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정화

Search Result 36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hanges of Soil Properties through the Remediation Processes and Techniques for the Restoration of Remediated Soils (오염 토양 정화공정에 의한 토양의 특성 변화 및 정화토의 회복기술)

  • Lee, Sang-Woo;Lee, Woo-Chun;Lee, Sang-Hun;Kim, Soon-Oh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3 no.4
    • /
    • pp.441-477
    • /
    • 2020
  • There have been raised other environmental issues related to remediated soils piled up in numerous carry-out processing facilities because a considerable quantity of them have been produced every year, but most of them have not been relevantly reused or recycled. Thus, this article reports the trend of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to restore the quality of remediated soils to activate their reuse and recycling. Firstly, the tendency of change in soil properties through remediation processes was looked over, and then the degradation of soil quality was characterized according to the type of remediation processes. Besides, the direction of policy to promote the reuse and recycling of remediated soils was introduced, and finally, the future works needed were suggested. This article was pre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 number of literature were reviewed to scrutinize the change of soil properties due to remediation processes and diverse techniques for the amendment and restoration of remediated soils. Furthermore, the policies related to the reuse and recycling of remediated soils were arranged with the reference of the first and second versions of the Soil Conservation Master Plan of Korea. The literature survey focused on three kinds of remediation technologies, such as land farming, soil washing, and thermal desorption, which were most frequently used so far in Ko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endency of change in soil properti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remediation processes applied, and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soil quality were also totally different between them. The soil amendment and restoration can be categorized as three techniques depending on the type of substances used, such as inorganic, organic, and biological ones. Diverse individual materials have been used, and the soil properties improved or enhanced were dependent on the type of specific materials utilized. However, few studies on the restoration of soil qualities degraded during the remediation processes have not been carried out so far. The second Soil Conservation Master Plan states the quality certification and target management system of remediated soils, and it is expected that their reuse and recycling will be facilitated hereafter.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remediation processes implemented and public utility, the restoration technologies of remediated soil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vitalization of their reuse and recycling. Besides, practical and specific measures should be taken to support the policy specified in the second Soil Conservation Master Plan and to promote reuse/recycling of remediated soils.

Bioremediation of Oil-Contaminated Soil Using Rhizobacteria and Plants (근권세균과 식물을 이용한 유류 오염 토양의 생물복원)

  • Kim Ji-Young;Cho Kyung-Suk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34 no.3
    • /
    • pp.185-195
    • /
    • 2006
  • Phytoremediation is a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bioremediation technique using plants which can increase the microbial population in soil. Unlike other pollutants such as heavy metals, poly-chlorinated biphenyl, trichloroethylene, perchloroethylene and so on, petroleum hydrocarbons are relatively easily degradable by soil microbes. For successful phyto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petroleum hydrocarbons, it is important to select plants with high removal efficiency through microbial degradation. In this study, we clarified the roles of plants and rhizobacteria and identified their species effective on phytore-mediation by reviewing the papers previously reported. Plants and rhizobacteria can degrade and remove the petroleum hydrocarbons directly and indirectly by stimulating each other's degradation activity. The preferred plant species are alfalfa, ryegrass, tall fescue, poplar, corn, etc. The microorganisms with a potential to degrade hydrocarbons mostly belong to Pseudomonas spp., Bacillus spp., and Alcaligenes spp.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elimination efficiency of hydrocarbons by soil microorganisms can be improved when plants were simultaneously applied. For more efficient restoration, i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lant-rhizobacteria interaction and to select the suitable plant and microorganism species.

효율적인 Bioventing 공정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문원재;오영진;왕성환;박태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359-361
    • /
    • 2002
  • 국내에서는 1990년대 이후부터 주유소 및 유류저장시설 부근의 토양 및 지하수오염에 관한 법이 제정되었으며 그와 관련된 복원 및 정화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미생물학적 대사를 이용하는 생물학적복원기술(Bioremediation)은 유류로 오염된 지역에서 정화 및 복원방법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또한 경제적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Bioremediation기법중 하나인 bloventing은 운전 및 처리비용의 감소와 효율의 향상적인 측면에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기존에는 오염토양에 대한 물리ㆍ화학적 분석과 미생물 활성에 미치는 인자의 측정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토양 가스내 $CO_2$ $O_2$의 측정ㆍ분석을 통한 분해율 평가와 탄화수소 분해에 대한 경과 및 복원시간을 예측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중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유류오염지역을 복원하기 위한 기술 중 생물학적 복원기술(bioremediation)의 하나인 bioventing 기술의 국내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국내 실정에 적합한 bioventing공법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lab-scale bioventing process를 이용하여 생부해를 최대화시키고 오염성분의 휘발을 최소화시키는 bioventing system의 최적운전 mode(연속식, 간헐식)를 개발하기 위해 공기공급량과 생분해량, 그리고 휘발되는 탄화수소양과의 관계를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Deduction of Best Design Factor of Riparian Buffer Zone for Reduction of Non-Point Pollutants (비점오염 부하 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최적 인자 도출을 위한 연구)

  • Kim, Sung-Won;Choi, I-Song;Jung, Sang-Jun;Woo, Hyo-Seop;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88-1792
    • /
    • 2007
  • 한강 "수변구역"에서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은 다양한 생물의 서식공간이며, 동시에 본류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시키는 수질개선 공간인 수변완충구역, 또는 지대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변완충지대 효과 분석 및 설정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변구역의 자정능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그 밖의 하천 연안에서 비점오염물질의 차단과 처리능력을 증진시키고 수변 생태계의 서식처 보전 및 복원을 위해서 수변완충지대의 수질정화 기술개발과 생물다양성을 창출하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기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변완충지의 추가적인 조성과 보완, 시험완충지 생태구조 및 기능 기초조사, 시험완충지 오염부하 저감효과의 실험 및 분석, 수변완충지대 설치 구상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수변완충지대 조성 시 설정 폭을 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수행 지역은 한강수계 지역으로 남한강 수변인 경기도 양평군 병산리에서 실시하였으며, 잔디와 갈대, 갯버들, 혼합지역, 자연그대로의 상태(대조지역)의 5 구역으로 구분하였고, 거리별, 깊이별 샘플을 채취하여 유입수에 대한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변완충지대의 설계 시 필요한 유역의 폭, 면적, 길이 등과 같은 설계인자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오염토양의 환경친화적 복구방안 - 위해성에 근거한 복원전략 -

  • Nam, Gyeong-Pil;Choe, Sang-Il;Park, Jae-U;Bae, Beom-Han;An, Ik-Seong;Go, Seok-O;Hwang, In-Seong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3 no.1 s.8
    • /
    • pp.41-48
    • /
    • 2003
  • 오염토양을 관리하는데 있어 현재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는 부분은 오염물질이 정화되었다는 판정을 '어떤 기준으로 내리는 것이 합리적인가?'하는 것이다. 오염된 토양을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복구를 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학계와 산업계를 중심으로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미국의 경우, 환경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등을 중심으로 그러한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본격적인 연구 및 조사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오염물질의 토양잔류농도와 획일화된 규제기준을 비교하여 오염여부를 판단한 후 복구여부 및 수준이 결정되어 왔는데 이러한 방법에 문제점이 있으며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과학적 증거들이 발견, 축적되면서 이에 대한 대안이 모색되기 시작하였고 그 중의 하나가 '위해성에 근거한 복원전략(risk-based remediation strategy, RBRS)' 이라고 할 수 있다. RBRS는 오염토양의 정화기준을 결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화학적 방법(즉, 토양잔류농도)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독성학적 방법도 같이 사용함으로써 오염물질의 실질적인 이용성에 따른 생독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RBRS의 가장 큰 장점은 오염물질의 종류뿐만 아니라 오염 지역의 특수성(예: 토지이용용도, 토양 및 지하수 특성, 수용체 집단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오염물질의 위해성(risk) 여부를 판단하며 그 결과에 의거하여 오염지역의 정화 실시 여부 및 수준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RBRS에 의한 정화 및 복구사업은 과학적, 합리적, 경제적인 바탕 위에서 시행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도 향후 오염지역의 정화에 RBRS와 같은 개념이 이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학계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폭을 넓혀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Plant Growth-promoting Bacteria for Remedi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Characteristics, Application and Prospects (중금속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식물생장촉진세균: 특성, 활용 및 전망)

  • Cho, Kyung-Suk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48 no.4
    • /
    • pp.399-422
    • /
    • 2020
  • Remediating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s very important not only for human health but also for ecosystem sustainability. Of the available remediation technologies for heavy metal-contaminated soils, phytoremediation is a relatively low-cost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y which preserves biodiversity and soil fertility. The application of plant growth-promoting bacteria (PGPB) during the phytoremediation of heavy metal-contaminated soils can enhance plant growth against heavy metal toxicity and increase heavy metal removal efficiency. In this study, the sources of heavy metals that have adverse effects on microorganisms, plants, and humans, and the plant growth-promoting traits of PGPB are addressed and the research trends of PGPB-assisted phytoremediation over the last 10 years are summariz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PGPB inoculation methods on the performance of PGPB-assisted phytoremediation are discussed. For the innovation of PGPB-assisted phytoremedi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PGPB and the interactions among plant, PGPB, and indigenous microorganisms in the field.

Red-tide Prevention and Killing Treatment of Seaweed and Algae (적조방재와 해조류 사멸 처리)

  • Soh, Dea-Wha;Bai, Mingdong;Bai, Xiyao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5
    • /
    • pp.9-13
    • /
    • 2006
  • 자유수산기는 단분자 제조공정으로 분자, 원자 층에서 가공되어 기타 활성입자와 함께 얻어지며, 20% 이상의 고 밀도 질량 비는 양산공정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자유수산기가 선박안정수의 외래침입 생물과 적조처리 및 양식수체 정화에도 효과적인 새로운 처리기술로 선박 안정수에 포함되어 타 지역으로부터 옮겨지는 외래침입생물 처리 방안의 하나로, 강 전리방전 기술을 적용하여 고 밀집 산소와 물분자로부터 고농도 수사자유기(OH: hydroxyl radical)를 전리, 발생시켜서 활성입자를 신속히 확산시켜 비교적 낮은 수산기농도 하에서 유해성침입생물을 사멸 처리하는 환경 친화적 녹색 청정처리방법을 제안하였다.

Coastal Sea Red-tide Prevention and Killing Treatment of Seaweed and Algae (연안해역의 적조방제와 해조류 사멸 처리)

  • 소대화;백민동;백희요;선우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4.05b
    • /
    • pp.285-288
    • /
    • 2004
  • 자유수산기는 단분자 제조공정으로 분자, 원자 충에서 가공되어 기타 활성입자와 함께 얻어지며, 20% 이상의 고 밀도 질량비는 양산공정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자유수산기가 선박안정수의 외래침입생물과 적조처리 및 양식수체 정화에도 효과적인 새로운 처리기술로 선박 안정수에 포함되어 타 지역으로부터 옮겨지는 외래침입생물 처리 방안의 하나로, 강 전리방전 기술을 적용하여 고 밀집산소와 물분자로부터 고농도 수산자유기(OH: hydroxyl radical)를 전리, 발생시켜서 활성입자를 신속히 확산시켜 비교적 낮은 수산기농도 하에서 유해성침입생물을 사멸 처리하는 환경 친화적 녹색 청정처리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