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육시기

Search Result 1,54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hemical compositions of Lentinula in growth stage - A study on application plan of Lentinula I - (표고버섯의 생육시기별 성분분석 - 표고버섯의 활용방안 연구 I -)

  • 조덕봉;현규환;나광출;최지호;서재신;강성구;김용두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5 no.2
    • /
    • pp.128-134
    • /
    • 2002
  • Content of crude protein in both pileus and stalk increased progresively as growth period became longer and then decreased at old stage. Contents of ash and reducing sugars followed the same trend as that of the crude protein. However, content of crude lipid decreased as growth progressed more. Seventeen kinds of amino acid were detected in Lentinula. Content of total amino acid increased as mushroom grew more, but decreased after old stage. The amino acid such as Glu, His, Gly and Ala were contained with relatively large amount in Lentinula. Content of free amino acid showed the similar trends as that of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most of the mineral increased as growth period progressed, but K content decreased as growth period became longer. Contents of K and P were much higher than contents of other mineral. The major fatty acid contained in Lentinula were linoleicacid, palmitic acid and oleic acid. The large amount of volatile component in Lentinula was 1-octen-3-ol, so that this material was speculated to be major source of perfume. Other perfumic materials such ethyl acetate, 3-octanone, ethanol, (E)-2-octenal, 4-octen-3-one, acetaldehyde, ethyl formate were also contained in Lentinula, especially in pilous.

Growth characteristic of lettuce (Lactuca sativa L.) based on Pulse Width modulation of artificial light sources with UV-A. (UV광원을 포함한 인공광원의 펄스폭 변조에 따른 적치마 상추의 생육특성)

  • Kwak, Su-Ji;Kwak, Eun-Ji;Lee, Hyun-Hee;Lee, Seung-Ki;Han, Jae-Woong;Jeon, Myung-Jin;Kim, 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3-123
    • /
    • 2017
  • 식물공장 내 작물의 생육은 제공되는 인공광원의 광원 및 광질에 영향을 받으며, 광흡수 파장에 따라 다르다. 또한 광합성에 효과적인 형태의 빛의 계속적인 빛의 조사보다는 광 펄스를 조절하여 공급하여 준다면 더욱더 효과적인 생육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식물의 최적 생장을 위해 특정 파장대의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LED특성을 사용하여 UV광원을 포함한 인공광원의 펄스폭 변조에 따른 적치마 상추의 생육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광환경은 Red(660 nm), Blue(450 nm), UV(395 nm) LED를 8:1:1 비율로 광량 $160{\mu}mol{\cdot}m^2{\cdot}s^{-1}$, 주파수 1.25, 2.5, 3.75, 5.0 kHz로 조사하여 주었으며, 온도 $20{\sim}23^{\circ}C$, 습도 50~60%, $CO_2$농도 1,000 ppm으로 조성하여 주었다. 아시아종묘 적치마상추를 파종 후 18일 째 되는날 정식, 정식 후 14일 28일 째 되는날 SPAD, 지상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 엽폭, 엽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엽폭과 엽장을 이용하여 엽형지수 산출, 지상부 지하부 생체중 값을 이용하여 S/R율을 산출하였다. SPAD 측정결과 생육시기가 증가할수록 SPAD함량은 감소하였으며, 1.25와 2.5 kHz에서 생육 시기 증가에 대한 SPAD함량 감소가 컸고, 3.75와 5.0 kHz의 경우 SPAD함량의 감소량은 작았다. 지상부 생체중은 3.75 kHz에서 121.51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2.5, 1.75, 5.0 kHz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났다. 지하부 생체중의 경우 3.75 kHz에서 31.31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2.5, 5.0, 1.25 kHz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엽형지수는 생육 시기가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75, 2.5, 5.0, 3.75 kHz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지상부 건물중 측정결과는 지상부 생체중 결과와, 지하부 건물중의 측정결과는 지하부 생체중 결과와 동일하였다. S/R율은 1.75 kHz를 제외하고 생육시기가 증가할수록 S/R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S/R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형지수는 엽폭/엽장으로 엽형지수를 산출한 결과로 값이 작을수록 엽폭이 넓은 형태를 의미하며, 생체중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던 3.75 kHz에서 엽형지수의 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3.75 kHz를 제외하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엽형지수의 값이 낮게 나타났다. 이에 주파수에 따른 적상추의 생육은 3.75 kHz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Quercetin and Souble Tannin in Houttuynia cordata $T_{HUNB}.$ according to Growth Stages and Plant Parts (어성초 생육 시기 및 부위별 Quercetin과 Tannin 함량 비교)

  • Lee, Seong-Tae;Lee, Young-Han;Choi, Yong-Jo;Shon, Gil-Man;Lee, Hong-Jae;Heo, Jong-Soo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10 no.1
    • /
    • pp.12-16
    • /
    • 2002
  • Concentration of quercetin and soluble tannin in Houttuynia cordata were determin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as well as plant parts and application amounts of compost. Both contents of quercetin and tannin at growth stages were decreased before flowering time but slightly increased after flowering. The both contents of components in Houttuynia cordata collected on April 20 were shown to be marked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collected in May or June. The contents of quercetin and tannin at different organs were the highest in the flower. In the experiment of application amounts of compost, as application amounts is increased, fresh weight of aerial part was increased but the contents of quercetin and tannin were decreased. The contents of quercetin and tannin were the highest with 0.67% and 2.3%, respectively, in the compost non-treatment.

Effects of Cutting Dates on Hay Production of Italian Ryegrass in Paddy Field (예취시기가 답이작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건초생산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g-Doo;Chae, Jae-Suk;Park, Tae-Ill;Chang, Young-Sun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7 no.4
    • /
    • pp.372-376
    • /
    • 199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hay making time on the drying period, hay moisture content, hay loss content, yield and forage quality of Italian ryegrass in paddy field. Plant height increased rapidly from middle of April, and leaf weight rate were 55.6% at April 20 and 18.9% at May 30. Moisture content and loss content of hay were 17.1-20.5% and 10.2-15.0%, respectively, at drying for 4 days from May 10 to May 30. As the growth stage later, crude protein, fat and ash contents reduced, but crude fiber and NFE contents increased. Dry matter and TDN yield at the cutting of May 20 and May 30 increased to 17-18% and 5-11%, respectively, than those of April 20+May 30.

  • PDF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확시기 절정을 위한 건물률의 이용

  • 김종덕;박형수;김수곤;김동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Conference
    • /
    • 1999.06a
    • /
    • pp.81.2-82
    • /
    • 1999
  • 본 연구는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정확한 수확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생육일수(출사 후 일수), 유효적산은도(GDD), 유선(milk line) 및 건물률을 비교하였다. 출사 후 수확시기(황숙초기)까지의 일수는 35-42일이 소요되었으며 파종시기가 지연될수록 단축되었다. 한편 유효적산온도는 출사 후 일수와는 반대로 높았다. 옥수수의 사초 수량과 사료가치를 함께 고려한 적정 수확시기를 건물률은 30∼36%이었으며, 이 시기 내에서 농가의 사정에 따라 적정 수화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여겨진다.(중략)

  • PDF

Using GNDVI to estimate leaf nitrogen contents in rice canopy (GNDVI 룰 이용한 벼 군락 엽 질소함량 추정)

  • Kim, Yi-Hyun;Hong, Suk-Young;Kim, Myung-Sook;Kwak, Han-Ka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43-48
    • /
    • 2007
  • 본 연구는 벼 군락의 분광반사율 지표를 측정할 수 있는 인공광원을 사용하는 능동형 광학 센서인 GNDVI 를 활용하여 생육시기별 식생지수와 엽 질소함량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벼 군락의 엽 질소함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농업과학기술원 답작 포장에서 공시품 종인 추청벼를 이용하여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구 배치를 하고 질소 4수준 3반복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벼 생육시기별 GNDVI 와 엽 질소함량과의 관계를 2년 간 (2005, 2006)의 자료를 통하여 분석해 보았다. 2005년의 경우 벼 생육시기동안 9시기의 GNDVI값과 그 당시 시료를 샘플링하여 분석한 엽 질소함량과의 관계를 벼 출수전과 출수후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GNDVI 값은 출수전 ($r=0.78^{***}$ n=60) 보다 출수후 ($r=0.89^{***}$, n=59) 가 엽 질소함량과의 상관계수가 높았다. 2006년은 20시기동 안 생육시기별 식생지수와 엽 질소함량과의 상관 분석한 결과 착근기 (6월 5일) $r=0.84^{***}$, 유수분화기 (7월 11일) $r=0.95^{***}$, 출수기 (8 월 16일) $r=0.87^{***}$, 수확기 (10월 13일) $r=0.90^{***}$ 으로 출수전의 경우 7월 11일이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고, 이 결과는 2005년 동일시기 (7월 11일) 식생지수와 벼 엽 질소함량과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던 ($r=0.91^{***}$) 것과 일치하였다. 벼 생육시기 변화에 따른 식생지수와 엽 질소 흡수량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벼 출수전의 경우 GNDVI는 7월 11일 에 엽 질소 흡수량과의 상관계수 ($r=93^{***}$)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출수후의 경우에는 시기에 따라 상관계수가 고르게 높게 나타났다. 엽 질소함량과의 상관관계가 높았던 2005년,2006년 7월 11일 식생지수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엽 질소함량과의 관계를 추정식으로 작성하였다. GNDVI를 이용하여 2005년과 2006년 실측한 엽 질소함량 값과 추정 값을 비교해 본 결과 2005년과 2006년의 결정계수가 각각 0.88, 0.94로 2006년이 더 예측률이 높게 나타났다. GNDVI 값을 이용하여 엽 질소함량 추정값과 실측값을 비교해 본 결과 결정계수가 0.86으로 추정값과 실측값이 근접하게 분포하였다.

  • PDF

Sensitivity evaluation of rice by salting water irrigation in different rice growth stages (벼 생육시기별 염수관개에 따른 벼 작물의 민감도 평가)

  • Choi, Sunhwa;Choi, Kw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78-17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벼 생육시기별로 염수 관개가 벼 작물에 미치는 생육 영향정도(민감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벼 재배실험(포트실험)을 수행하였다. 벼 재배실험은 일반 논토양(삼광벼)과 간척 논토양(신동진벼)을 대상으로 하였고, 벼 생육시기는 이앙기~활착기, 활착기~유수형성기, 유수형성기~수잉기, 수잉기~출수기, 등숙기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벼 재배는 3반복 실험을 위해 총 126개의 포트(Φ215×Φ170×210mm(H))를 조성하여 5월 20일에 1주 3본으로 이앙을 하였다. 물 관개방식은 생육시기별로 염도를 1,000, 1,500, 2,000, 2,500 ppm으로 조절한 각각의 염수를 관개하고, 그 이외의 기간에는 담수(지하수)를 관개하였다. 벼 생육시기별로 염수 관개에 의한 벼 생육에 대한 민감도를 평가하고자 벼의 초장, 분얼수, 수확량을 조사하였다. 간척 논토양에서 초장, 분얼수는 생육초기인 이앙기의 염수에 의해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확량은 이앙기, 분얼기, 유수형성기 순으로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논토양에서는 초장, 분얼수는 생육시기에 따른 염수관개에 의한 영향이 크지 않았으며, 수확량은 염분농도에 관계없이 이앙기, 분얼기, 유수형성기 순으로 염수에 의해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수의 선행연구(Hassen Ebrahimi 등, 2011)의 벼 생육기인 분얼기, 유수형성기의 염수 관개가 수확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일반 논토양과 간척 논토양 모두 이앙기, 분얼기, 유수형성기 순으로 염수 관개에 민감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염분 배경농도가 높은 간척토양은 저농도의 염수에서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벼 생육초기의 관개용수 염도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배추의 생육단계별 엽면처리시 $^85Sr,^103Ru,^134Cs$의 작물체 오염경로 분석

  • 임광묵;최용호;김상복;박효국;이원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639-644
    • /
    • 1998
  • 온실내에서 $^{85}$ Sr, $^{103}$ Ru, $^{134}$ Cs의 혼합용액을 배추의 생육중 다섯 차례에 걸쳐 분무기를 이용하여 엽면 처리하고 오염경로를 해석하였다. 작물체에 의한 차단계수는 핵종간에 차이없이 처리시기가 수확기에 가까울수록 증가하여 최고 약 0.9에 달하였다. 작물체에 침적한 핵종의 수확시 잔류율은 처리시기에 따라 $^{85}$ Sr가 16~58%, $^{103}$ Ru이 15~73%, $^{134}$ Cs가 33~64%의 범위로 생육전기 처리 시에는 $^{134}$ Cs가, 후기 처리시에는 $^{103}$ Ru이 가장 높았다. 강우처리에 의해 수확시 핵종농도가 비교적 크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수확된 배추의 겉잎을 제거함으로써 배추내 핵종농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배추의 생육중 사고침적시 배추내 핵종농도 예측 및 대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Basic Studies for the Breeding of High Protein Rice -VI. Varietal variation of protein and amylose content of rice in response to cultural season and year- (수도 고단백계통 육성을 위한 기초적 연구 -VI. 미립내 단백질과 Amylose함량의 재배시기 및 년차에 따른 변이-)

  • Mun-Hue Heu;Hak-Soo SUH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0
    • /
    • pp.142-147
    • /
    • 1975
  • The varietal variations of protein and amylose content of rice grown at field and green house were studied. The protein cont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growth duration, and the amylose cont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ding date. The environmental variation of the amylose content by cultural season and year was greater in the low amylose varieties than in the high amylose one.

  • PDF

작물별 주요 병해 - 벼

  • Sim, Hong-Sik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51
    • /
    • pp.36-37
    • /
    • 2009
  • 쌀의 영양성분은 단백질(7%), 지방질(1%), 당질(80%), 조섬유(0.4%), 회분(0.5%)으로 되어 있으며, 인체 내에서 당질은 열량 공급원으로, 조섬유는 식이섬유 공급원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무기질로는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철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벼에는 약 38종의 병해가 발생하는데 생육시기, 재배장소, 기후 등 환경이나 품종에 따라 달리 나타나며 벼 생육중기 이후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는 다음과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