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리학적 지표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7초

CIDP와 CMT 1형의 전기생리학적 특성에 대한 정량 분석: 감각신경연구 (Quantitative Analysis of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IDP and CMT Type 1: Sensory Nerve Research)

  • 강지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51-157
    • /
    • 2021
  • 선천성 유전질환인 CMT와 후천성 면역 매개 질환인 CIDP는 임상적 증상이 유사하므로 두 질환의 감별진단을 위해서는 말초신경의 전기생리학적 특징을 비교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CIDP와 CMT 1형으로 확진된 환자의 신경전도검사 결과 중 감각신경전도검사의 주요 지표별 결과를 후향적으로 정량분석하여 두 질환군의 전기생리학적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CIDP (N=35)와 CMT1 (N=30)로 확진된 환자의 dCNAP와 SNCV를 이용하여 두 질환군의 중증도 분석, 유의성 검정, 비정상 범위별 비율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 차이를 기반으로 특징을 비교하였다. 두 질환 모두 전신성 말초신경다발신경병증의 특징이 관찰되었고, 장딴지신경의 손상이 가장 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MT1군은 탈수초성 및 축삭성 신경병증을 동반하는 전신성 신경병증이고, CIDP보다 더 중증의 신경병증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관계수 및 산점도 분석에서 CMT1은 신경 손상 범위가 전체 신경에서 균등한 전기생리학적 특징이 관찰되었다. 감각신경전도검사의 결과를 기반으로한 본 연구결과가 CIDP와 CMT 1형의 감별진단 및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 내 에너지 수준 및 비테인 첨가 급여가 고온기 육성돈의 영양소 소화율 및 생리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Energy and Levels of Betaine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Growing Pigs with Heat Stress)

  • 민예진;정용대;김두완;이수협;김기현;유동조;김영화
    • 동물자원연구
    • /
    • 제28권2호
    • /
    • pp.56-63
    • /
    • 2017
  • 본 연구는 고온기 때 사료 내 다른 에너지 수준 및 비테인 첨가 급여가 육성돈의 영양소 소화율 및 생리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삼원교잡종($L{\times}Y{\times}D$; initial body weight, $73.5{\pm}0.5kg$) 거세 수퇘지 12두를 사용하였고 대사틀에 배치하였다. 실험기간은 고온기인 7~8월에 실시하였다. 실험계획은 에너지 2수준(3,300 및 3,400kcal/kg)과 비테인 2수준(0 및 0.5%)이며 $4{\times}4$ Latin square로 하였다. 조단백질 소화율은 고에너지 사료(3,400kcal/kg)가 저에너지 사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그러나, 비테인급여는 영양소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생화학적 분석 결과에서는 에너지 수준 및 비테인 첨가가 육성돈 내 생리적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혈중 IgG에서는 고에너지 사료가 저에너지사료보다 높았으나(p<0.05) 스트레스 지표를 나타내는 cortisol농도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고, 비테인 첨가급여는 IgG 및 cortisol 농도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료 내 비테인 첨가급여보다 에너지 수준을 높이는 것이 돼지 체내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며, 여름철 고온스트레스를 받는 돼지 사료 내 고에너지를 급여했을 때 어떠한 결과가 나오는지 추후 더 연구해 볼 만한 것으로 사료된다.

클로렐라의 항 피로 효과 연구 (Antifatigue Effect of Chlorella vulgaris in Mice)

  • 안효진;서상완;심경식;김정숙;김은희;이미옥;박형석;한재갑;이은희;엄재영;홍승헌;김형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9-175
    • /
    • 2006
  • 단세포 조류 생물인 Chlorella vulgaris(클로렐라)는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가진 기능성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제 수영 부하 실험과 혈액 생화학적 지표에 대한 클로렐라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혈액 생화학적 지표로는 Blood urea nitrogen(BUN), creatine kinase(CK), lactic dehydrogenase(LDH), glucose(Glc), total protein(TP), albumin을 혈액 생화학적 지표로 측정하였다. 매일 0.05, 0.1, 0.15 g/kg 농도의 클로렐라를 각각 실험 군별로 마우스에 구강 투여했다. 클로렐라를 투여한지 3일, 7일째 되는 날 강제 수영 부하 실험을 시행한 결과 0.15 g/kg 클로렐라를 투여한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부동시간을 감소시켰다. 또한 혈청 중 BUN 수치를 낮췄으며, CK, LDH 수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클로렐라 투여 시 혈 중 Glc 수치는 높아졌으나, TP 와 albumin 수치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클로렐라가 육체적 지구력 향상 효과가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HRCT Emphysema Scoring과 운동부하 폐기능검사 지표들 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HRCT Emphysema Score and Exercise Pulmonary Testing Parameters)

  • 최은경;최영희;김도형;김용호;윤세영;박재석;김건열;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4호
    • /
    • pp.415-425
    • /
    • 2001
  • 배 경 : 폐기종의 중증도 판정에 있어서 병리학적 기준은 기강(air space)의 확장 정도에 있으며, 이는 고해상도 전산화 촬영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에 의해 결정되는 폐기종 점수(emphysema scoring)와 좋은 상관성을 보인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폐기종의 주증상은 운동성 호흡곤란이므로 폐기종에 대한 임상적 평가는 운동능력의 감소를 측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폐기종의 중증도 판정은 안정시 폐기능 검사에 의존하는 경우가 흔하며, 병리학적 중증도 판정과 상관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고해상도 전산화 촬영에 의한 폐기종 점수와 운동부하 폐기능검사 지표들과의 상관성 여부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기종의 중증도 판정에 있어서 HRCT와 안정시 폐기능 검사 및 운동부하 폐기능 검사간에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여 보았다. 방 법 : 평균 연령 $60.6{\pm}10.3$세인 14명의 폐기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HRCT, 안정시 폐기능 검사(forced expiratory flow volume curve, lung volumes by He dilution method, DLco, ABGA), 그리고 점진적운동부하폐 기능검사(incremental cycle ergometer)를 시행하였으며 HRCT는 GE highlight를 이용하여 조영증강 없이 최대흡기시에 1.5mm collimation, 10mm 간격으로 폐전체를 스캔하였고, 환자마다 모든 스캔에서 density mask를 이용하여 -400 HU를 기준으로 한 총폐면적과 -900 HU를 기준으로 한 폐기종 면적을 각각 구하여 백분율로 환산하여 폐기종 점수를 구하였다. 결 과 : 평균 폐기종 점수는 $37.4{\pm}14.9%$ 이었다. 폐기종 점수와 안정시 폐기능 검사의 DLco(r=-0.75)와 $PaO_2$(r=-0.66) 사이에서만 유의한(p<0.05)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반면 폐기종 점수와 운동부하폐기능 지표들간의 상관성은 최대 산소섭취량(r=-0.68), 혐기성 역치(V-slope method, r=-0.690), 최대운동부하(r=-0.74), 최대운동시 $O_2$ pulse(r=-0.73), 최대운동시의 생리적 사강비율 (r=0.80) 등과 높은 유의성 (p<0.01)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호흡예비율과 심박수 예비율간에서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고, pulse oxymeter로 측정한 산소포화도와의 상관성도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에서 폐기종의 병리학적 중증도를 잘반영한다고 알려진 HRCT 폐기종 접수는 폐기종에 의한 생리학적 장애를 잘 반영하는 운동부하 폐기능 검사의 주요 지표들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Review: NanoFermentation을 이용한 자철석 합성연구 (Review: Magnetite Synthesis using NanoFermentation)

  • 문지원;노열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2호
    • /
    • pp.195-204
    • /
    • 2012
  • 미생물에 의한 광물합성은 지화학적 순환 및 미생물의 독성에 대한 저항기작을 위해 주로 연구되어져 왔으나 본 논문에서는 NanoFermentation을 통한 경제적, 친환경적, 저에너지, 대량생산이 가능한 나노입자 크기의 자철석 합성연구를 소개하고 또한 초상자성(Superparamagnetism)과 준강자성(Ferrimagnetism)을 결정짓는 입자크기에 대한 조절인자를 살펴보고자 한다. NanoFermentation을 통한 자철석의 합성 시 입자 크기의 조절 인자는 선택된 미생물 종 및 배양 온도, 배양액의 화학적 조성, 배양기간, 치환된 원소의 조성 및 함량, 자철석 전조물질(Precursor)의 형태, 반응 부피의 증가 및 자철석 전조물질의 농도와 같은 조건들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어지며 주로 핵형성 및 결정 성장의 균형에 의해 조절된다. 생광물화 작용을 통한 무기재료의 합성 연구는 앞서 언급한 지표에서의 원소의 순환 및 미생물 생리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최종 산물인 나노입자의 대량 생산을 통해 재료학적 응용 분야에도 많은 파급 효과가 예상된다.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비특이적 면역반응에 대한 생약재 투여 효과 (Effect of Dietary Herb Medical Stuff on the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황미혜;박수일;김이청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5
    • /
    • 1999
  • 연구는 어류에 각종 생약재를 투여하였을 때 나타나는 방어 능력의 변화와 질병에 대한 예방 효과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의 내용은 인삼(Panax ginseng), 구기자(Lycium chinense),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의 첨가 사료를 나일틸라피아에 일정 기간 투여한 후 실험어의 성장, 비특이적 방어 능력 및 생리학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실험에 사용한 각종 생약재 중에서 체중의 증가는 구기자 3% 투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체의 살균 능력은 모든 실험구에서 살균력이 12주째에 증강되었고 보체의 용혈 능력도 모든 생약재 투여구에서 대조구 보다 높고 특히 인삼 2% 투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라이소자임의 용균능력과 신장의 부착 식세포 활성 산소 생성 능력은 구기자 3% 투여구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나일틸라피아에 병원성을 지닌 Edwardsiella tarda 균주로 공격 실험한 결과 구기자 3% 투여구가 생존율이 85%로 가상 높았다. Hematocrit, hemoglobin, total protein, glucose, GOT, GPT와 같은 혈액의 생리학적 지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생약재를 첨가한 사료를 먹인 실험어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으며 생리적 기능 면에서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인삼, 구기자, 하수오, 오미자 등과 같은 생약재는 그 종류에 따라 나일틸라피아의 성장률, 각종 비특이적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능력과 병원성 세균에 대한 저항력의 증강 효과에 차이가 있지만 장기간 투여하여도 생리 기능에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실험에 사용한 각종 생약재 중에서 구기자는 가장 경제적이며, 각종 면역 기능 증강 효과가 뛰어나므로 새로운 사료내 첨가물로서의 충분한 가치가 있으며, 양식 어가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뇨중 대사체 정량에 의한 capsaicinoid의 생화학적 섭취지표 개발 연구 (Capsaicin Intake Estimated by Urinary Metabolites as Biomarkers)

  • 추연수;권훈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84-788
    • /
    • 2001
  • 최근 고추섭취량과 위암과의 양의상관도를 보이는 역학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이런 자료를 신뢰하기 위해서는 향신료로 쓰이는 고추의 섭취량이 정확히 측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고추의 매운맛 성분 capsaicin의 인체대사산물을 확인하고 이를 응용하여 생리학적으로 의미있는 섭취량을 측정하려는 취지에서 실험을 계획하였다. 먼저 동물실험에서 관찰된 capsaicin의 대사체들을 소변에서 HPLC로 동시에 검출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이들 대사체의 신속한 검색을 위해, 이전부터 사용하던 유기용매 추출을 지양하고 효소 glucuronidase 처리한 소변희석액을 바로 HPLC에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20대의 젊은 여성 5-6명을 대상으로, 이틀 간의 capsaicin 고갈식이 이후 capsaicin이 포함되지 않은 식사시 capsacin의 제공원으로서 고추장을 섭취하게 하였다. 60g씩 사홀 고추장을 섭취한 실험시 여섯명의 참가자 중 네명에게서 섭취를 시작한지 3일 째 4-hydroxy-3-methoxybenzoic acid가, 한 명에게서 3일 째 capsaicin이 검출되었다. 80g씩 나흘을 섭취한 2차 실험시는 세 명의 피실험자에게서 4-hydroxy-3-methoxybenzoic acid가 나흘째 소변에서 검출되었다. 2차 실험에서 나흘째 검출된 4-hydroxy-3-methoxybenzoic acid의 총량은 실험기간 중 섭취한 capsaicinoids 총량의 85% 이상이었다. 따라서 쥐 등을 이용한 capsaicinoid 대사 실험에서는 4-hydroxy-3-methoxybenyl alcohol이 주대사물질이었으나 인체에서는 그와 달리 4-hydroxy-3-methoxybenzoic acid가 주대사산물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1, 2차 실험식이를 충실히 따른 두명의 소변에서는 4-hydroxy-3-methoxybenzoic acid를 포함한 어떤 대사체도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개인간의 흡수 대사 차이가 크게 기여한다고 추정되며 생리적으로 의미 있는 capsaicin 섭취의 지표 물질은 인체를 대상으로 처음 얻어진 이 결과에 기반으로 한 계속 실험을 통해 선정되리라 기대한다.

  • PDF

한국 성인남성에서 Lipid Accumulation Product 지수와 Alanine Aminotransferase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Lipid Accumulation Product Index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in Korean Adult Men)

  • 신경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74-381
    • /
    • 2017
  • LAP 지수는 공복시 중성지방 농도와 허리둘레의 조합으로 과도한 지방축적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이 연구는 LAP 지수와 ALT간의 관련성과 LAP 지수가 AL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보고자 간질환의 병력이 없는 건강한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횡단면 연구를 실시하였다. 2015년 1월부터 2017년 6월까지 경기지역 종합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한 20세 이상 70세 이하의 성인 남성 13,854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LAP 지수는 남성의 경우 [허리둘레(cm)-65]${\times}$[중성지방(mmol/L)]으로 산출하였으며, 혈청 ALT 농도의 이상치는 남성 40 IU/L 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인체측정학적 지표와 생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LAP 분위수가 증가할수록 ALT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01). LAP 지수는 ALT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238, p<0.001), 특히 인슐린(r=0.449, p<0.001) 및 HDL-콜레스테롤(r=-0.369, p<0.001)과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LAP 지수는 ALT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p<0.001), LAP 지수가 높을수록 ALT가 상승할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p<0.001). 결론적으로 LAP 지수는 한국 성인남성에서 ALT 상승을 예측하는 지표로 나타났다.

애기장대 칼슘수송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현미의 생쥐 식이를 통한 안전성 평가 (Safety Test of Brown Rice Expressing Arabidopsis Calcium Transporter by Feeding Trial in Mice)

  • 김경민;김창길;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390-1394
    • /
    • 2008
  • 선행연구에서 Arabidopsis thaliana $Ca^{2+}/H^+$ 역수송체 유전자인 CAX 1 ($\underline{ca}tion$ $e{\underline{x}}changer$ 1)이 도입된 벼 형질전환체의 $T_3$ 종자는 대조구에 비해 $2.7{\sim}7.5$배 정도 높은 칼슘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이 $T_3$ 종자 유래 현미의 생리학적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해, 일품현미를 대조구로 하여 생쥐 식이 실험을 수행하고 체중 및 말초 백혈구 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 개월 동안의 식이의 결과, $T_3$ 현미의 경우는 체중의 변화량 혹은 말초 백혈구의 수에 있어서 대조구인 일품현미의 경우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체액성 면역능의 지표인 플라크-형성능, 복강 대식세포의 수, 그리고 NK 세포의 활성도 등을 비롯한 면역기능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아울러 혈액의 생화학적 분석조사에서도 두 실험군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GMO 벼 유래의 $T_3$ 현미가 생리학적으로 안전하며 또한 칼슘함량이 강화된 동물사료 혹은 식품으로 적용될 수 있는 잠재능이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장기적 안전성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좀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활성오니에서 발견된 사상세균, 원생동물 및 후생동물의 유형과 우점도 분석 (Types and Abundance of Filamentous Bacteria, Protozoa and Metazoa in Activated Sludge)

  • 정재춘;김남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5-371
    • /
    • 1995
  • 슬러지 팽화의 원인이 되며 활성오니 공정운영상의 지표생물이 되는 사상세균과 원생동물을 동정하기 위하여 도시하수 활성오니 처리장 6개소와 산업폐수활성오니 처리장 5개소의 폭기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현미경 경검법과 일부 생리학적 방법을 써서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가장 많이 출현하였던 사상세균은 Microthrix parvicella이었으며 다음이 type 0041, type 1701, Nocardia의 순이었다. 비록 시료수는 적었지만 이러한 출현빈도는 미국과 네덜란드에서 조사된 것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사상세균의 형태는 이전의 문헌에서 보고된 것과 대체로 일치하였는데 type 1701의 경우에는 전형적인 형태에 비해 사상체(filament)의 직경이 약간 가늘었다. 이러한 사상세균들은 낮은 유기물부하 또는 낮은 DO와 관계가 있는 것들이었으므로 더 많은 조사가 이루어지면 지표생물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원생동물에 있어서는 Voricella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이 Aspidisca, Opercularia, Diffugia의 순이었다. 후생동물에 있어서는 Philodina가 유일하게 출현한 속이었다. 이러한 속들은 활성오니성 미생물로서 처리상황이 좋을때 우점적으로 나타나는 미생물이라고 알려져 있으므로 처리수의 수질과 관련하여 유추해 볼때 상당한 타당성이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