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침입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1초

RCPs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큰망초(Conyza sumatrensis)의 적합 서식지 분포 예측 (Predicting the suitable habitat distribution of Conyza sumatrensis under RCP scenarios)

  • 김명현;최순군;조재필;김민경;어진우;엽소진;방정환
    • 환경생물
    • /
    • 제40권1호
    • /
    • pp.1-10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는 강수량과 기온에 영향을 주며, 다양한 종들의 서식지와 생물다양성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최근 국제 교류의 증가와 기후변화 등의 원인으로 국내로 새롭게 유입되어 정착하는 외래식물이 증가하고 있지만, 기후변화가 이들 외래식물의 국내 분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침입외래식물 큰망초(C. sumatrensis)의 현재 분포와 생물기후 변수를 활용하여 RCPs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적합 서식지 분포 변화를 예측하였다. 큰망초는 현재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서 제한된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이들의 분포에는 가장 건조한 분기의 평균기온(bio09), 가장 더운 달의 최고기온(bio05), 등온선(bio03)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큰망초의 미래 적합 서식지 면적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큰망초와 같은 침입외래종의 분포 변화는 자생식물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으며 생태계 교란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외래종 분포에 대한 연구는 자생식물뿐만 아니라 생물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서식지 복원과 생물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붕장어 (Conger Myriaster)로부터 새로운 항균활성 펩타이드의 분리 및 정제

  • 김인혜;서정길;김은정;김찬희;고혜진;김창훈;박남규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13-214
    • /
    • 2001
  • 일반적으로 척추동물 및 무척추동물들은 세균 및 기생충 등과 같은 외부물질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항균성 펩타이드를 생산하는 비특이적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까지 비특이적 면역기능을 수행하는 많은 항균성 펩타이드들이 포유류, 양서류 곤충, 및 식물 로부터 분리 정제되었고 구조 활성간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와 활성간의 연구는 거의 육상생물로부터 유래한 항균성 펩타이드에 한정되었고 해양생물, 특히 어류를 이용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중략)

  • PDF

한반도에서 종 분포 모델을 이용한 두 침입외래식물, 돼지풀과 물참새피의 잠재적 분포 예측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s of Two Invasive Alien Plants, Paspalum distichum and Ambrosia artemisiifoli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in Korean Peninsula)

  • 이승현;조강현;이우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3호
    • /
    • pp.189-200
    • /
    • 2016
  • 종분포 모델은 어떤 지역에서 침입외래종이 어떻게 확장되고 어떤 환경 요인이 이들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두 침입외래종인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과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의 분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두 종의 현재의 분포지에서 기후환경 요인을 분석하고 이 두 종의 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Maxent (the maximum entropy) 모델을 이용하였다. 이 두 종의 출현 자료는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와 우리나라의 식물종 데이터베이스에서, 생물기후 자료는 WorldClim 자료로부터 얻었다. 모델을 수행한 결과, 자생지 위치자료를 이용한 예측 결과보다 전지구 위치자료를 이용한 예측이 연구 대상종의 잠재적 분포지를 잘 설명하였다. 이들 종의 분포에 기여한 기후환경 요인으로서 돼지풀에서는 최건월의 강수량과 연평균온도가, 물참새피에서는 연평균온도와 최한사분기의 평균온도가 선정되었다. Maxent 종분포 모델은 외래종의 침입을 예측하고 이들의 확산을 관리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ineola bisselliella (나비목, 곡식좀나방과)의 국내 발견 보고 (A Webbing Clothes Moth, Tineola bisselliella (Lepidoptera, Tineidae) New to Korea)

  • 이동준;박해철;노승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49-153
    • /
    • 2023
  •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록속인 Tineola Herrich-Schäffer속의 Tieola bisselliella (Hummel, 1823)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해당 종은 모피, 양모, 깃털, 가죽 등 일상용품을 가해할 뿐만 아니라 미술, 역사, 또는 과학적으로 중요한 물품들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산 T. bisselliella의 성충 및 암수 생식기를 기재하고 도판을 제공하였다.

꿀벌 해충 등검은말벌 방제를 위한 화학 살충제 이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usceptibility of Several Insecticides to Honey Bee Pest, Vespa velutina nigrithorax (Hymenoptera: Vespidae))

  • 홍동의;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13-23
    • /
    • 2024
  • 등검은말벌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유럽지역에 침입한 꿀벌의 중요한 포식해충이다. 양봉가들이 살충제를 활용하여 밀도 억제를 시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실현가능하고 과학적 방법과 적용 가능성이 정형화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양봉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살충제를 가지고, 등검은 말벌의 유충과 성충의 살충율과 반응 패턴을 조사하였다. Clothianidin, Dinotefuran, Carbosulfan은 처리 후 30분 내 70% 이상의 살충률을 보였으며, Bifenthrin, Cartap hydrochloride의 상대적으로 살충률이 낮았다. Clothianidin, Dinotefuran, Carbosulfan의 반수치사약량(LD50)은 각 0.29, 0.65, 2.21 ㎍/bee이었다. 5령 유충에 대한 24시간 간격으로 3회 연속 섭식 처리를 했을 때, 2일이후에 약효가 나타났고 72시간 후에는 모두 70% 이상 살충률을 보였다. 등검은말벌의 반수치사약량은 양봉꿀벌의 것보다 10-100배 더 높았다. 향후 이 살충제를 말벌 방제에 이용할 수 있을지 추가적 검토가 필요하다.

침입자 탐지용 인공 유동감지모의 응답 모델링 (Responses of Artificial Flow-Sensitive Hair for Raider Detection via Bio-Inspiration)

  • 박병규;이준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4호
    • /
    • pp.355-364
    • /
    • 2010
  • 주위 매질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섬유상 감지모는 대부분의 생물체에 존재하여 침입자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기능을 모방한 인공 감지모의 가능한 작동영역 및 응답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공유동센서의 수학 모델에 대한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하고, 각 변수들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진동성분을 갖는 복합 공기 유동장에서 감지모의 길이 및 직경이 기계적인 감도와 주파수 응답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감지모의 길이에 따라 각속도, 각속도, 각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력 및 가상 질량에 의한 토크가 매우 작지만 감지모의 움직임에 매우 큰 영향을 나타냈다. 감지모의 길이 및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공진 주파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생종 포식자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의 생태적 제어에 관한 연구 (Ecological Control of Invasive Alien Species, American Bullfrog (Rana catesbeiana) Using Native Predatory Species)

  • 노선호;정진석;유영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4-61
    • /
    • 2017
  • 습지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의 생태적 제어를 목적으로 효과적인 생물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6종의 토종 포식성 어류와 6종의 조류를 이용하여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대상으로 포식률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어류 중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 메기(Silurus asotus), 가물치(Channa argus) 3종은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모두 포식하였고, 그 중 전자를 더 선호하였다. 그러나 끄리(Opsariichthys uncirostris), 드렁허리(Monopterus albus), 뱀장어(Anguilla japonica) 3종은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전혀 섭식하지 않았다. 그리고 고니(Cygnus columbianus), 큰고니(Cygnus cygnus), 쇠오리(Anas crecca), 원앙(Aix galericulata), 홍머리오리(Anas penelope), 가창오리(Anas formosa) 등 실험에 사용한 6종의 조류 또한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전혀 먹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국내 습지생태계에서 토종 물고기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의 제어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스파라거스에서 병원성 및 비병원성 Fusarium균의 상호작용과 비병원성 Fusarium을 이용한 아스파라거스 줄기 및 뿌리썩음병 방제 기작 연구 (Interactions of Virulent and Avirulent Fusarium species on Clonal Asparagus Plantlets and Mechanisms Involved in Protection of Asparagus with Avirulent Fusarium Species Against Stem and Crown Rots)

  • 이윤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7-57
    • /
    • 1996
  • 병원성 Fusarium에 의한 아스파라거스 감염은 비병원성 Fusarium을 5일과 7일 전에 접종하였을 때 방제효과가 있었다. 비병원성 F. oxysporum은 F. moniliforme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있었고, F. solani는 F. oxysproum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실험에 사용된 Fusarium 균들은 모두 주근과 측근의 말단 부위, 상처부위, 그리고 표피의 세포벽 사이를 통하여 감염하였다. 경우에 따라 감염하는 동안 appressorium과 유사한 구조를 형성하기도 하였고, 직접 감염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성 그리고 비병원성 Fusarium 균 모두 공통적으로 생장점 부위를 통하여 감염하였다. 병원성이 강한 Fusarium 균의 경우 비병원성 균들보다 감염의 속도가 빨랐고 더욱 생장이 왕성하였다. F. solani는 생장속도나 기주 조직 침입속도가 매우 느렸다. 기주 감염의 결과 처음에는 cortical rot을 유발시켰고 나중에는 tracheary elements를 감염하고 결국은 조직의 괴사를 유발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비병원성 F. oxysporum은 표피조직에 두터운 균사층을 형성하였고, 이는 병원성 Fusarium 균에 대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여겨진다. F. solani는 측근의 생성을 촉진시켜 표면적을 증대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AVFO와 F. solani를 이용하여 아스파라거스에 발생하는 병원성 Fusarium균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는 생물적 방제가 가능함이 밝혀졌다.

  • PDF

침입외래종 붉은귀거북의 제주도 내 분포 및 현황 (Distribution and Status of the Alien Invasive Red-eared Slider (Trachemys scripta elegans) in Jeju Island, South Korea)

  • 오홍식;박선미;;김유경;김태욱;한상현
    • 환경생물
    • /
    • 제35권1호
    • /
    • pp.57-63
    • /
    • 2017
  •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외래침입종인 붉은귀거북 (Trachemys scripta elegans)의 지리적 분포와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붉은귀거북의 서식지는 총 32개 지점이었고, 25개의 연못과 5개의 저수지, 1개의 하천과 1개의 웅덩이에서 관찰되었다. 발견된 서식지 중에서 13개 지점은 이번 조사에서 새롭게 확인되었고, 나머지 19개 지점은 기존 연구에서 보고된 지점이었다. 반면, 사전 연구에서 보고된 서식지 중 9개 지점에서는 붉은귀거북이 관찰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붉은귀거북 133개체가 관찰되었다. 그중에서 39개체의 유체들이 19개 서식지에서 발견되었고, 이는 제주도의 야생생태계에서 붉은귀거북들이 번식활동을 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바다에 의한 지리적 격리로 19세기까지 제주도에는 담수거북류가 서식하지 않았다. 따라서 붉은귀거북 서식지와 개체수의 증가는 애완용이나 다른 목적으로 도입된 이후 인간에 의한 방류, 자연 상태에서의 번식에 의한 결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주도에서 고유 야생 동물에 대한 보존프로그램의 운영과 침입외래종인 붉은귀거북에 대한 관리 계획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우엉뭉뚝날개나방(Tebenna issikii)에 대한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train (Rhabditida: Steinernematidae) against Tebenna issikii (Lepidoptera: Choreutidae))

  • 김형환;한건영;추호렬;이상명;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313-318
    • /
    • 2007
  • 곤충병원성 선충을 이용하여 우엉뭉뚝날개나방 (Tebenna issikii) 에 대한 생물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엉뭉뚝 날개나방 유충 당 40 마리 이상의 S. carpocapsae GSN1 계통 처리 시 우엉뭉묵날개나방 유충은 100% 치사되었으며 반수치시농도$(LC_{50})$는 5.7마리였다. 우엉뭉묵날개나방의 유충 한 마리에 S. carpocapsae GSN1 계통 감염태 유충을 5, 10, 20, 40 및 80 마리로 접종한 결과 1.4, 1.4, 3.2, 5.6 및 11.9 마리의 선충이 침입하였는데 침입율은 5 마리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접종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우엉뭉뚝날개나 방 유충에서 S. carpocapsae GSN1 계통의 증식수는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