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장조절제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33초

농업에서의 식물생장 조절제들 (Growth Regulators in Agriculture)

  • 이영병
    • 생명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8
    • /
    • 1993
  • 천연화합물과 합성화합물은 모두 합쳐서 식물생장조절제라 부르고 이들 화합물은 경우에 따라 식물의 기간들의 생장율을 촉진하거나 억제한다. 호르몬이란 용어는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색물생장 조절제에 국한되는 것이다. 실제의 응용에 있어서 합성된 생장조절제가 사용되는 것은 이 물질이 생체내에서 안정도가 더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합성물질은 식물 호르몬의 구조적인 유사성으로 흉내를 내거나 내생 호르몬들의 생합성, 전류, 및 대사를 조정해서 그 수준을 조절하게 된다. 그래서, 식물생장 조절물질들의 기능과 가능력을 이해하기 위해서 분자수준에서 식물호르몬들의 작용의 양상을 고찰한다.

  • PDF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 중간낙수 및 생장조절제 처리가 생육 및 도복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Lodging of Rice as Affected by Growth Regulators under Different Midsummer Drainage Times in Puddled-soil Drill Seeding)

  • 김상수;백남현;이선용;김종호;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97-704
    • /
    • 1995
  • 벼 무논 골뿌림 재배시 물관리방법 및 생장조절기 처리가 생육 및 도복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94년에 미사질양토(전북통)인 호남 농업시험장 시험포장에서 동진벼를 5월 11일에 골깊이 4cm에 파종하고 중간낙수 회수 및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여 생육 및 도복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시심수에 비하여 2회 낙수구에서 간장이 짧았으며 생장조절제에는 Inbenfide G. > IMP G. > 무처리 순으로 간장이 단축되었다. 2. 상시심수에 비하여 2회 낙수구에서 간벽이 두껍고 뿌리량 및 뿌리의 심층분포 비율이 높았으나 생장조절제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3. 도복지수는 상시심수보다 2회 낙수구가 적고 생장조절제에는 세리타드 > 키타진 > 무처리의 순으로 적었으며 도복은 2회 낙수구에서는 생장조절제 무처리에서만 약간 발생하였으나 상시심수구에서는 무처리 > IBP G.> Inabenfide G.의 순으로 도복발생이 심하였다. 4. 쌀수량은 상시심수구의 생장조절제 무처리에서만 감수하였고 기타 처리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5. 따라서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는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지 않아도 2회(파종후 30일과 50일)에 실금갈 정도로 중간낙수만 하면 도복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生長調節劑 , 溫度 및 光이 취나물류의 種子發芽에 미치는 影響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Temperature, and Light on the Germination in Wild Vegetable (Chwinamul) Seeds)

  • 조동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9-44
    • /
    • 1997
  • 몇가지 생장조절제, 온도 및 광 조건의 차이에 의한 취나물류(참취, 개미취, 수리취 미역취 곰취)의 발아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리취는 암조건에서, 곰취, 참취, 개미취, 미역취는 명조건에서 발아율이 더 높았다. 2. 생장조절제를 처리한 종자는 명조건에서 참취를 제외한 4종의 발아율이 2-10% 향상되었다. 생장조절제 가운데 BA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무처리에 비하여 수리취에서 33%, 곰취에서 20%, 개미취에서 7% 발아율을 향상시켰다. 2. 명조건에서 발아일수는 곰취가 14일로서 가장 길었고 수리취 10일, 개미취 8일, 참취 7일, 미역취 5일 순이었다. 무처리에 비하여 생장조절제 처리구에서는 곰취, 참취, 미역취에서 각각 1일씩, 개미취와 수리취에서 각각 2일씩 단축되었다. 3. 생장조절제를 처리한 종자는 암조건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7-29% 발아율이 향상되었으며 BA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4. 무처리에 비하여 암조건의 생장조절제처리구에서는 개미취 (2일), 수리취(1일), 곰취(1일)의 발아일수가 길어진 참취는 5일이 단축되었다. 수리취를 제외한 나머지 4종의 취나물류 종자의 발아일수는 BA처리에서 1-5일 단축되었다. 5. 참취는 $10^{\circ}C$, 수리취와 곰취는 $15^{\circ}C$, 개미취와 미역취는 $25^{\circ}C$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발아에 효과적인 BA의 적정 농도는 수리취가 200ppm, 곰취와 개미취가 100-150ppm, 참취가 100ppm이었고 미역취는 BA농도에 따른 발아율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Ebb and Flow 시스템에서 적심시기와 생장조절제 처리에 의한 산호수의 생장조절 (Effect of Pinching Time and Plant Growth Retardants on Growth Control of Ardisia pusilla in an Ebb and Flow System)

  • 원은정;박지은;박유경;정병룡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3-340
    • /
    • 2011
  • 순환식 저면관수 시스템에서 분화 산호수 민무늬종과 무늬종에 적합한 효과적인 생장조절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산호수를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1 : 1(v/v)로 혼합한 배양토를 사용하여 직경 10cm 플라스틱분에 2005년 6월 30일 정식하였다. 정식 후 2005년 9월 23일까지 순환식 저면관수 시스템 베드에서 재배하였다. 생장조절제는 Daminozide(B-9) 50, 200, 350, $500mg{\cdot}L^{-1}$, paclobutrazol(Boundy) 10, 40, 70, $100mg{\cdot}L^{-1}$, ethephon(Florel) 5, 15, 25, $35mg{\cdot}L^{-1}$, 그리고 uniconazole(Sumagic) 1, 4, 7, $10mg{\cdot}L^{-1}$을 사용하였다. 생장조절제를 양액에 혼합하여 매관수시마다 화분의 하단에서 2cm 높이까지 담수하여 15~20분간 공급하였다. 관수 후 잉여양액은 다시 탱크로 회수하여 다음 관수시 재사용하였으며, 전량 사용할때까지 교체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두 품종 모두에서 paclobutrazol 처리시 생장억제효과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2차 적심과 함께 paclobutrazol을 처리하였을 때 신초의 생장이 강하게 억제되었다. $200mg{\cdot}L^{-1}$이상의 daminozide는 신초장을 감소시켰으며 ethephon 처리는 효과가 없었다. 생장조절제의 저농도에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paclobutrazol의 왜화 효과가 가장 현저하였다.

벼상자육묘(箱子育苗)에서 살균제(殺菌齊)와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처리(處理)가 묘생육(苗生育) 및 생리장해(生理障害)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everal Fungicides and Growth Regulators on Rice Seedling Growth and Damping-off in Seedling Boxes for Machine Transplanting)

  • 제상율;황정동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1-11
    • /
    • 1987
  • 벼상자육묘(箱子育苗)에서 살균제(殺菌齊)와 생장조절제처리(生長調節劑處理)가 묘생육(苗生育) 및 생리장해(生理障害)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삼강(三綱)벼와 낙동(洛東)벼를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살균제처리(殺菌齊處理)에서 삼강(三綱)벼는 Metalaxyl과 SF8002 처리구(處理區)가, 낙동(洛東)벼는 SF8002와 Metalaxyl처리구(處理區)가 초장(草長)과 3엽(葉) 및 4엽(葉)이 뚜렷한 신장교과(伸長效果)를 보였다. 건물중(乾物重)은 Metalaxyl구(區)가 가장 무거웠고 엽수(葉數)와 묘충실도(苗充實度)는 Dachigaren청리구(廳理區)가 양호(良好)하였으며, 살균제처리구(殺菌齊處理區)가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입고병발생(立枯病發生)이 적었다. 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에서 삼강(三綱)벼에서는 BA처리구(處理區)가, 낙동(洛東)벼에서는 GA,처리구(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길었으며, ABA(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작았고, ABA와 CCC처리구(處理區)가 신근발근력(新根發根力)이 왕성(旺盛)했다. 살균제(殺菌齊)+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에서 살균제(殺菌齊)+GA, 구(區)와 Metalaxyl+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길었으며, Isoprothiolane+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짧았다. Dachigaren+IAA 처리구(處理區)가 건물중(乾物重)과 묘충실도(苗充實度)가 양호(良好)하여 묘소질(苗素質)이 좋았으며, 살균제(殺菌齊)+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가 무처리(無處理)보다 입고병발생(立枯病發生)이 적었다. 또한 삼강(三綱)벼에서는 Metalaxyl+IAA 처리구(處理區)가 낙동(洛東)벼에서는 Dachigaren+IAA 처리구(處理區)가 지상부재생력(地上部再生力)이 양호(良好)했다.

  • PDF

미숙화기와 액아에 의한 네오레게리아의 기내 번식 (In Vitro Propagation of Neoregeria carorinae cv. Tricolor from Immature Flowers and Lateral Buds)

  • 정향영;박봉규;유창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23-227
    • /
    • 1995
  • 네오게레리아의 대량번식을 위해 미숙화기와 액아를 배양하였으며, 배양에 적합한 재료 채취시기, 생장조절제 종류와 농도 및 배양방법이 부정아 형성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미숙화기는 화아분화 4주후에, 액아는 화아 분화 7주후에서 절취하여 배양하는 것이 부정아 형성률이 가장 높았다. 부정아 형성에 적합한 생장조절제 종류와 농도는 MS + BA 1 mg/L + BA 0.5 mg/L이었다. 고체배지가 액체배지보다 부정아 형성 및 생장에 더 효과적이었다. 발근에 적합한 생장조절제 종류와 농도는 NAA 1 mg/L이었다. 액체배지가 고체배지보다 신초의 발근 및 생장에 더 효과적이었다.

  • PDF

Trinexapac-ethyl, Amidochlor 및 Mefluidide가 들잔디 직립생장에 미치는 효과 (Vertical Shoot Growth of Korean Lawngrass (Zoysia japonica Steud.) Influenced by Trinexapac-ethyl, Amidochlor, and Mefluidide)

  • 김경남;김용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5호
    • /
    • pp.572-577
    • /
    • 1999
  • 여러 가지 생장조절제가 들잔디 직립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예초관리에 적절한 생장조절제 종류 및 적용수준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페어웨이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들잔디 연구포장에서 1995년 2회에 걸쳐 각각 다른 장소에서 실시하였다. 공시한 3종류 생장조절제 모두 들잔디 생장을 억제하였지만, 억제기간은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처리 1주 후 대부분의 생장조절제 처리구에서 약 10%에서 20% 정도의 억제효과가 있었다. Amidochlor 처리구는 $0.30mL{\cdot}m^{-2}$에서 $0.60mL{\cdot}m^{-2}$ 사이까지 3, 4주 정도 효과가 지속되었고, $0.08mL{\cdot}m^{-2}$ 이상의 trinexapacethyl 처리구에서는 8주까지 약 35% 정도의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다른 생장조절제에 비해 생장억제가 3, 4일 정도 빨리 나타난 mefluidide 처리구도 8주 정도 억제효과가 있었지만, 엽색 퇴화도 동시에 관찰되었다. 직립생장억제 관점에서 관리 정도가 낮게 유지되는 한국잔디에서 장기간 효과는 trinexapac-ethyl 처리가 amidochlor 및 mefluidide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계절에 따라 생장조절제의 효과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들잔디 생육왕성기인 7월 처리에 비해 6월 처리시 직립경 생장억제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잔디 관리시 생장조절제 종류에 따라 30%에서 60% 정도 예초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초 관리와 관련하여 기대하는 생장억제 기간에 따라 생장조절제 종류 및 적용 수준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에서 파종량과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내도복성과 수량성 (Effect of Seeding Rates and Growth Regulator Application on Lodging Resistance and Yield in Direct Seeding on Flooded Paddy Surface)

  • 송동석;김용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23-130
    • /
    • 1996
  • 국내 쌀 생산비를 절감하여 국제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에서 많이 발생하는 도상에 대한 기초연구로 담수표면직파재배에 있어서 파종량과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내도복성과 수량성에 대한 시험을 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량에 따른 입묘수는 60.9~143.4개/$m^2$의 분포를 보였으며, 립묘율은 71.7~76.1%로 양호한 경향이었다. 2. 파종량이 많을수록 간장이 길었으며, 생장조절제 KIM-112 처리에 의한 하위절간의 단축으로 간장 단축이 뚜렷하였고, 처리시기에 따라 단축정도는 각각 달랐다. 3. 생장조절제 KIM-112 처리는 엽각과 상위엽을 작게하여 직립화에 의한 수광태세가 개선되었으며, 또한 간기중이 증가하였으며 파종량이 많을수록 도복경감 효과가 컸다. 4. 줄기 좌절시 모멘트와 간직경은 파종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으며 그 정도는 KIM-112 처리에서 훨씬 작았고,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많아졌고, 등숙률과 천립중은 KIM-112처리에서 약간 높았다.

  • PDF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의 화사 유래 캘러스로부터 체세포배발생 (Somatic Embryogenesis from Filament-Derived Callus of Paeonia lactiflora PALL.)

  • 정재동;한증술;손재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7-51
    • /
    • 1995
  • 작약(Paeonia lactifloral Pall)의 회사조직을 배양하여 체세포배의 획득 가능성을 밝히고 유묘의 대량번식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5월 중순경 채취한 화뢰로부터 회사조직을 절취하여 2,4-D 농도를 달리한 4종 의 MS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2,4-D 1.0 mg/L, 0.5 mg/L, 0.1 mg/L 첨가한 배지 순으로 캘러스의 형성과 생장이 양호하였고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는 회사조직이 갈변하여 캘러스 발생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이들 캘러스를 설탕만 20 g/L로 줄인 동일한 생장조절제 조성의 배지에서 계대배양했을 때 증식이 양호하였다. 체세포배 유기를 위해 5 mm 크기의 캘러스를 3종의 배지에 이식했을 때2,4-D 0.5 mg/L 첨가배지에서 얻은 캘러스를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배양 80일 후 38.0%의 가장 높은 배발생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설탕 첨가농도와 활성탄 첨가유무를 달리한 6종의 생장조절제 무첨가 배지에 계대배양 중인 캘러스를 배양했을 때 2,4-D 0.5 mg/L 첨가배지에서 유기증식된 캘러스를 설탕 농도는 20 g/L로 동일하고 활성탄을 3 g/L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 60일 후 60.0%로 가장 높은 배발생률을 나타내어 배발생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발생된 배들의 이식 적정시기를 구명하기 위해 발육상별로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 이식했을 때 부착된 모조직으로부터 다수의 배가 유기되었는데 어뢰형 배를 이식했을 경우 배의 증식률이 1.4배로 가장 높았으며 성숙배로의 발육도 양호하였다. 유백색의 자엽이 전개된 배들은 GA3 0.3 mg/L가 첨가된 배지에 이식하여 5$^{\circ}C$ 에서 2주간 암상태로 전처리 했을 때 배양 1개월 후 37% 의 배가 발아하였으며 발아된 배들을 BA 2.0 mg/L 첨가배지로 이식함으로써 유식물체로 생장하였다.

  • PDF

상토 및 생장조절제 처리가 꾸지뽕나무의 삽목번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dsoil and Growth Regulator on Cutting Propagation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 김인재;김민자;남상영;이철희;김홍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5-288
    • /
    • 2004
  • 꾸지뽕나무의 대량번식을 위한 상토와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삽목 번식에 관한 시험을 수행한 바, 삽목상토는 미풍화토에서 양호하여 숙지삽과 녹지삽에서 각각 56.9%, 62.3%의 발근율을 보였고, 생장조절제는 IBA 100 ppm처리에서 발근이 양호하여 숙지삽에서 57.9%, 녹지삽에서는 89.2%의 발근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