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학적질소제거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Removal of Ammonia-Nitrogen Contained in Landfill Leachate by Ammonia Stripping(I) (암모니아 탈기공정을 이용한 침출수의 암모니아성 질소제거(I))

  • Lee, Byung-Jin;Cho, Soon-Hai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2 no.10
    • /
    • pp.1893-1904
    • /
    • 2000
  • Nitrogen compounds are one of the major pollutants which cause eutrophication problems of the river or lake and red tides problems of the ocean. Currently available technologies for the removal of nitrogen compounds are mostly biological treatment. However, biological treatment is only effective for the wastewater which contains low concentration of nitrogen compounds. Leachate from solid waste landfill or industrial wastewater which contains high concentration of nitrogen can not be effectively treated by most of the currently available biological treatment technologies. With this conne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ammonia stripping technology for the removal of high concentration of ammonia nitrogen compounds of the leachate from solid waste landfill. It can be concluded that ammonia stripping technology which was placed before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was very effective for the removal of high concentration of ammonium compounds. The chemical cost for the ammonia stripping was 16 percent higher than MLE process, so other methods like sludge recycling are needed for the reduction of operation cost. Further detail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 PDF

Removal of Low Concentration Ammonia Nitrogen using a Packed Bed Bioreactor Immobilized with Nitrifier Consortium (질화세균을 고정화한 충전층 생물반응기에서 저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 Lee, Chang-Keun;Kim, Byong-Jin;Lee, Min-Su;Kim, Yong-Ha;Suh, Kuen-Hack
    • Clean Technology
    • /
    • v.13 no.1 s.36
    • /
    • pp.16-21
    • /
    • 2007
  • This study estimated the effect of hydraulic residence time(HRT), influent total ammonia nitrogen(TAN)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pH in the packed-bed bioreactor using immobilized nitrifiers. Removal rate of ammonia nitrogen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HRT and the optimum HRT was 0.2 hour when influent TAN was $2g/m^3$. At this point, removal rate was $226.1\;g/m^3{\cdot}day$ and removal efficiency was 88.8%. Removal rate of ammonia nitrogen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AN concentration. Removal rate and efficiency of ammonia nitrogen were kept constant at $20{\sim}35^{\circ}C$ and pH $8{\sim}9$ value.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nitrification Bacteria (탈질 세균의 분리 및 특성)

  • 차월석;최형일;이동병;차진명
    • KSBB Journal
    • /
    • v.18 no.6
    • /
    • pp.461-465
    • /
    • 2003
  • Five denitrifying bacteria, which were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were isolated by the enrichment culture technique. The most effective denitrifying bacterium was named as Pseudomonas DWS, which was cultivated at anoxic condition. The optimal growth temperature and pH were 30$^{\circ}C$ and 7-8, respectively. Cell growth almost revealed a stationary phase at 18 hours after cultivation and nitrate was degrade 99.9%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seudomonas DWS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nitrogen compounds.

Nutrient Release during the Aerobic and Alternant Aerobic Sludge Digestion (도시하수슬러지의 호기성 소화시 영양염류 용출에 관한 연구)

  • 박종안;김성홍;허준무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26 no.4
    • /
    • pp.82-87
    • /
    • 2000
  • 생물학적 슬러지를 대상으로 간헐포기 소화와 호기성 소화의 회분실험을 실시하였다. 생물학적 슬러지의 간헐포기 및 호기성 소화 초기단계에서 미생물의 감량은 주로 내생 호흡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 단계에서 질소는 곧바로 용출되지 않고 슬러지내에 잔존함으로서 슬러지의 질소함량은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소화후반에서는 최초의 질소함량수준으로 다시 감소하였다. 34일간의 회분식 소화에서 호기성 소화의 총질소 제거효율은 0.1%로서 거의 제거가 안된 반면, 포기 비율 0.25, 05 및 0.75인 간헐포기 소화에서는 각각 42.7%, 42.5% 및 17.6%로 나타나 간헐포기 소화가 호기성 소화보다 질소 제거측면에서 우수하였다. VSS의 감소에 따라 슬러지내의 인도 수중으로 용출하였으나, 인 용출율은 VSS 감소율 보다 훨씬 낮았고 그 결과 소화슬러지의 인 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호기성 소화와 간헐포기 소화는 소화슬러지의 인 함량이 증가하는 공정이므로 반송수의 인 부하는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이는 하수의 영양염류 제거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Biological Denitrification Process using Sulfur for the Wastewater Containing Low BOD (저농도 BOD함유 폐수의 황(S)을 이용한 생물학적 탈질공정 개발 (SPAD 공정))

  • 광주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한국과학기술원;동명산업
    • Environmental engineer
    • /
    • v.19 s.186
    • /
    • pp.66-73
    • /
    • 2002
  • 우리나라 하수의 특성이 유기물 농도가 질소 농도에 비하여 매우 낮기 때문에 외국의 종속영양 탈질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기가 힘들며 적용한다 할지라도 외부탄소원을 넣어야 하므로 경제적인 처리는 불가능하다. 산업폐수의 경우에 있어서도 유기물농도가 질소농도에 비하여 낮은 폐수의 경우는 값비싼 외부탄소원을 넣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폐수 특성에 맞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질소화합물 제거 기술의 개발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종속영양탈질공정의 경제성 문제 및 기존의 황탈

  • PDF

Development of Biological Denitrification Process Using Sulfur for the Wastewater Containing Low BOD (저농도 BOD함유 폐수의 황(S)을 이용한 생물학적 탈질공정 개발 (SPAD 공정))

  • 김인수;오상은;범민수;이성택;이창수;김민수
    • Environmental engineer
    • /
    • s.183
    • /
    • pp.70-77
    • /
    • 2001
  • 우리나라 하수의 특성이 유기물 농도가 질소농도에 비하여 매우 낮기 때문에 외국의 종속영양 탈질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기가 힘들며 적용한다 할지라도 외부탄소원을 넣어야 하므로 경제적인 처리는 불가능하다. 산업폐수의 경우에 있어서도 유기물농도가 질소농도에 비하여 낮은 폐수의 경우는 값비싼 외부탄소원을 넣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폐수 특성에 맞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질소 화합물 제거 기술의 개발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종속영양탈질공정의 경제성 문제 및 기존의 황탈

  • PDF

Advanced Swine Wastewater Treatment with using Membrane Bioreator(A/O) and Nanofiltration (MBR(Membrane Bioreactor: A/O)공정과 나노여과를 이용한 축산폐수 고도처리)

  • 장경국;배태현;김은영;장하원;탁태문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4.05b
    • /
    • pp.115-118
    • /
    • 2004
  • 축산폐수에 대한 방류수 수질기준 항목에 COD의 추가 및 질소와 인의 기준이 강화(1999년)됨에 따라 많은 축산폐수처리시설의 보강과 새로운 기술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공공처리시설에서는 질소 및 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2차 처리단계에서 무산소조(탈질조)와 호기성(포기조)를 연계한 생물학적 질소제거를 실시하고, 최종처리단계에서 응집제 투입에 의한 응집ㆍ침전공정후 모래여과 또는 활성탄 흡착공정에 의한 인과 색도제거 하는 등, 생물학적 처리 및 물리ㆍ 화학적 처리시설이 추가적으로 보완ㆍ적용단계에 있다.(중략)

  • PDF

Removal Effect of Natural Organic Matter in the Biological Activated Carbon

  • Park, Young-G.
    •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 /
    • v.16 no.4
    • /
    • pp.47-54
    • /
    • 2001
  • 흡착된 유기물들의 생물막상에서 오존효과(오존에 의한 생물학적 분해능)를 관찰하기 위해 파 일롯 실험이 수행되었다. 유입원수 내 용존유기물들 중에는 THM전구물질이 존재하고 염소화 정 수과정에서 생성된 THM은 원수내 염소의 양이 2배에서 5배로 증가될수록 THM중 클로로포름은 5배에서 10배 가량 증가되고 디브로모클로라이드는 5배 가량 증가된다. 이러한 THM은 활성탄에 흡착되고 생물학적 분해에 의해 제거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특히 암모니아성 질소는 활성탄 에서보다 생물활성탄에서 40% 가량 생물학적 제거능이 증가된다는 활성탄내부의 생분해성이 발 견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인 THb7에서도 활성탄에서 보다 생물활성탄에서 미생물분해효과에 의해 제거효율이 20%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mmunity Analysis of Nitrite-Oxidizing Bacteria in Lab-Scal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폐수처리장치에서의 아질산염 산화 세균 군집 분석)

  • Jeong, Soon-Jae;Lee, Sang-Ill;Lee, Dong-Hun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4 no.1
    • /
    • pp.29-36
    • /
    • 2008
  • Nitrogen is one of the major pollutants that should be removed by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Biological nitrogen removal (BNR) is a key technology in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operated by bacterial populations. Nitrification is the first step of microbiological processes in BNR system. Ammonia is oxidized to nitrite by ammonia-oxidizing bacteria (AOB) and then nitrite is subsequently oxidized to nitrate by nitrite-oxidizing bacteria (NOB). The diversity of NOB in nitrification reactors of 3 BNR systems, Edited biological aerated filter system, Nutrient removal laboratory system, and the Rumination type sequencing batch reactor system, was investigated by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analysis of 16S rRNA genes. Cluster analysis of T-RF profiles showed that communities of Nitrobacter group in each system were different depending upon the process of systems. However, the clusters of Nitrospira group were divided by the habitat of aqueous and solid s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