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시체중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6초

해동시킨 재래흑돼지육과 개량종 돼지육의 냉장저장중 품질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Black Pork and Modern Genotype Pork during Refrigerated Storage after Thawing)

  • 강선문;강창기;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7
    • /
    • 2007
  • 본 연구는 해동후 냉장시킨 재래흑돼지육과 개량종 돼지육의 육질을 비교함으로서 재래흑돼지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생시체중이 65.3 kg인 재래흑돼지 거세돈 5두와 114.3 kg인 개량종 돼지 거세돈($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5두의 등심(M. longissimus)을 $-80^{\circ}C$에서 1개월 동안 냉동하고 해동한 후 $2{\pm}0.3^{\circ}C$에서 7일 동안 저장하였다. 도체중과 지육율은 재래흑돼지가 개량종 돼지보다 낮았다(p<0.05). 일반성분에서 수분 함량은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돼지육보다 낮았지만(p<0.05), 조지방 함량은 높았다(p<0.05). pH는 재래흑돼지육이 저장 5일까지 높았으며(p<0.05), 드립감량은 재래흑돼지육이 저장기간 동안 낮았다(p<0.05). TBARS는 재래흑돼지육이 저장 5일부터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표면육색은 저장기간 동안 $L^*,\;h^0$ 값에서 재래흑돼지육이 낮았으며(p<0.05), $a^*,\;b^*,\;C^*$ 값에서는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은 myristic acid, gamma-linolenic acid, linolenic acid, cis-5,8,11,14,17-eicosapentaenoic acid에서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돼지육보다 낮았으며(p<0.05), 신선육과 가열육의 관능적 기호도는 재래흑돼지육이 높았다(p<0.05). 따라서 재래흑돼지육은 개량종 돼지육보다 수분 및 일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낮고 저장중 지방산화가 촉진되었지만, 조지방 함량이 높고 보수력, 관능적 기호도 및 색택이 우수하였다.

한우 Inositol 1,4,5-triphosphate Receptor Type 1 (IP3R1) 유전자의 다형성 및 형질 관련성 분석 (Association Study Between Polymorphisms of Inositol 1,4,5-triphosphate Receptor Type 1 (IP3R1) Gene and Carcass Traits in Korean Cattle (Hanwoo))

  • 김남국;김건석;정유성;문희주;조용민;윤두학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4호
    • /
    • pp.289-294
    • /
    • 2009
  • 본 연구는 한우 inositol 1,4,5-triphosphate receptor type1(IP3R1) 유전자를 대상으로 SNP를 발굴하고, 도체형질과의 관련성 분석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PCR 및 염기서열 결정법을 통해 IP3R1 유전자내 3개의 SNP를 발굴하였고, 이중 intron 29에 위치하는 SNP의 경우 미 보고된 신규 SNP로 확인되었다. 발굴된 3개의 SNP를 대상으로 표현형 기록치를 보유한 후대검정우 583두에 대하여 유전자형 분석 및 관련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SNP 중 g.1428617A>G SNP가 생시체중(P<0.05) 및 도체중(P<0.01)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한우 개량을 위한 유전자 마커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머루주 박 급여가 버크셔종의 등심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Wild Grape Wine By-product on Quality Characteristic of Loin from Berkshire Breed)

  • 김태완;김철욱;김일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2호
    • /
    • pp.247-254
    • /
    • 2008
  • 경남 함양지방의 양돈장에서 사육중인 아메리칸 버크셔종을 대상으로 산머루주 부산물을 배합사료와 혼합한 시험사료 5%를 20두에 대해 생시체중 70 kg에서 88일간 급여한 후 등심부위를 채취하여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과 조지방은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p>0.05),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처리구가 낮았다(p<0.05). pH와 WHC는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고(p>0.05), 콜레스테롤과 지방의 전단가는 처리구가 낮게 나타났다(p<0.05). 육색은 차이가 없었으나(p>0.05), 지방색에서의 명도와 백색도는 처리구가 높았다(p<0.05). Oleic acid(C18:1), linoleic acid(C18:2, n-6), arachidonic acid(C20:4, n-6), 필수아미노산 및 EFA/UFA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총 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필수아미노산은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에서 산머루주 박 급여 시 등지방색, 전단가, 콜레스테롤 및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만간격과 산차를 중심으로 한국 재래종인 한우의 번식능력 분석 (Reproductive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focusing on calving interval and parity)

  • 조재성;도창희;최인철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3-279
    • /
    • 2016
  • 한우는 한국 고유재래종으로 가장 많이 사육되고 있으나 번식성적에 대한 자료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총 163,613두의 번식성적에 대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산차 및 계절별로 분만 간격과 임신기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매년 분만간격이 증가하고 있었다. 또한 생시 체중이 23 kg 이었을 때 생애 번식성적이 가장 우수 하였다.

한우의 체외수정란을 이식한 젖소 수란우의 임신 기간과 산자의 생시 체중 및 성비 (Gestation Lengths and Offspring's Birth Weights and Sex Ratio of the Dairy Recipients Transferred with Hanwoo IVF Embryos)

  • 석상현;설현석;권은정;김혜진;정연길;송해범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5-19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llect the basic data about gestation lengths and offspring's birth weights and sex ratio of the dairy recipients transferred with Hanwoo IVF embryos. Blastocysts cultured for $7{\sim}8$ days were transferred to 96 and 167 heads for the basic data about gestation length and offspring's birth weight and sex ratio of the dairy recipients, respectively. The gestation lengths of the dairy recipients transferred with Hanwoo IVF embryos were $287.3{\pm}11.2$ ($257{\sim}311$) and $284.1{\sim}7.7$ ($266{\sim}295$) days in male and female of the offspring, respectively. The gestation lengths of the recipients were $290.7{\pm}10.4$, $285.8{\pm}3.4$, $280.0{\pm}9.3$ and $286.1{\pm}7.9$ days in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of the calving season, respectively, 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alving season (p<0.05). The birth weights of male and female calves were $25.5{\pm}2.4$ ($21{\sim}30$) and $26.3{\pm}3.9$ ($21{\sim}40$ kg in offsprings of the dairy recipients transferred with Hanwoo IVF embryos, respectively. The sex ratio was 90.7 in the offsprings of the dairy recipients transferred with Hanwoo IVF embryos.

한우의 생리적인 최적 번식적령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timum Age of Physiological Reproduction in Korean Native Cattle)

  • 성환후;이연근;최선호;장원경;이장형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3-199
    • /
    • 2002
  • 본 연구는 한우의 생리적인 번식적령기를 구명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조기번식에 따른 번식능력의 감소를 방지하고 한우 암소의 번식능력을 증진하여 농가의 소득증대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각 처리구당 4구로 나누어 총 32두를 공시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만후 송아지의 평균 생시 체중은 전 구간에서 평균 23.5$\pm$0.6kg으로 나타났으며 암송아지는 21.8$\pm$0.8kg에 비해 수송아지는 평균 25.0 $\pm$0.8kg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송아지 성장단계별 체중은 T2구에서 유의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따라서 송아지의 체중변화는 어미소의 영양상태에 따라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발정일령은 전 구간에서 평균일령과 평균체중은 각각 263.3$\pm$6.4일과 181.1$\pm$11.3일로 나타났다. 1회째 인공수정에 의한 수태율은 T1구에서 25%로 가장 낮았으며 T4구에는 75.0%로 가장 높았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T1와 T2구의 2.3, 2.4회에 비해 T3, T4구가 1.5회로 낮았다. 초임 월령별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T1구에서는 평균 66.2일, T2구에서는 76.7일, T3구에서는 62.4일, T4구에서는 68.5일이었으며 전 구간의 평균 발정재귀일수는 65.7일로 나타났다. 초발정 전후의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전 구간에서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즉, 혈중 progesterone 분비는 생후 12개월령이 지나야만이 전 개체에서 정상적인 호르몬 분비상태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12개월 이전에 난포의 배란과 정상 발정주기가 반복되는 개체는 총 32두중 5두만(15.6%)으로 확인되었다. 임신기간중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임신 중기 이후에 비해 착상과 태반형성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임신 초기에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며 임신중기에는 다소 감소되었다. 분만 전후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전 구간에서 분만 7일전부터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며 분만후부터 포유 약40일까지 progesterone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분만후 35일부터 본격적으로 progesterone이 분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분만후 정상 발정주기의 반복은 분만후 약 40일 이후 비로소 시작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한우의 초임유도시 최적 초임시기의 결정요소는 14개월령과 체고 약 110cm, 체중 약 265kg 정도의 3가지 요건을 갖춘 후 초임유도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한우의 최적 번식적령기의 생리적 현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ology of Optimal reproductive age in Korean Native Cattle)

  • 성환후;이장형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4권1호
    • /
    • pp.110-118
    • /
    • 2002
  • 본 연구는 한우의 최적 번식적령기를 구명하는 생리적 현상의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조기번식에 따른 번식능력의 감소를 방지하고 한우 암소의 번식능력을 증진하여 농가의 소득증대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각 처리구당 4구로 나누어 총 32두를 공시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만 후 송아지의 평균 생시 체중은 전 구간에서 평균 23.5±0.6kg으로 나타났으며 암송아지는 21.8±0.8kg에 비해 수송아지는 평균 25.0±0.8kg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송아지 성장단계별 체중은 T2구에서 유의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따라서 송아지의 체중변화는 어미소의 영양상태에 따라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발정 일령은 전 구간에서 평균일령과 평균체중은 각각 263.3±6.4일과 181.1±11.3일로 나타났다. 1회째 인공수정에 의한 수태율은 T1구에서 25%로 가장 낮았으며 T4구에는 75.0%로 가장 높았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T1와 T2구의 2.3, 2.4회에 비해 T3, T4구가 각각 1.5회로 낮았다. 초임 월령별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T1구에서는 평균 66.2일, T2구에서는 76.7일, T3구에서는 62.4일, T4구에서는 68.5일이었으며 전 구간의 평균 발정재귀일수는 65.7일로 나타났다. 초발정전후의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전 구간에서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즉, 혈중 progesterone 분비는 생후 12개월령이 지나야 만이 전 개체에서 정상적인 호르몬 분비상태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12개월 이전에 난포의 배란과 정상 발정주기가 반복되는 개체는 총 32두중 5두만(15.6%)으로 확인되었다. 임신기간중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임신 중기이후에 비해 착상과 태반형성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임신초기에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며 임신중기에는 다소 감소되었다. 분만전후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전 구간에서 분만 7일 전부터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며 분만 후부터 포유 약 40일까지 progesterone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분만 후 45일부터 본격적으로 progesterone이 분비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분만 후 정상 발정주기의 반복은 분만 후 약 40일 이후 비로소 시작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한우의 초임유도시 최적 초임시기의 결정요소는 생후 일령 14개월령과 체고가 약 110cm, 체중은 약 265kg 정도인 3가지 요건을 갖춘 후에 첫 임신을 유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韓牛 牝牛의 Body Condition Score가 繁殖形質에 미치는 影響 (Body Condition Score of Hanwoo Cows and Reproductive Performances Performances)

  • 최성복;최연호;이지웅;백광수;김영근;손삼규;김내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31-38
    • /
    • 2004
  • 본 연구는 산차, 계절, 영양상태, 번식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한우 빈우의 몸 상태(Body Condition)를 주기적으로 등급화 하여 조사한 값과 동일한 시기에 조사된 한우 번식우의 발육 및 번식형질과의 상관관계를 추정하고, 한우 빈우에서 측정된 몽상태 점수(Body Condition Score, BCS)를 번식 및 사양관리의 수단으로 적용할 수 있는 범위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각 형질별 최소자승평균을 추정하였는 바, 분만간격은 406.7일, 임신기간은 287.7일, 분만후 첫종부 일수는 66.2일, 수태당 종부횟수는 1.78회였다. 송아지 생시체중은 23.3kg, 이유시 체중은 70.7kg 이었다. 종부시 BCS와 분만시 BCS의 평균은 4.55, 5.29 이었으며, 수태당 종부횟수를 BCS 점수에 따라 추정한 바, 종부시 BCS가 5 이하에서는 1.50${\sim}$1.74회였으나, 6 이상에서는 2.00${\sim}$3.00회 로 나타났다. 종부시와 분만시 BCS의 분포는 종부시에는 BCS 4${\sim}$5에 서 57%를, 분만시 BCS 5${\sim}$6에 서 46%로 나타내었다. 주요 번식형질의 표현형 상관은 종부시 BCS와 분만시 BCS, 분만간격, 임신기간, 수태당 종부횟수 사이에는 0.16, 0.26, 0.08, 0.06으로 정의 상관을 보였고, 분만시 BCS와 분만간격, 임신기간, 수태당 종부횟수 사이에는 0.10, 0.13, 0.10으로 역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분만간격과 임신기간, 임신기간과 수태당 종부횟수간에는 -0.11, - 0.13으로 부의 상관을 보였다.

사료내 녹차 생균제, 택사 생균제 및 해조류 발효물의 첨가가 모돈의 생산성 및 면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reen Tea Probiotics, Alisma canaliculatum (Alismatis rhizoma) Probiotics and Fermented Kelp Meal as Feed Additives on Growth Performance and Immunity in Pregnant Sows)

  • 김기수;김귀만;지훈;박성욱;양철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1호
    • /
    • pp.43-50
    • /
    • 2011
  • 녹차생균제, 택사생균제 및 해조류발효물이 모돈과 자돈의 생산성 및 면역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임신 모돈 32두와 공시모돈에서 생산된 자돈 319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설계는 모돈 기준으로 4처리구 8반복 반복당 1두씩 임의로 배치하였으며, 시험사료를 분만전 2개월부터 분만후 28일(이유시)까지 급여하여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무항생제 기초사료), 녹차 생균제 처리구(기초사료+녹차 생균제 0.05% 첨가), 택사 생균제 처리구(기초사료+택사 생균제 0.5% 첨가) 및 해조류 발효물 처리구(기초사료+해조류 발효물 0.5% 첨가)로 하였다. 자돈의 산자수, 생시체중, 이유두수 및 이유체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첨가제 급여구가 증가를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설사지수는 첨가제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혈중 lymphocytes는 택사 생균제 및 해조류 발효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MID는 해조류 발효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혈청 IgG의 농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첨가제 처리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IgA 및 IgM의 농도는 녹차 생균제 처리구와 해조류 발효물 처리구가 택사 생균제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Cortisol의 수준은 첨가제 처리구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모돈 사료에 생균제와 발효물의 첨가 급여는 자돈의 생산성 개선효과가 있고 모돈의 면역성 향상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 체외 수정란 및 성 감별 수정란 이식에 의한 송아지 생산 (Production of Calves Following Transfer of Sexed Hanwoo Embryos and Hanwoo Embryos Cultured In Vitro)

  • 민찬식;송상현;손귀동;정우재;노치원;강양수;박충생;공일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3-49
    • /
    • 2008
  • 본 연구는 한우 체외 수정란의 성 감별과 신선란, 동결란 및 성 감별 수정란을 이식한 후 수태율, 분만율과 유산율, 생시 체중, 임신 기간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Aspiration과 punching법으로 biopsied한 수정을 24시간 배양 후 생존율은 각각 80.0%와 90.0%로 유의적인(p>0.05) 차이는 없었다. 수정란을 성 감별한 결과, 웅성 수정란과 자성 수정란의 비율은 각각 42.1%와 52.6%였으며, 5.3%는 수정란의 성을 판정하지 못하였다. hCG를 처리한 수란우의 수태율은 46.4%로서 무처리구(38.5%)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으나,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신선란과 동결란을 수정란 이식 후 수태율은 각각 41.3와 35.0%로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성 감별된 수정란과 성 감별하지 않은 체외 수정란 이식 후 수태율은 각각 27.5와 42.1%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성 감별 된 수정란과 성 감별하지 않은 체외 수정란 유래 송아지의 분만율은 각각 85.0와 87.0%이었으며, 유산율은 각각 15.2와 13.3%로서 분만율과 유산율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성 감별된 수정란과 성 감별하지 않은 체외 수정란 유래 송아지의 임신 기간은 각각 281.3일(female), 283.0일(male)과 288.2일(female), 282.3일(male)이었으며, 생시 체중은 각각 23.6(female), 24.6(남)과 25.0(female), 23.8 kg(male)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hCG 처리한 수란우는 한우 수정란 이식 후 수태율 개선 효과는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성 감별 수정란 이식에 의해 송아지는 생산되었으나, 수정란의 biopsy 방법, 수정란 이식 후 수태율 개선과 같은 송아지 생산 효율을 개선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정란 이식의 산업화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동결란과 신선란 이식 후 수태율의 개선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