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모니터링시스템

Search Result 10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Bio-Monitoring System Using Shell Valve Movements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 Detecting Abnormal Shell Valve Movements Under Low Salinity Using a Hall Element Sensor (굴(Crassostrea gigas)의 패각운동을 이용한 생물모니터링시스템 연구 -I. 홀 소자를 이용한 저염분하에서 비정상적인 패각운동 측정)

  • Oh, Seok Jin;Lee, Jun-Ho;Kim, Seok-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6 no.2
    • /
    • pp.138-142
    • /
    • 2013
  • As an early warning system to reduce the damage of aquacultured mollusks due to low salinity water,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 biomonitoring system measuring the shell valve movement (SVM)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by using the Hall element sensor. In high salinity water of 27 psu, SVMs of Pacific oyster showed spikes which mean a relatively fast closing condition after opened condition of average 10-15 mm, and then the SVM showed back to opening condition slower than closing speed. In water salinity of 20-27 psu, the SVMs were similar to that of 27 psu. However, below 17 psu, it showed abnormal valve movements such as spending more time for shell closure. In 10 psu, we could not detected SVMs due to closed condition during experiment periods. Thus, if we quickly detect abnormal environmental variations like low salinity using bio-monitoring of SVM, it may be contribute to increased productivity by dramatically reducing damages in aquaculture.

Flow Injection Analysis for On-line Monitoring of Trehalose in Fermentation Processes (발효공정에서 트레할로스의 온라인 모니터링을 위한 흐름주입분석)

  • Han, Kyung-Ah;Rhee, Jong-Il
    • KSBB Journal
    • /
    • v.22 no.2
    • /
    • pp.84-90
    • /
    • 2007
  • Trehalose is non-reducing disaccharide which is found in bacteria, fungi, plants and insects. Trehalose has been determined by several analysis methods. To monitor the concentrations of trehalose in a process, enzymatic methods have more advantage over others, e.g. more specific. In this work, trehalase was immobilized on VA-epoxy polymer and applied to FIA systems. The behaviours of these FIA systems were characterized and used to monitor the trehalose concentrations. Use of optical detection technique was chosen for trehalose-FIA system. On-line monitoring data and off-line data were measured by HPLC.

A Web-based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Photobioreactor (웹-기반 실시간 광생물 반응기 모니터링 시스템)

  • Sung, Won-Ki;Kim, Sung-Soo;Lee, Je-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9
    • /
    • pp.4341-4348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a web-based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a photobioreactor using an WiFi wireless network. An WiFi interface can support high speed data transfer, up to 11Mbps and it can be compatible with commercial wireless LAN environment. Thus, the proposed cell culture based on WiFi network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reconfigurable system and real-time monitoring system. In this paper, we integrate the commercial WiFi module to the various bio-sensors and sensor control board to configure the wireless network. After we evaluate application S/W for monitoring the environment within incubator, we verify the proposed sensor networks for a cell culture system and its monitoring system. This result can be applicable for various bio-applications that require the network configuration and real-time monitoring system.

Development of In-Situ Monitoring System for measuring soil gas (토양가스 측정을 위한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Yu, Chan;Lee, Jong-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0a
    • /
    • pp.410-416
    • /
    • 2005
  • 생물학적 통풍법은 유류오염 지역에 자주 적용되는 정화공법이다. 이 과정은 지중에 산소를 충분히 공급함으로서 토착 미생물에 의한 오염성분의 분해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 공법의 적용시 공정진행에 따른 공법의 효율성 분석과 장기적인 정화효율 예측을 위한 지중 가스성분의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그 적용사례가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토양가스 성분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한 사례를 시스템의 구성과 측정방법, 관측결과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현장적용 결과는 토양가스 모니터링 시스템은 운용 시작 후 6개월동안 센서나 측정장비에서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으며, 공정관리를 위한 공법효율성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CMOS Image Monitoring System for Measurement of Biosensor Activity using Genetic Algorithm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활동량 측정 CMOS 이미지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Park, Se-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5
    • /
    • pp.930-936
    • /
    • 2008
  • CMOS image monitoring system for optimal measuring the activity of biosensor is developed using genetic algorithm. Most of living organism in water as water flea, fish, etc are frequently used as biological sensor for monitoring the water quality. It is very difficult to measure the activity of biosensor by image sensor because the value of measurement is varied with gathering method of biosensor images. The suggested monitoring system can optimally measures the activity of biosensor by genetic algorithm. The system is implemented with FPGA into the small hardware which is excellent in terms of the price and performance.

Ecotoxicological Biomonitoring at Different Levels of Biological Organization and Its Application in Chironomus spp. (다단계 생체지표를 이용한 생태독성 모니터링과 Chironomus spp.에의 적용)

  • Choi Jinhee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0 no.1
    • /
    • pp.1-11
    • /
    • 2005
  • 환경오염의 조기 경보 시스템으로 생체지표를 이용한 생태독성 모니터링이 최근 널리 연구되고 있다. 환경내의 생물종에서 측정한 생체지표를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은 생태계 수준의 영향에 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생체지표와 개체군 수준에서의 반응과의 인과관계가 밝혀져야 한다. 오염물질에 대한 생체의 반응은 분자, 세포, 생화학, 생리적, 개체, 개체군, 군집 수준에서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각 단계별 반응은 반응 시간의 규모와 독성학적, 생태적 관련성에 따라 구분 지어 볼 수 있다. 각 개별 수준에서의 반응을 종합하면 오염물질에 노출된 생체의 전제적인 영향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체군에서 나타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생체지표와 개체군 수준의 반응과의 인과관계 정립은 효율적인 환경오염 예방기능 수행에 필수적인 과정이며, 다단계 생체 지표는 각 단계별 반응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 가장 적절한 접근 방법이다. 수서 무척추 생물인 Chironomus의 유충은 이러한 다단계 바이오마커 연구에 매우 적절한 생물학적 모델이다. 이 논문의 첫 번째 부분은 생체지표를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을, 두 번째 부분은 Chironomus의 유충에서 생체지표의 적용에 대해서 다룬다.

A Web-based Monitoring of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and Data Analysis of Smart Farm Facilities (스마트팜 전기 사용에 대한 웹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및 전력사용량 분석)

  • Lee, Mu Yeol;Sim, Sojeong;Kim, Eun-jeong;Han, Young-Soo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31 no.4
    • /
    • pp.366-375
    • /
    • 2022
  • The monitoring of electricity consumption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technology to reduce operation costs of smart farms.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apply a real-time electrical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the e-Gauge system) and utilization of the collected data real-time while a melon-producing smart farm is in operation. For this purpose, the electrical consumption data for the individual smart-farm facilities such as boilers, nutrient distribution systems, automatic controllers, circulation fans, boiler controllers, and other IoT-related utilities were collected during three months of melon cultivation period. By using the monitoring results, the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pattern was analyzed as an example, and necessary considerations needed to optimally utilize the measurement data were suggested. This paper will be useful in lowering the technological implementation barriers for new researchers to build a electrical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and reducing trial and errors in the usage of the generated data.

A Study on the Remote Control of Photovoltaic/Solar Heating System according to Seasonal and Regional (계절 및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태양광발전 태양열시스템의 원격제어에 관한 연구)

  • Yoon H.S.;Kang B.B.;Lim J.Y.;Yoon P.H.;Cha I.S.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3.07b
    • /
    • pp.938-941
    • /
    • 2003
  • 본 시스템은 나주 생물자원산업화센터에 설치된 태양광 및 태양열 시스템에 대한 운전결과특성으로써 특용작물배양의 전원 및 온수공급을 위한 것이다 태양광발전은 10kWP이고, 태양열시스템은 500l 로 구성되어 있다.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인버터는 10kW급 계통연계형으로써 상용전원과 연계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태양열시스템은 생물자원산업화센터의 실험용 급탕으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발전과 태양열시스템이 설치된 생물자원산업화센터에 상주 근무인원을 대체하기 위해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모니터링에 의해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그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 PDF

Bio-monitoring System using Shell Valve Movements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Detecting Abnormal Shell Valve Movements Under Hypoxia Water using Hall Element Sensor) (참굴(Crassostrea gigas)의 패각운동을 이용한 생물모니터링 시스템 연구 (빈산소에서 홀 소자를 이용한 패각운동 측정))

  • Jeon, Jin-Young;Moon, Su-Yeon;Oh, Seok Jin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 /
    • v.1 no.1
    • /
    • pp.25-30
    • /
    • 2016
  •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 bio-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hypoxic water in coastal area using shell valve movements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which showed most aquaculture production in Korea, with Hall element sensor. In filtrating water to confirm shell valve movement (SVM) under normal condition, it showed spikes which mean a relatively fast closing condition after opened condition of average 5~12 mm, and then the SVM showed back to opening condition slower than closing speed SVM numbers during light period were similar to that of dark period (p<0.05). When dissolved oxygen (DO) concentration was reduced from 7 mg l-1 to 3 mg l-1, SVM numbers were increasing with decreasing of DO, and showed abnormality SVMs as compare with normal condition. Moreover, in the condition of 2 mg l-1, Distance between light and left shell showed gradually decreased, and then we could not detected SVMs due to closed condition. Thus, if we quickly detect abnormal environmental variations as hypoxia water using bio-monitoring of SVM, it may be contribute to increased productivity by dramatically reducing damages in aquaculture.

Satellite-Based Vegetation Drought Response Index in Korea (VegDRI-Korea) for Drought Monitoring (한반도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위성영상기반 식생가뭄반응지수 (VegDRI)의 활용)

  • Nam, Won-Ho;Tadesse, Tsegaye;Wardlow, Brian D.;Hong, Eun-Mi;Pachepsky, Yakov 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82-382
    • /
    • 2017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가뭄 재해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의 경우 가뭄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관 기간에서 가뭄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가뭄지수를 공간지도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기상청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등에서 기상/수문/농업관련 가뭄지수의 위험지도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각 지표별로 수문기상학적 특징과 용수공급시설 및 수요공급의 이수상황 등을 고려하여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제공되고 있는 가뭄지수의 공간분포는 지점 자료를 기반으로 내삽기법 (interpolation)을 통해 재 산정된 지도로 공간 해상도 측면에서 조악한 해상도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 공간적으로 특성이 동일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한 가뭄모니터링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식생 정보 및 기후 정보 생물물리학적 정보를 활용한 식생가뭄반응지수 (Vegetation Drought Response Index in Korea VegDRI-Korea)를 제시하고 국내의 적용성 검증을 위하여 국내 주요 가뭄 사상을 대상으로 시공간적 가뭄상황을 분석하였다. 식생가뭄반응지수는 유역단위 또는 행정구역 단위별로 실시간 가뭄 상황을 분석할 수 있는 고해상도 위성영상 기반의 가뭄지수로써 향후 한반도 전역의 가뭄모니터링 및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가뭄예상지역 판단에 대한 의사결정지원에 활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