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산성제고효과

Search Result 14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친환경농업 - 잡곡해충관리는 태양광트랩으로

  • Bae, Sun-Do
    • 농업기술회보
    • /
    • v.49 no.5
    • /
    • pp.19-20
    • /
    • 2012
  • 잡곡은 현대인이 걸리기 쉬운 고혈압, 당뇨, 비만, 고지혈증 등의 생활습관병 예방에 좋은 건강기능성 물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오늘날 웰빙작물로 각광받고 있다. 그리하여 지난 몇 년간 국내에서 잡곡의 수요와 소비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전국적으로 잡곡 재배단지를 조성하여 잡곡의 안정생산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잡곡재배가 단지화 및 규모화 됨에 따라 지금까지 문제되지 않았던 병해충의 발생이 심화되어 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특히 잡곡의 수량과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나방류, 노린재류, 풍데이류 등의 해충을 친환경적으로 관리하여 잡곡을 안전하게 생산하는 기술은 국산잡곡의 가격경쟁력 제고와 소비자의 신뢰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 PDF

How to Measure the Agglomeration Effects of Industrial Cluster : A Case Study of the FOODPOLIS ( KOREA NATIONAL FOOD CLUSTER ) (산업클러스터 효과 추정 방법에 관한 연구 : 국가식품클러스터조성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Kim, Jung-Wook;Kim, Suk-Young;Yang, Seung-Mi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1
    • /
    • pp.42-62
    • /
    • 2012
  • This paper suggests a genuine method to estimate the agglomeration effects of Industrial Cluster focusing on the FOODPOLIS (KOREA NATIONAL FOOD CLUSTER).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two issues related to the clustering effect. First, Clusters affect productivity, and a cluster allows companies to operate more productively in inputs; accessing technology, human resource, information, services, and needed institutions. Second, we assume that the effects of Industrial Cluster can be estimated from measurement on differency of an added value between large-scale enterprises and smaller ones. To demonstrat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the estimated effect was compared with that from the related study (A Mini-Cluster). Industry Clusters have been considered as critical factors for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economic revitalization. For this,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hould find a way and strategy to provide useful contents that can attract the participation of firms and to secure strategic positioning and competition strategies.

  • PDF

Productivity Effect of Firms' External R&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irm Size (기업 외부 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효과와 기업규모의 조절효과)

  • Kim, Kyung-ho;Jung, Jin Hwa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1 no.3
    • /
    • pp.1077-1100
    • /
    • 2018
  •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firms' extern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on corporate productivity, while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irm size on the external R&D-productivity nexus. In the empirical analysis, we estimated South Korean manufacturing firms'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using the firm level data drawn from the Survey of Business Activities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or the years 2006-2015. Thereafter, focusing on the role of external R&D and its interaction with the firm size in determining firms' TFP, the productivity function was estimated as well. To this end, we used ordinary least squares (OLS) and quantile regression to highlight the heterogeneous impacts of external R&D by companies' productivity level. Empirical results confirmed that firms' external R&D significantly enhanced corporate productivity in all manufacturing industries, from high-tech to low-tech. The moderating effect of firm size in determining the productivity effect of external R&D was not as prominent as in the case for internal R&D, which exhibited some degree of the size premium in the productivity-enhancing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gardless of the firm size, external R&D can be an important channel for corporate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can be a particularly effective strategy for SMEs with relatively limited internal R&D capacities.

Using open source software to increase competency in overseas IT services (공개SW를 활용한 해외 IT서비스 경쟁력 강화)

  • Yang, Jae-Young;Kim, Kyung-Nam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118-125
    • /
    • 2006
  • 최근 공개SW를 활용한 IT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서비스 유형으로는 소프트웨어 개발,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SI 및 SM, 리포지토리 서비스가 있다. 공개SW의 대표적인 장점 및 기대효과로는 가격 경쟁력 향상과 개발 생산성 향상을 꼽을수 있다. 하지만 IT 서비스 업체에서 공개SW를 활용할 경우 라이센스, 유지보수, 품질 및 호환성 이슈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고 사전에 준비해야 한다. LG CNS에서는 최근 해외시장에 공개SW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IT 서비스를 제공한 사례가 있으며, 해당 사례를 분석한 결과 공개SW를 IT 서비스에서 활용할 경우 실제로 소프트웨어 비용 절감을 통한 가격 경쟁력 제고 및 개발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국내 IT서비스 업체가 상대적으로 공개SW에 대한 인식이 잘 형성되어 있는 해외 IT 서비스 시장에서 공개SW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요 이슈에 대해 미리 준비하고 이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국방예산(國防豫算)의 국민경제적(國民經濟的) 효과분석(效果分析)과 지출구조(支出構造) 개선방안(改善方案)

  • Hwang, Seong-Hye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0 no.3_4
    • /
    • pp.175-22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국방예산 운영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실증분석에 기초하여 국방예산 규모논쟁에 대한 검토, 지출구조의 개선방안, 그리고 지출구조 개성을 위한 국방부문의 효율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Feder-Ram 2부문-외부효과모형에 기초하여 1970년대 이후 총국방비 운영유지비 방위력개선비 등 3가지의 국방부문 지표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방위력개선비가 국민총생산에 대해 유의한 정(正)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국방비의 경우 유의성이 없었으며, 운영유지비의 경우 유의한 부(負)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예산 규모논쟁과 관련하여, 최근 GDP 대비 국방비 비중과 안보위협을 고려한 국가군별 비교 등을 통해볼 때,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국방비규모의 상대적 비중이 하락하는 추세를 더 이상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보는 것이 현실적인 인식이라고 판단된다. 이제 국방예산 관련 논의의 초점은 상대적 규모를 포함하여 국방예산규모 자체보다는 국방예산의 지출구조와 내역에 맞추어져야 하고, 국방예산 운영의 낭비사례를 방지하고 효율성 투명성을 높여서 적절한 지출구조와 배분내역 방식을 이루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국방예산 지출구조의 개선을 위해서 투자비 성격의 방위력개선비 비중을 높이는 예산구조상의 개선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 각종 경사경비에 대한 영점기준의 검토작업과 더불어 인력과 장비의 대체, 인력구조의 조정 등을 통해 기술집약형 전력구조를 지향하는 보다 근본적인 구조조정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미래전 양상에 대비한 군 첨단화의 핵심인 해상방위력 및 항공력 증강 등이 필수적이며, 지상군 위주에서 상대적으로 해 공군 중심의 군 구조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구조개선의 완급조절과 군별배분의 수평적 구조개선을 통해서 예산규모의 커다란 증대 압력 없이 추진 할 수 있는 구조개선은 시급히 실현되어야 할 것이며, 구조조정 재원의 상당부분은 군 내부의 낭비사례를 막고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해서 확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국방예산 운영의 효율성 투명성 제고를 위해서는 군 내부 자원관리기능이 강화되어야 하고, 군조직 운영에 있어서도 민간부문에 상응하는 경영효율성 개념의 과감한 도입이 요구된다. 지금까지의 '국방전력 극대화'를 위한 군인중심의 획일적 폐쇄적 군조직 운영에서 벗어나 조직 인사 예산 운영 전반에 걸친 경영혁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국방부문에 경영효율성 개념을 도입하여 경영혁신을 이루어나가는 주요 정책방향은 일부 기능 조직의 민영화 및 민간위탁의 확대, 민간전문인력의 활용도 제고, 자율적 책임경이 필요한 부문을 대상으로 한 "책임경영사업소(Agency)제도"의 도입 등이다. 또한 유사기능을 갖는 조직과 각군별로 별도로 설립되어 중복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을 통폐합해야 할 것이다.

  • PDF

업체탐방 - (주)바이오엔그린텍

  • Kim, Dong-Ji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7 no.2
    • /
    • pp.103-107
    • /
    • 2015
  • 국내 축산업은 구제역, AI 등 법정전염병 발생은 물론 각종 호흡기성 및 세균성 질병이 끊임없이 발생해 농가피해가 심하고 식품의 안전성을 위협받고 있다. 또 다자간 FTA 체결로 값싼 외국산 축산물 수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내 우외환의 홍역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축산업이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을 통한 생산비 절감과 함께 사육환경을 개선해 안전한 식품을 공급하는 동물복지형 친환경축산이 그 대안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을 선도하기 위해 동물복지형 친환경축산 발전에 기여하는 천연물 및 유익 미생물을 통해 질병, 환경 및 사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농가소득 증대를 꾀하고, 나아가 축산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 제품의 개발에 박차를 기하는 업체를 방문하였다.

A Study on the Effect of Workplace Innov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and Labor Condition Improvement (작업장 혁신이 경영성과와 근로여건 개선에 미치는 영향)

  • Park, Jin Ah;Ko, Kyoung Han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1 no.2
    • /
    • pp.55-61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workplace innov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and labor condition improvemen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work process standardization and quality control positively affected business performance. Also, downsizing, reducing individual subcontract, expanding non-core business outsourcing positively affected both business performance and labor condition improvement. In addition, labor union's participation moderated the effect of work process innov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analyzing the effect of workplace innovation comprehensively and extending the scope of study to personal employee dimension.

발전소 제어계통 성능 개선 동향

  • 홍남표
    • 전기의세계
    • /
    • v.38 no.3
    • /
    • pp.43-50
    • /
    • 1989
  • 오늘날 각국의 전력산업계에서는 발전단가를 경제적으로 유리하도록 낮추고 전력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처하며 기존 발전설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발전설비의 성능개선 및 발전소 운전 수명 연장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최신 기술에 의한 제어게통 성능 개선은 이러한 목적을 제한된 예산과 짧은 기간내에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사업으로 고려되고 있다. 근본적으로 고장-내력 기능을 가지고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분산 디지탈 제어기술은 대용량의 공정계통을 실시각 성능분석과 예측제어를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다중 제어계통으로 계통의 신뢰도 및 이용율을 높이고 발전소 운전 및 제어를 용이하게 계층적으로 구성시킬 수 있는 최신 제어 기술이다. 이로써, 사례에 밝혀진 바와 같은 제어 설계 개선 및 설비 대체로 발전소 운영의 경제성, 안전성, 신뢰성 및 편이성의 개선 효과를 달성시키고 있음을 알았다. 특히, 선진국의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계통 성능개선 사례는 경제성은 물론 안전성 확보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우리나라도 전력 수요에 경제적으로 대처하고 보다 양질의 전기를 생산하며 기존설비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현재 추진중에 있는 화력발전소 제어계통 성능 개선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계획임에 틀림이 없다 하겠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에도 안정성을 제고시키고, 발전소의 이용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추진중인 신기술을 적용한 성능 개선 사업의 단계적 추진은 당연한 추세라 할 수 있다.

  • PDF

Adapting PMO(Project Management Office) to EA-based national informatization (EA 기반의 국가정보화 PMO제도 적용·활용 방안 연구)

  • Lee, Jae-Du;Kang, Sun-Mu;Kim, Tae-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597-600
    • /
    • 2009
  • 최근의 정보화환경을 반영한 정보화 관리방법과 도구의 통합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제는 기존 프로젝트관리 방식만으로는 다원화된 업무, 고객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EA, PMO 등 보다 발전된 방법들을 도입하고 활용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도 공공부문 정보화추진에 유용한 개념과 도구들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공공부분 정보화 정책 환경이 변했지만 아직 현실에 맞게 그러한 사항들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변화에 맞게 적절한 수단과 방법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키지 못하면 기대한 효과를 거두기도 어렵다. 이제는 CIO 등 정보화를 추진하는 여러 주체가 범정부 EA, IT거버넌스, IT아웃소싱, 각종 지침과 기준 등을 통해 업무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에 대한 제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EA기반의 PMO제도 적용 활용을 위해 방법론 및 도구의 통합적 활용이 가능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기존 연구결과, 정책, 사업에 대한 문헌연구 및 분석 등을 통해 함의를 도출한다. 결과는 공공부문 정보화 추진 시 생산성 제고를 위한 참조 및 연관되는 유사 IT정책을 추진할 때 방향 정렬(Alignment)에 필요한 시사점 제공과 선행연구로서 의미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신제품의 전주기 경제성분석 방법

  • 현병환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3 no.1
    • /
    • pp.22-3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의 경제성 분석에 있어 기존연구의 분리된 방법론을 통합한 새로운 모델의 수립에 의의가 있다. 필자가 제시하고 있는 신제품의 전주기 경제성 분석모델은 신제품의 연구시작 단계에서부터 시제품 생산, 공장가동 생산판매 공익적 가치분석, 소비자 행태분석 단계까지를 통합하고 있다 본 모델에서는 기존의 경제학, 경여학, 산업공학에서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사용되어 온 경제성 분석의 방법론을 수요자 중심으로 통합함으로써 분석의 객관성과 구체적 적용성을 높였으며 또한 각 분석단계마다 연구사례를 제시하여 독자의 이해와 활용성을 제고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