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육환경

검색결과 3,304건 처리시간 0.039초

고품질 표고(동고,화고)의 시설재배를 위한 기상환경 분석 (Meterological Analysis for Protected Cultivation of High-Quality Oak Mushroom(DongGo,WhaGo))

  • 최원석;손정익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67-70
    • /
    • 1999
  • 시설내의 고품질 표고생산을 위하여 동고와 화고의 생육환경을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설재배를 위한 생육환경 구명을 위하여 기상환경을 분석한 결과, 290종균의 발생 범위의 하한치부터 진폭이 시작되어 후기로 갈수록 최고 발생 적온으로 상승하였다. 습도는 화고의 경우, 생육초기는 적정 생육습도가 유효하며, 후기로 갈수록 습도의 일교차가 증가하여 화고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동고 및 화고 발생기간의 기상환경을 분석한 것으로, 추후 시설 내에서의 고품질 표고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 가능하다.

  • PDF

내염성 미생물의 생태학과 산업적 이용 가능성

  • 조무제
    • 미생물과산업
    • /
    • 제14권3호
    • /
    • pp.31-32
    • /
    • 1988
  • 염농도는 미생물 생육에 중요한 환경요인의 하나로서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염농도 1% 이내를 생육 최적조건으로 하지만 자연계에는 염농도 1% 이상에서 포화염농도까지 생육이 가능한 것들도 많다. 미생물 중에는 생육 최적염농도보다 높은 환경에 처하면 여러가지 적응기작에 의해 고염분 농도에 적응하면서 생육할 수 있는 내염성 미생물과 고염농도 환경을 생육 최적조건으로 하는 호염성 미생물로 대별할 수 있다.

  • PDF

맥류 내냉성에 관한 연구 제5보 맥류근의 생육환경차이가 지하 및 지상부의 형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Wet-injury Resistance of Wheat and V. Inter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s of Roots and Those of Tops in Barley and Wheat Crop)

  • 서형수;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6-72
    • /
    • 1979
  • 동일주에서 발생한 근을 이등분하여 생육환경을 바르게 하였을 때 근부와 지상부의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1. 근의 생육에 좋은 환경에서 성장한 편보다 과습 과건등 좋지 못한 환경에서 성장한 편이 근수는 적고 근장은 짧았으며 근중은 가벼웠다. 2. 또 근의 양편 모두 생육에 좋은 환경에서 성장한 주보다 한편만이 좋지 못한 환경에서 성장한 주가 근수는 적고 근장은 짧았으며 근중은 가벼웠다. 3. 따라서 동일주에서 한편의 근을 생육환경을 불량하게 하였을 때 그 근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지상부의 생육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고 일주전체에 영향이 있는 경향으로 4. 근의 양편 모두 생육에 좋은 환경에서 성장한 주보다 한편만이 좋지 못한 환경에서 성장한 주가 출수기는 지연되고 간장과 수장이 짧았으며 유효경비율도 낮았다. 5. 수량은 근의 생육량과 정의 유의상관을 보여 근의 생육이 좋은 환경에서 성장한 주에 비하여 임쪽이 좋지 못한 환경에서 성장한 주의 수량이 감수되었는데 감수정도는 과건>과습, 사토> 식양토 순위였다.

  • PDF

식물공장의 지상부 환경에 대한 최적제어 알고리즘 (Optimal Control Algorithm for the Growth Environment of Plant Factory)

  • 홍순호;류관희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5년도 특강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53-54
    • /
    • 1995
  • 식물공장의 생육환경 제어는 작물의 생장 프로세스에 대한 지식을 이용하여 시설 내부의 환경요인을 경제적 최적 상태로 구현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작물 생장에 대한 생물학적 관점과 환경제어 시스템에 관련된 공학적 관점, 그리고 수확된 작물과 에너지 투입에 대한 경제적 관점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식물공장의 지상부 환경에 대한 작물의 생장 모델과 환경제어에 소요되는 에너지 투입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효율적인 생육환경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으며 그 과정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략)

  • PDF

플라스틱 하우스의 2단재배를 위한 생육환경에 관한 연구 (Study of Growing Environment for Double Cropping in Plastic Flim House.)

  • 김기성;김문기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7년도 가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8-13
    • /
    • 1997
  • 온실내 재배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위해서 2단으로 베드를 설치할 경우 하단부의 생육환경은 상단부와 많은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광환경은 매우 열악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호음성식물(Shade plant)의 경우 광포화점이(400$\mu$mol$^{-l}$ m$^{-2}$ ) 비교적 낮기 때문에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략)

  • PDF

적산일사량에 따른 상추 생육모델 (Growth Model of Leaf Lettuce Based on the Cumulative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 문보흠;이병일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85-92
    • /
    • 2002
  • 채소는 다른 작물에 비해 생육기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환경이 제어되는 시설에서 양액재배를 할 경우에는 생육이 왕성하므로 노지에 비해 재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근권부 양액제어나 지상부 환경제어를 통해 고품질 채소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빠른 생육을 제어하거나 예측할 수 없어 수확적기를 놓치면 외관적 품질이 현저히 떨어지고 질적 품질도 저하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기 힘들게 된다. (중략)

  • PDF

비파괴 작물 생육측정장치 개발 및 활용방법

  • 정수호;이형석;조혜성;조연진;안호섭;정종모;김희곤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24
    • /
    • 2023
  • 현대화된 재배법은 작물의 생육을 위해 시설내부의 환경을 제어하고 실시간 센싱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고 있으나, 작물의 생육·생장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에 대한 생육데이터 취득은 아직까지도 전문 재배사·농민이 수작업을 통해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작물의 생육데이터 자동 취득을 위한 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실용화하기 위한 정확도 측정 시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위한 장치구성은 3D Depth 카메라(Intel D415)와 운용 PC이며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작물의 세부기관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모델을 포함한다. 장치는 다양한 재배환경의 작물 생육데이터 취득을 위하여 휴대용, 고정형, 로봇형 3가지 유형으로 개발하였고 측정 정확도 검증은 휴대용 생육측정장치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수작업이 아닌 영상에 의한 생육 데이터수집으로 작물의 생육정보(측정값+이미지)를 확보함으로써 환경데이터와 함께 객관적인 정보에 의한 작물의 생산량, 수확시기 등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 PDF

무기이온제어가 반결구상추의 무기이온흡수, 증산량, 광합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Control on the Growth of Butter-head lettuce in Nutrient Film Technique)

  • 심미영;이용범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 발표요지
    • /
    • pp.165-167
    • /
    • 1998
  • 식물은 생육에 필요한 특정양분의 요구도가 환경요인, 품종 및 생육단계에 따라 좌우된다. 양액내 특정양분의 부족과 축적은 NFT같은 순환식 재배시스템에서 많은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식물생육이 주로 근권내 EC 조절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Ca, Mg, SO$_4$, Cl, Na, HCO$_3$$^{-}$등이 축적되기 쉬워 대규모 엽채류 재배농가와 식물공장에서 작물생육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버섯재배 무균 생육환경 조성을 위한 스마트팜 통합제어 시스템 (Smart Farm Control System for the Creation of Mushroom-Cultivated Aseptic Environment)

  • 주영태;김선희;김응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59-564
    • /
    • 2021
  • ICT의 발전에 따라 농업 분야에서는 재배시설의 첨단화를 위해 스마트팜 관련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스마트팜은 특정 작물이 아닌 여러 분야에 활용이 가능한 범용 시스템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버섯재배에 특화된 무균 생육환경 조성이 가능한 환경제어 장치 및 통합제어시스템을 제안하고, 구성되는 시스템의 설계, 제작 및 프로그램을 구현해 재배환경에 대한 시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정밀한 생육환경 유지가 필요한 작물에 최적화된 스마트팜 구축이 가능하다.

미세증식 시스템의 환경제어 및 기내 감자 소식물체의 생육 정량화에의 응용 (Environment Control of Micropropagation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Growth Modelling of Potato Plantlets)

  • 이훈;손정익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72-173
    • /
    • 2001
  • 기내 환경과 소식물체의 생육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밀 환경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CO₂, PPFD, RH등의 환경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본 시스템 내에서의 소식물체 생육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은 총 5개의 챔버를 부착하여 외부 환경과 밀폐된 조건을 구현하고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환경 제어 알고리즘을 완성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