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산관리

Search Result 6,11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Statistical process control of continuous flow processes using the Kalman filter (칼만필터를 적용한 연속생산공정이 SPC (Statistical Process Control))

  • 권상혁;김광섭;왕지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5.04a
    • /
    • pp.173-181
    • /
    • 1995
  • 통계적 공정관리 분야가 점차 컴퓨터를 이용한 관리를 하게 되므로써 공정관리의 온라인화, 실시간화가 되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관리도는 공정의 파라미터를 기지의 상수값으로 간주하므로 모형이 잘못 설정되었을 경우 상당히 많은 오보(false alarm)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연속생산공정에서, 칼만필터를 적용하여 공정의 불확실한 파라미터와 모형의 오차에도 불구하고 공정의 변화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는 관리도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관리도는 관축치들간에 시간적 종속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관측치들을 시계열모형으로 묘사를 하여, 파라미터(parameter)를 추정하고, 잔차를 얻어서 만든 잔차관리도로서, 실시간으로 생산공정을 관리하는 경우 효과적임을 보이기 위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ARL을 구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관리도와 수행도를 비교.평가하였다.

  • PDF

수태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양관리

  • Jo, Sang-Uk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21 no.8 s.240
    • /
    • pp.80-83
    • /
    • 1999
  • 양돈관리에 있어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면 첫째가 기록관리를 통한 생산성 분석, 둘째는 총산자수 향상을 위한 교배기술, 셋째는 효율적인 주간관리, 넷째는 임신진단을 통한 불임돈의 조기색출, 다섯째는 초산돈 관리와 분만후 5일 이내 자돈의 집중관리가 그것이다. 이 부분에서 총자산수 향상을 위한 교배기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모돈에 있어서 이유후 재귀발정의 시기와 강도는 임신에 크나 큰 영향을 미친다. 다음에서 후보돈관리와 모돈관리, 웅돈관리 요령을 살펴보겠다.

  • PDF

The Development of Productivity Prediction Model for Interior Finishes of Apartment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Deep Learning 기반 공동주택 마감공사 단위작업별 생산성 예측모델 개발 - 내장공사를 중심으로 -)

  • Lee, Giryun;Han, Choong-Hee;Lee, Junb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0 no.2
    • /
    • pp.3-12
    • /
    • 2019
  • Despite the importance and function of productivity information, in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the method of collecting and analyzing productivity data has not been organized. Also, in most cases, productivity management is reliant on the experience and intuitions of field managers, and productivity data are rarely being utilized in planning and management.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for interior finishes of apartment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so a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analyzing the productivity impacting factors and predicting productivity. The result of the study, productivity prediction model for interior finishes of apartment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can be a basic module of apartment project management system by applying deep learning to reliable productivity data and developing as data is accumulated in the future. It can also be used in project engineering processes such as estimating work, calculating work days for process planning, and calculating input labor based on productivity data from similar projects in the past. Further, when productivity diverging from predicted productivity is discovered during construc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analyze the cause(s) thereof and implement prompt response and preventive measures.

Rule-based Process Control System for multi-product, small-sized production (다품종 소량생산 공정을 위한 규칙기반 공정관리 시스템)

  • Im, Kwang-Hyu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5 no.1
    • /
    • pp.47-57
    • /
    • 2010
  • There have been many problems to apply SPC(Statistical Process Control) which is a traditional process control technology to the process of multi-product, small-sized production because a machine in the process manufactures small numbers, but various kinds of products. Therefore, we need the new process control system that can flexibly control the process by setting up the SPEC rules and the KNOWHOW rules. The SPEC rule contains the combination of diverse conditions to specify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roducts. The KNOWHOW rule is based on engineers' know-how. The study suggests the Rule-base Process Control that can be optimized to the multi-product, small-sized production. It was validated in the process of semiconductor production.

"가시없는" 음나무 생산 성공

  • 한국산림경영인협회
    • 산림경영
    • /
    • s.150
    • /
    • pp.34-34
    • /
    • 2001
  • 산림청 남부지방산림관리청 울진국유림관리소에서 가시가 전혀 없는 음나무(일명 개두릅)를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대량증식을 통하여 2002년 재배농가에 보급하여 농가소득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 PDF

Development of Streamflow Data Management System (유량자료 관리 및 분석 시스템 개발)

  • Hwang Seok Hwan;Kim Won;Jung Sung Won;Kim Chi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502-1506
    • /
    • 2005
  • 하천 유량자료는 이수, 치수, 수질관리 등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수문관측 자료 중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유량자료는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어서 수문자료로서 제대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량자료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현장 유량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일차적으로 필요하지만, 측정된 유량자료를 검증하고 수위-유량관계를 개발하여 유량으로 환산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측정된 유량자료를 총체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유량을 제공할 수 있는 운영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사용 사례별로 구분하는 방법론을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시간 하천 유량정보를 생산할 수 있도록 유량측정기술, 분석 기술, 수위-유량관계 개발 및 분석 기술, 실시간 유량생산 기술 등을 각 단계별 모듈로 구성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관리 및 이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실시간 유량정보 생산 및 제공 기반을 구축하였다.

  • PDF

A Study on Digital Information System for Parts Management using Image Processing (이미지처리에 의한 부품관리 디지털 정보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오영진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6 no.3
    • /
    • pp.44-50
    • /
    • 2001
  •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used many areas not only computer communications but also manufacturing managements. This paper is about the parts code and utility of 3d image maker that is needed in parts management of manufacturing system This images can be viewed by internet network, that makes it possible to teach and train new workers. Other application area would be e-comment cyber show and e-trade.

  • PDF

A Study Short Run Production Cusum Individual X Chart & Moving Range Chart (단납기 생산체계의 누계치 관리도와 유동성 관리도에 관한 연구)

  • Kim Je-H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9 no.4 s.32
    • /
    • pp.215-220
    • /
    • 2004
  • Production management confronted the environment of infinite competition should be prepared to abrupt variations of management environment and have the ability to be changed in short term. It has to be studied, the control method of products that correspond to multi-functionalization and reduced product life which is caused by high-quality and varied customers demands. As a process control method, we most be able not only to control varies characteristic in a control at once but also to detected special values quickly for high-quality. In this paper a control method referred above is pres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