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육환경

Search Result 3,30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Meterological Analysis for Protected Cultivation of High-Quality Oak Mushroom(DongGo,WhaGo) (고품질 표고(동고,화고)의 시설재배를 위한 기상환경 분석)

  • 최원석;손정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04a
    • /
    • pp.67-70
    • /
    • 1999
  • 시설내의 고품질 표고생산을 위하여 동고와 화고의 생육환경을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설재배를 위한 생육환경 구명을 위하여 기상환경을 분석한 결과, 290종균의 발생 범위의 하한치부터 진폭이 시작되어 후기로 갈수록 최고 발생 적온으로 상승하였다. 습도는 화고의 경우, 생육초기는 적정 생육습도가 유효하며, 후기로 갈수록 습도의 일교차가 증가하여 화고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동고 및 화고 발생기간의 기상환경을 분석한 것으로, 추후 시설 내에서의 고품질 표고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 가능하다.

  • PDF

내염성 미생물의 생태학과 산업적 이용 가능성

  • 조무제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4 no.3
    • /
    • pp.31-32
    • /
    • 1988
  • 염농도는 미생물 생육에 중요한 환경요인의 하나로서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염농도 1% 이내를 생육 최적조건으로 하지만 자연계에는 염농도 1% 이상에서 포화염농도까지 생육이 가능한 것들도 많다. 미생물 중에는 생육 최적염농도보다 높은 환경에 처하면 여러가지 적응기작에 의해 고염분 농도에 적응하면서 생육할 수 있는 내염성 미생물과 고염농도 환경을 생육 최적조건으로 하는 호염성 미생물로 대별할 수 있다.

  • PDF

Studies on the Wet-injury Resistance of Wheat and V. Inter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s of Roots and Those of Tops in Barley and Wheat Crop (맥류 내냉성에 관한 연구 제5보 맥류근의 생육환경차이가 지하 및 지상부의 형질에 미치는 영향)

  • Hyung-Soo Suh;Rae-Kyung Park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4 no.1
    • /
    • pp.66-72
    • /
    • 1979
  • inter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s of the top and the root within a plant was investigated by deviding the roots of the plant into two parts and growing each one in two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roots grown on the poor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over flooding moisture and overdried were less in numbers of root. shorter in root length. and lighter in root weight than those of good growing condition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roots grown under the poor environmental conditions affected not only the growing of the associated tillers but also the growing of all the tillers within a plant. In comparision with untreated plants. the culm length of treated plants was shortened. and the heading time of them was delayed. The most remarkable yield reduction was appeared at the over flooding moisture treatment. and the next was at the overdried treatment. The ten dency of yield reduction was more severe in sandy soil than that of clay loam.

  • PDF

Optimal Control Algorithm for the Growth Environment of Plant Factory (식물공장의 지상부 환경에 대한 최적제어 알고리즘)

  • 홍순호;류관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5.04a
    • /
    • pp.53-54
    • /
    • 1995
  • 식물공장의 생육환경 제어는 작물의 생장 프로세스에 대한 지식을 이용하여 시설 내부의 환경요인을 경제적 최적 상태로 구현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작물 생장에 대한 생물학적 관점과 환경제어 시스템에 관련된 공학적 관점, 그리고 수확된 작물과 에너지 투입에 대한 경제적 관점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식물공장의 지상부 환경에 대한 작물의 생장 모델과 환경제어에 소요되는 에너지 투입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효율적인 생육환경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으며 그 과정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략)

  • PDF

Study of Growing Environment for Double Cropping in Plastic Flim House. (플라스틱 하우스의 2단재배를 위한 생육환경에 관한 연구)

  • 김기성;김문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11a
    • /
    • pp.8-13
    • /
    • 1997
  • 온실내 재배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위해서 2단으로 베드를 설치할 경우 하단부의 생육환경은 상단부와 많은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광환경은 매우 열악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호음성식물(Shade plant)의 경우 광포화점이(400$\mu$mol$^{-l}$ m$^{-2}$ ) 비교적 낮기 때문에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략)

  • PDF

Growth Model of Leaf Lettuce Based on the Cumulative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적산일사량에 따른 상추 생육모델)

  • 문보흠;이병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04a
    • /
    • pp.85-92
    • /
    • 2002
  • 채소는 다른 작물에 비해 생육기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환경이 제어되는 시설에서 양액재배를 할 경우에는 생육이 왕성하므로 노지에 비해 재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근권부 양액제어나 지상부 환경제어를 통해 고품질 채소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빠른 생육을 제어하거나 예측할 수 없어 수확적기를 놓치면 외관적 품질이 현저히 떨어지고 질적 품질도 저하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기 힘들게 된다. (중략)

  • PDF

비파괴 작물 생육측정장치 개발 및 활용방법

  • 정수호;이형석;조혜성;조연진;안호섭;정종모;김희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Conference
    • /
    • 2023.04a
    • /
    • pp.24-24
    • /
    • 2023
  • 현대화된 재배법은 작물의 생육을 위해 시설내부의 환경을 제어하고 실시간 센싱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고 있으나, 작물의 생육·생장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에 대한 생육데이터 취득은 아직까지도 전문 재배사·농민이 수작업을 통해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작물의 생육데이터 자동 취득을 위한 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실용화하기 위한 정확도 측정 시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위한 장치구성은 3D Depth 카메라(Intel D415)와 운용 PC이며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작물의 세부기관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모델을 포함한다. 장치는 다양한 재배환경의 작물 생육데이터 취득을 위하여 휴대용, 고정형, 로봇형 3가지 유형으로 개발하였고 측정 정확도 검증은 휴대용 생육측정장치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수작업이 아닌 영상에 의한 생육 데이터수집으로 작물의 생육정보(측정값+이미지)를 확보함으로써 환경데이터와 함께 객관적인 정보에 의한 작물의 생산량, 수확시기 등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 PDF

Effects of Nutrient Control on the Growth of Butter-head lettuce in Nutrient Film Technique (무기이온제어가 반결구상추의 무기이온흡수, 증산량, 광합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 심미영;이용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8.05a
    • /
    • pp.165-167
    • /
    • 1998
  • 식물은 생육에 필요한 특정양분의 요구도가 환경요인, 품종 및 생육단계에 따라 좌우된다. 양액내 특정양분의 부족과 축적은 NFT같은 순환식 재배시스템에서 많은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식물생육이 주로 근권내 EC 조절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Ca, Mg, SO$_4$, Cl, Na, HCO$_3$$^{-}$등이 축적되기 쉬워 대규모 엽채류 재배농가와 식물공장에서 작물생육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Smart Farm Control System for the Creation of Mushroom-Cultivated Aseptic Environment (버섯재배 무균 생육환경 조성을 위한 스마트팜 통합제어 시스템)

  • Ju, Yeong-Tae;Kim, Sun-Hee;Kim, Eung-K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3
    • /
    • pp.559-564
    • /
    • 2021
  • With the development of ICT, research on smart farms is steadily progressing in the agricultural field for the modernization of cultivation facilities. However, most of the current smart farms are not specific crops, but general-purpose system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In this paper, an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and an integrated control system capable of creating a aseptic growing environment required for mushroom cultivation were proposed, and the system was designed, manufactured, and programm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build a smart farm optimized for crops that is needed to maintain a precise growing environment.

Environment Control of Micropropagation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Growth Modelling of Potato Plantlets (미세증식 시스템의 환경제어 및 기내 감자 소식물체의 생육 정량화에의 응용)

  • Lee, Hoon;Son, Ju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11a
    • /
    • pp.172-173
    • /
    • 2001
  • 기내 환경과 소식물체의 생육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밀 환경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CO₂, PPFD, RH등의 환경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본 시스템 내에서의 소식물체 생육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은 총 5개의 챔버를 부착하여 외부 환경과 밀폐된 조건을 구현하고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환경 제어 알고리즘을 완성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