
    • /
    • pp.225-233
    • /
    • 2000
  • 수명시험에서 시험에 장기간 노출된 대상 부품이나 실험 대상자의 수명은 관측되는 경우보다 관측중단이 일어나기가 쉽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임의중단모형에서 생존함수 추정량으로 흔히 이용되는 Kaplan과 Meier의 추정량은 수명분포의 오른쪽 꼬리부분에서 심각한 편의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정상적으로 관측된 최장수명보다 큰 관측중단수명이 많은 극단적인 오른쪽 관측중단모형에서 새로운 비모수적 생존함수 추정량을 제안하고 그 특성을 몬테칼로 모의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추정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점진적(漸進的) 임의중단법(任意中斷法)에서 생존함수(生存函數)의 비모수적(非母數的) 추정(推定)에 관한 연구(硏究) (Nonparametric Estimation of the Survival Function under Progressively Random Censorship)

  • 박병구;이광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권
    • /
    • pp.45-62
    • /
    • 1991
  • 신뢰수명의 검정이나 임상실험에서 대상물에 대한 관측치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경비가 필요하거나 현실적인 제한으로 인하여 관측이 불가능한 경우가 흔히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점진적 임의중단법에 의하여 얻어진 관측치를 이용한 생존함수의 추정은 현실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연구에서는 점진적 임의중단된 자료를 기초로 스플라인함수를 이용하여 생존함수의 비모수적 최우추정량을 제안하고 그것의 성질과 효율성을 비교 연구한다.

  • PDF

중도절단된 생존함수의 신뢰구간 비교연구

  • 이경화;이재원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1-255
    • /
    • 2005
  • 중도절단된 자료와 표본수가 적은 자료를 가지는 생존분석에서 생존율을 추정하거나 두 집단의 생존율을 비교할 때 정규분포 근사를 가정한 신뢰구간을 이용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생긴다. 생존함수의 신뢰구간에 대한 중도절단을, 표본의 크기에 따른 다양한 상황의 모의실험을 통하여 Kaplan-Meier, Nelson, 적률 추정량 그리고 cox model의 ${\beta}$을 가지고 붓스트랩을 이용한 신뢰구간과 비모수 신뢰구간, 우도비 신뢰구간의 실제 포함 확률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 PDF

비모수적 베이지안 추정량을 이용한 생존함수의 추정

  • 이인석;조길호;이우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5권2호
    • /
    • pp.29-44
    • /
    • 1994
  • 본 연구는 누적위험률함수에 대한 베이지안 추정량을 이용하여 생존함수의 추정량을 제안하고, counting process 이론과 martingale 이론을 이용하여 대표본하에서 제안된 추정량의 일양적 일치성과 점근적 정규성을 밝힌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추정량들의 효율성을 편의와 평균제곱오차의 측면에서 비교하고자 한다.

  • PDF

구간중도절단자료에서 생존함수와 중간생존시간에 대한 추정 (Estimation of Survival Function and Median Survival Time in Interval-Censored Data)

  • 윤은영;김충락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3호
    • /
    • pp.521-531
    • /
    • 2010
  • 구간중도절단은 중도절단의 가장 일반적인 개념으로 구간중도절단자료는 의학 및 역학분야의 연구에서 흔히 관찰된다. 본 연구에서는 구간중도절단의 상황에서 생존함수와 중간생존시간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평균대치법과 자기일치법을 비교 연구하고, 실제 자료로 혈우병환자에서 선천성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시점을 추정하였다. 또한 구간중도절단자료를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생성된 구간중도절단자료를 이용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두 추정치에 대한 다양한 비교연구를 시행하였다. 구간중도절단자료에서 생존함수와 중간생존시간을 추정할 경우 중도절단율이 크지 않다면 평균대치법이 자기일치법보다 더 우수한 추정치로 판명되었다.

Semi-Markov 모형에 기초한 다중상태 생존자료의 준모수적 분석

  • 여성칠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5권3호
    • /
    • pp.777-792
    • /
    • 1998
  • 병원의 임상연구실험에서 종종 환자들의 치료에 따른 병세의 호전상태를 여러단계로 분류하여 상이한 치료방법에 대한 치료효과간의 차이론 알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다중상태의 생존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semi-Markov 모형에 Cox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회귀계수와 기저생존함수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반응확률함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의 결과를 실제 임상실험에서 얻어진 자료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직장암 데이터에 대한 위험률 함수 추정 및 위험률 변화점 추정 (Estimation of hazard function and hazard change-point for the rectal cancer data)

  • 이시은;심병용;김재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6호
    • /
    • pp.1225-123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직장암 환자들의 수술 후 재발까지의 시간 데이터에 대해 집단 간 생존함수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로그 순위 검정 결과 유의수준 10%에서 포도당 단일수송체 (GLUT1)의 수준, 수술 전 병기 (cstage), 수술 후 병기 (ypstage)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며, Cox 비례위험률 모형을 이용하여 검정한 결과 가장 유의한 공변량은 포도당 단일수송체와 수술 후 병기였다. 지수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할 경우, 우도함수를 기반한 여러 가지 위험률 변화점을 추정하였다.

설비 생존곡선 추정을 위한 혼합형 Weibull 함수의 활용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ixed Weibull Function to Estimate Survivor Curves of Industrial Property)

  • 이한교;김경택;오현승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6-73
    • /
    • 2007
  • 일반 투자안의 의사결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산업설비의 경제성 분석에서도 가장 중요한 결정 요소 중의 하나가 설비의 생존곡선 추정이다. 설비의 자산 가치가 감소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여러 원인 중 물리적 훼손이 과거의 산업설비에서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었으므로 기존의 생존모형 분석에서는 lows 생존곡선을 이용하여 설비의 생존곡선을 추정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상의 변화로 인한 첨단 생산시스템의 설비교체 분석 시에는 적합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혼합형 Weibull 함수를 이용하여 설비의 폐기 형태를 추정함으로써 설비들의 실제적인 생존곡선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