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산공정관리

Search Result 68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Method using QR Code in Manufacturing Industry through Obtaining Orders (수주형 제조산업에서 QR 코드를 활용한 생산공정관리 방법연구)

  • Kim, Jung-Cheol;Moon, Il-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12
    • /
    • pp.2906-2913
    • /
    • 2013
  • Only small numbers of medium-sized manufacturers have adopted a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They have difficulty maintaining production cost and progress management, because they have used the ways that win a contract, not mass production system like a big company. Also a small company has to change standard features of products whenever customers want, by means of non-standardization and small quantity production method. As a result, it has been very difficult for a small company to establish a prop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So, this paper tried to make a study about increasing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using QR codes in a small-sized manufacturer with the ways that win a contract, based on real application case.

An Integrated Process Control Scheme Based on the Future Loss (미래손실에 기초한 통합공정관리계획)

  • Park, Chang-Soon;Lee, Jae-He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1 no.2
    • /
    • pp.247-264
    • /
    • 2008
  • This paper considers the integrated process control procedure for detecting special causes in an ARIMA(0,1,1) process that is being adjusted automatically after each observation using a minimum mean squared error adjustment policy. It is assumed that a special cause can change the process mean and the process variance. We derive expressions for the process deviation from target for a variety of different process parameter changes, and introduce a control chart, based on the generalized likelihood ratio, for detecting special causes. We also propose the integrated process control scheme bases on the future loss. The future loss denotes the cost that will be incurred in a process remaining interval from a true out-of-control signal.

반도체 공정관리의 자동화

  • Heo, Chung-Ho
    • ETRI Journal
    • /
    • v.9 no.1
    • /
    • pp.125-137
    • /
    • 1987
  • 반도체 산업에서는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도와 고기능화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생산설비의 자동화가 급격히 발달함에 따라 생산라인의 관리자동화가 필연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컴퓨터 network에 의한 콘트롤과 자동운반 시스팀에 의한 공정제어를 실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스팀들의 특징은 feed forward, feed back 에 의한 정확한 공정제어와 on line, real time의 데이터 수집, 해석을 한다. 그러나 전반적인 자동화를 실현하려면 웨이퍼의 자동 handling 기술, 고성능 센서의 개발 등이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Point of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Network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산시점관리시스템)

  • Seo, Jeong Min;Song, Jeo;Lee, Sang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399-400
    • /
    • 2013
  • POP(Point of Production) 시스템은 제조현장에서 발생되는 생산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하여 현장의 보고 체계를 정형화 시켜준다. 또한 실시간 분석 정보를 통행 생산 이후의 과정(품질관리, 유통, 판매, 생산계획 등)을 기획하고 관리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즉, 제조 환경 변화에 따른 생산 지휘 체계를 통제하는 운영 환경을 조성하여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이는 특힝 단위 공정의 생산량, 공정의 정확한 측정과 그에 따른 소요시간을 감축하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C/S환경이 아닌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POP시스템을 제시한다.

  • PDF

Developing SPC System of an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Firm under POP System Environment (POP시스템 환경하의 자동차부품 제조업체의 SPC시스템 개발)

  • 이진춘;김정만;김오환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4 no.3
    • /
    • pp.8-14
    • /
    • 1999
  • SPC(Statistical Process Control) provides objective means of controlling quality in any transformation processes by analyzing statistically data gathered in the process. Considering the fact that a measure to feedback results of the process investigation in the real time is required, it is very practical to construct the SPC system as a module of the POP(Point of Production) system. Because this approach can make the investment cost reduced and achieve goals of production/process control and SPC simultaneously. This paper designed and developed the SPC system of firm S that manufactures automobile parts

  • PDF

염색공정관리기술

  • S.TSUJIY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3-17
    • /
    • 2000
  • 일본의 영색공장의 25년 경험을 통한 영색 공장의 생산관리, 납기관이, 품질관리에 대한 내용과 그 check point 중심으로 소개하고, 최근 일본에서 진행중언 영색가공기술, 공정개선, 기술개발을 설명하고자 한다. 현장에서의 공정설계의 중요성과 특히 시험가공, 생지설계, 원사특성, 기계조건 등의 data를 구약해야 하고, 생산성, cost와 불량품을 check 하여 사내의 수익성과 직결되도록 한다. 즉, 고객에게는 기쁨을 주고, 생산자에게 이익이 되는 제품을 공정설계에 의해 결정한다. 양색가공기술개발은 양색공장에 있어서 기술적인 업무공정, 생산기술 요소 들이 하나로 압축되어야만 우수한 기술이 되고, 매출기여에 도움이 된다. 즉, 양색개발과 양색공정은 책임자와 공장장에 의해 결정이 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계획에 의한 목표 달성을 해야만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상기의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Short Run Production Cusum Individual X Chart & Moving Range Chart (단납기 생산체계의 누계치 관리도와 유동성 관리도에 관한 연구)

  • Kim Je-H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9 no.4 s.32
    • /
    • pp.215-220
    • /
    • 2004
  • Production management confronted the environment of infinite competition should be prepared to abrupt variations of management environment and have the ability to be changed in short term. It has to be studied, the control method of products that correspond to multi-functionalization and reduced product life which is caused by high-quality and varied customers demands. As a process control method, we most be able not only to control varies characteristic in a control at once but also to detected special values quickly for high-quality. In this paper a control method referred above is presented.

  • PDF

Development of CPAM(Construction Process Analysis Model) based on Lean Construction Principles (린 건설 원리에 기초한 건설 생산 공정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Kim Chan Hun;Kim Chang Du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 no.4 s.8
    • /
    • pp.48-61
    • /
    • 2001
  • This study aims at improving work reliability. It proposes a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urrent scheduling methods by providing a new framework, CPAM(Construction Process Analysis Model) based on the lean principles. It suggests methods which improve work reliability and production effectiveness with variability control methods. Also it suggests methods which reduce inventories of materials and equipment and WIP(Work In Process) using two techniques; Lookahead Schedule and Weekly Work Plan. Th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also includes that it assumes planning as a process of reducing uncertainty and maximizing throughput, counter-posing plan reliability to resource redundancy as alternative strategies for managing in conditions of uncertain work flow.

  • PDF

냉동수산식품 HACCP 관리 기준

  • 식품의약품안전청
    • Food Industry
    • /
    • s.219
    • /
    • pp.24-60
    • /
    • 2011
  • ${\bigcirc}$ 본 업소는 수산물가공품(냉동어류, 냉동연체류, 조미가공품)을 생산하는 식품제조 가공업소로서 총 5명의 인원이 수산물가공품 8개 제품을 생산하여 매출액은(약 00원)이며 주로 집단급식소에 판매하고 있다. ${\bigcirc}$ 본 업소의 수산물가공품은 냉동생선 해동(또는 냉장생선 이용), 전처리(냉장제거 등) 이후 세척 후 급냉하여 포장하거나(냉동어류 및 냉동연체류) 가열 후 포장하여 급냉하는(조미가공품) 공정을 거쳐 생산된 제품으로 원료 취급과정에서의 오염이나 불충분한 가열, 교차오염 등으로 식중독균(병원성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등)과 원료 및 제조과정에서 이물(금속 등)이 혼입할수 있으며, ${\bigcirc}$ 이로 안한 주요클레임 발생사례는 최근 3년간 관계당국으로부터 대장균군 검출 3건, 소비자클레임 2건이 있었다. - 연도별 주요 클레임내용은 '08년도에는 대장균군 검출 3건, '09년도 냉동어류에서 날벌레 이물 검출 1건, '10년도에는 냉동연체류에서 철수세미 1건 이었다. ${\bigcirc}$ 이러한 위해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중점관리해야 하는 공정은 세척공정(냉동어류 및 냉동연제류) 및 가열공정(조미가공품)으로 판단되며, 금속 등의 이물 혼입 또한 중점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bigcirc}$ 본 업소에서 생산하는 냉동어류 및 냉동연체류는 세척공정에서 세척시간과 세척수량, 원물량을 각각 설정하여 CCP 1로 관리하고 2시간마다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bigcirc}$ 조미가공품은 가열온도와 시간을 각각 설정하여 CCP 2로 관리하고 있으며, 품온이 $85^{\circ}C$이상 유지할수 있도록 2시간마다 모니터링하고 한계기준 이별여부를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bigcirc}$ 또한 금속검출공정을 CCP 2로 관리하여 2mm${\varphi}$ 이상의 금속이물 혼입여부를 상시 확인하고 있으며, 금속검출기가 정상 작동여부를 4시간마다 모니터링하고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bigcirc}$ 종합적인 공정 및 일반위생관리를 위해 개인위생 상태 냉동 냉장고 온도 확인 등 총 29개 항목에 대하여 정기적 점검(매일 17 주간 4 월간 4 분기 1, 연간 3)을 실시하고 있으며, ${\bigcirc}$ 따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미흡사항의 원인으로 파악하고 문제점 제거를 위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based on Web of Things for Steel Wire (철강선재를 위한 WoT 기반 스마트 생산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Dong-Hyun;Huh, Jun-hwan;Kim, Jong-D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1
    • /
    • pp.115-123
    • /
    • 2021
  •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is a factory information system that handles production-related quality data as well as executes production plans of process unit for all resources in the production process on site.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maximizes an automation and connectivit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come a hot topic, manufacturers are showing interest in building a smart factories, but enormous construction costs and unstandardized production processes are obstacles to smart factory construction. Therefore, this paper designs and implements a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for building a smart factory in a deterioration factory. we propose a Web-based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aiming at a smart factory at the basic level for steel wire processing. The proposed system will smoothly support interworking with the existing ERP system using REST APIs, and will consider extensi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devices and browsers. We will show practicality by implementing the proposed WoT-based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