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약재

Search Result 33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생약재 음료소재 및 이를 이용한 음료의 유통현황

  • Kim, Hyeon-Gu;Hwang, Geum-Hui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8 no.3
    • /
    • pp.86-94
    • /
    • 1995
  • 생약재는 특수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고조, 국산 생약재의 선호도 증가 그리고 재배기술의 향상으로 이들 생약재의 생산량과 생산액은 증가추세에 있다. 그러나 생약재는 현재까지 단순 건조하여 한약재로 이용되는 것 이외는 가공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현대적 수요경향에 맞는 기호성과 영양, 약리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음료 등 가공식품의 개발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생약재의 분포 및 생산현황, 생약재의 국제경쟁력, 생약재의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생물활성 검색 연구현황 그리고 국내 생약재를 이용한 음료의 유통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생약재 추출물의 수율 및 항고혈압 활성

  • 도정룡;김기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37.2-138
    • /
    • 2003
  • 본 실험에 사용한 생약재는 금산 약초시장에서 2003년 6월에 구입하여 추출수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생약재의 물 추출물의 동결건조 중량(%)이 30~40%에 달하는 생약재는 가자, 갈근, 맥문동, 산수유가 있고, 20~30%에 달하는 생약재는 감초, 구기자, 당귀, 오미자, 천궁, 황기가 이에 속했으며, 중량(%)이 10~20%에 달하는 생약재는 복분자, 오수유, 애엽, 작약, 진피, 지유, 파고지, 황련이 이에 속했다. 마지막으로 10%이하의 추출 수율을 나타낸 생약재들은 가시오가피, 강황, 계피, 석곡, 소목, 영지, 오약, 육두구, 정향, 죽엽, 필발, 초두구, 호장근이 이에 속했다. 생약재의 70% Ethanol 추출물의 동결건조중량을 살펴본 결과, 동결건조 중량(%)이 30~40%에 달하는 생약재는 가자, 당귀, 산수유가 이에 속하였고, 20~30%에 달하는 생약재는 감초, 맥문동, 구기자, 오미자, 오수유, 천궁, 황기가 속하였으며, 동결건조 중량(%)이 10~20%에 달하는 생약재는 복분자, 육두구, 애엽, 작약, 정향, 지유, 파고지, 호장근, 황련이 이에 속했다. 또한 10% 이하의 수율을 나타내는 생약재는 가시오가피, 강황, 갈근, 계피, 석곡, 소목, 영지, 오약, 익지인, 죽엽, 필발, 초두구가 이에 속하였다. 생약재의 추출 시간 및 온도에 따른 수율을 조사한 결과, 추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수율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자, 갈근, 황련, 복분자, 지유, 정향, 계피, 소목 순으로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생약재에 여러가지 효소를 이용한 가수분해 결과, 대부분의 생약재에 대해 95$^{\circ}C$에서 2시간동안 추출한 수율과 그다지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생약재가 Termamyl 효소를 사용하여 가수분해하였을 때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유의 경우는 Viscozyme 효소를 처리하였을 경우 가장 좋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효소의 최적 온도로 조정한 Water bath에서 0, 30, 60, 120, 210분간 효소 반응 시켜, 420nm에서 갈변도를 시간별로 측정해본 결과, Viscozyme 효소를 처리한 생약재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흡광도 수치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32종의 생약재 물 추출물의 항고혈압 활성을 측정한 결과, 파고지, 소목, 죽엽의 항고혈압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파고지의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에탄을 추출물의 경우에는 오미자, 오수유, 소목에서 항고혈압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미자의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파고지 물 추출물을 칼럼(Sephacryl S-300, High Resolution)으로 분획하여 3개의 Peak를 얻었으며, 2번째 Peak의 항고혈압 활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마선조사 생약재(H-113)의 산화적 생체손상 억제효과 안정성 평가

  • Oh, Heon;Jung, Woo-Hee;Jung, Il-Yoon;Cheon, Eui-Hyun;Cho, S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03.1-103
    • /
    • 2003
  • 건조 생약재의 위생화 수단으로 방사선 조사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감마선 조사 생약의 효능 변화유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 시료와 비조사 시료가 생체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방사선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감마선 조사(10 kGy) 생약재(H-113) 및 비조사 생약재(H-113) 추출물을 처리하여 배양한 사람 림프구에 방사선을 조사한 후, 단세포전기영동(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comet assay)을 수행하여 DNA 상해 경감정도를 관찰하였다. 또한 방사선 조사 및 비조사 생약재(H-113)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에 8 Gy의 감마선을 조사한 후, 간에서 지질과산화 정도를 비교·관찰하였다. 한편 DPPH 라디칼과 hydroxyl 라디칼 소거효과를 시험관내에서 상호 비교하였다. 감마선 조사 생약재(H-113)는 단세포전기영동, 지질과산화, DPPH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시험에서 비조사 생약재 (H-113)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어 효능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는 생약재의 여러 가지 고유 효능 중 일부의 안정성을 확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감마선 조사 생약재의 고유 효능의 안정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결과를 얻는다면 생약재의 위생화 수단으로 감마선 조사 기술의 이용이 실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ability in Effects of ${\gamma}$-Irradiated Chinese Medicinal Prescriptions on Protection of Mice from Radiation (감마선조사 한약의 방사선방호 효능 안정성)

  • 양정아;김성호;김세라;유영법;조성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3
    • /
    • pp.506-512
    • /
    • 2000
  • 건조 농산물을 비롯한 식품에 대한 방사선 조사가 허가, 시행되고 있으며, 그 적용 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조 생약재의 위생화의 대체방법으로 방사선 조사 기술의 적용이 산업계로부터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 생약재의 효능 변화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저자 등은 사물탕, 보중익기탕 및 삼령백출산 등이 방사선 방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이미 보고한 바 있다. 본 실험에서는 감마선 조사(10 kGy)한 이들 한약제 각각의 방사선 방호 효과를 비조사 시료와 비교 평가하였다. 효과평가를 위하여 방사선 조사 마우스에서 소장움 생존시험, 내재성 비장집락 형성시험 및 apoptosis 측정을 시행하였다. 각 한약제의 감마선 조사 시료는 3가지 시험 모두에서 비조사 시료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p<0.05), 생체내 독성도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생약재의 여러 가지 고유 효능 중 일부의 안정성으르 확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 결과로 미루어 보아 감마선 조사 생약재의 효능 안정성은 한의학적 고유의 효능 비교 평가를 통하여 확인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저자 등은 감마선 조사 생약재의 유효성분 안정성 및 유전 독성학적 안전성을 확인하여 보고한 바 있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감마선 조사 행약재의 고유 효능의 안정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결과를 얻는다면 생약재의 위생화 수단으로 감마선 조사기술의 이용이 실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termination of Sulfite Contents in Medicinal Herbs (생약재에 함유된 이산화황 함유량 조사)

  • 김충모;송병준;나환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3
    • /
    • pp.375-379
    • /
    • 2000
  • 이산화황 함유량에 대해 한약재를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한약을 달여서 탕으로 섭취하는 점을 감안하여 한약을 달인 액을 시료로 이산화황 함량을 조사하여 소비자들이 한약을 달여서 섭취하는 과정에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약재 중 이산화황 함유량은 국산 14건중 맥문동(16.9 ppm), 백작약(56.0), 산약(67.7)이 검출되었으며, 수입산은 13건 중 금은화(653.4 ppm), 길경(628.9), 반하(37.1), 백부근(11.7), 부자(82.4), 상백피 (82.7), 석창포(98.0), 패모(497.0),에서 이산화황이 검출되었다. 구입 시기 및 장소를 달리하여 구입한 생약재는 시기나 장소가 달라지면서 생약재에 함유된 이산화황 함량이 서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산과 수임산과의 이산화황 함량 차이를 조사한 결과 국산의 경우에는 천화분 1건(29.5 ppm)을 제외한 나머지 시료에서 불검출을 보였으나, 수입산의 경우 13건중 7건(건지황, 과루인, 지실, 구기자, 남성, 우슬, 천화분)이 검출되어, 수입산이 국산보다 이산화황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탕기로 한약액을 달여서 검사한 결과 최초 구입한 생약재의 함유량보다 이산화황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원래 생약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종 잔류되는 함유량도 높게 나타났다.

  • PDF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on the Mutagenicity of Indirect Mutagens (간접변이원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효과)

  • Song, Geun-Seoub;Ahn, Byung-Yong;Lee, Kap-Sang;Maeng, Il-Kyung;Choi, Dong-Seo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9 no.6
    • /
    • pp.1288-1294
    • /
    • 1997
  • For screening antimutagenic effects, the effects of 95 medicinal plants on the mutagenicity of aflatoxin $B_1$ $(AFB_1)$ and benzo(a)pyrene [B(a)P]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OS chromotest with Escherichia coli PQ37. The mutagenicity induced by $AFB_1$ or B(a)P was reduced over 26% by 2 kinds and 8 kinds of medicinal plant, respectively. Eight plants (Bupleurum falcatum, Corydalis ternata, Gasfrodia elata, Ostericum koreanum, Pinellia ternatia, Poncirus trifoliata, Prunus armeniaca and Rehmannia glutinosa) were also shown to have inhibitory effects on both $AFB_1$ and B(a)P. The mutagenicity induced by $AFB_1$ or B(a)P was increased over 20% by 46 kinds and 2 kinds, respectively, and 8 medicinal plants (Chrysanthemum indicum, Cinnamomum cassia, Cyperus rotundus, Morus bombycis, Patrinia scabiosaefolia, Petasites japonicus, Polygonum multiflorium, Thyja orientali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mutagenicity of both mutagens. However the 8 plants themself did not show the mutagenicity in SOS Chromotest with S-9 mix alon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above 8 plants may have the co-mutagenic activities. In two bacterial mutation system, SOS Chromotest and Ames test, the mutagenic or antimutagenic activities of some medicinal plants wire similar except Ostricum koreanum, Eugenia caryophyllata and Scutellaria baicalensis.

  • PDF

생약재의 식품부패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 도정룡;김기주;이명기;김병삼;임상동;조진호;김영명;김용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00.1-20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 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인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 Salmonella typhimurium Lactobacillus plantarum에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생약제의 효능을 살펴보았다. 금산 약초시장에서 구입한 생약재로부터 물 추출물과 70%에탄을 추출물을 제조하여 6종의 세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탐색한 결과, 생약재 물 추출물의 경우에 가자 추출물은 E. coli, P. aeruginosa B. subtilis, S. aureus, S. typhimurium, L. plantarum의 6가지 균종에 대해서 모두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복분자와 지유의 물추출물에서는 L. plantarum의 균종을 제외한 5가지 균종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소목 과 황련의 추출물에서는 E. coli를 제외한 5가지 균종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정향 추출물에서는 E. coli균주에 대해서는 약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B. subtilis, P. aeruginosa, S. aureus, S. typhimurium의 4종의 균주에 대해서는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외에 감초 추출물은 P. aeruginosa, 석곡 추출물은 S. aureus, S. typhimurium, 계피 추출물은 S. typhimurium, 산수유 추출물은 B. subtilis, S. aureus, 파고지는 S. aureus균종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70% ethanol 추출물은 대부분의 생약재에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가자, 감초, 강황, 복분자, 석곡, 소목, 오미자, 작약 ,정향, 지유, 파고지, 호장근, 황련 의 13가지 생약재 추출물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가자의 70% ethanol추출물의 경우는 물 추출물의 결과에서 같이 6가지 균종에 대해 모두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복분자, 작약, 정향, 지유의 70% ethanol 추출물은 L. plantarum균을 제외한 5가지 균종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소목의 70% ethanol 추출물의 경우에는 E. coli 균을 제외한 5가지 균종에서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이외에 생약재는 강황, 석곡, 황련, 호장근의 70% ethanol 추출물은 4가지의 균주에 대해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파고지, 오미자의 70% ethanol 추출물은 3가지 균주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천궁, 육두구, 오수유, 갈근, 계피, 가시오가피의 70% ethanol 추출물은 2가지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이 우수한 생약재를 농도별로 활성을 조사한 결과, 물 추출물과 10% Ethanol 추출물 모두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