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리적 영역

Search Result 23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valuation of Arousal Level Evoked by IAPS (IAPS 사진 자극에 유발된 긴장도 감성 변화의 평가)

  • 전광진;정순철;민병찬;정은지;성은정;강인형;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34-137
    • /
    • 2001
  • 본 연구는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 사진의 시각 자극을 통해 유발된 감성 변화를 심리ㆍ생리적으로 측정하여 긴장도의 감성 변화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미리 선정된 9개의 사진을 30초씩 제시하면서 ECG, GSR, Skin Temperature, Respiration 등의 생리 신호를 측정하였고, 자극 제시 후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주관적 평가 분석 결과 9개의 사진 중 5종류의 사진에 대한 감성 구분의 가능성이 보였으며, 긴장축으로 긴장 > 불쾌긴장, 쾌긴장 > 중립 > 이완 순서의 4단계로 긴장도가 구분되었다. 자율신경계 반응 또한 긴장영역의 감성을 구분할 수 있었는데, 긴장축으로 긴장, 불쾌긴장, 쾌긴장 > 중립 > 이완 순서의 3단계로 긴장도가 구분되었다. 따라서 각 사진이 유발한 긴장의 감성영역을 주관적 평가를 바탕으로 생리적 반응 분석을 통하여 변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sychophysiological Effects of Navigation in a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에서의 운행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생리학적 연구)

  • 김영윤;김현주;정명숙;이영혁;문성재;진창배;고희동;박병관;박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42-24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에서 simulator factor [FOV (field of view)와 운행속도, frame rate의 fluctuation]를 변화시키면서 사용자들의 시지각 과제수행도, 생리신호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가상현실 경험 전·후에 실시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심리적 영향도 알아보았다. 1) 가상현실 운행시 눈깜박임이감소하고 Pz, O1, O2 영역의 알파파가 줄어들며 텔타파가 늘어나는 생리적 변화가 나타났다. 2) 특히 가상현실에서 멀미를 보고했을때 심박률, 피부전도도가 증가하고 피부온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멀미 보고시 나타난 변화는 교감신경계의 활동성이 증가하는 방향과 일치하였다. 3) 빠른 운행속도가 느린 운행속도보다 높은 말초혈류량 최대-최소차이값을 나타냈고, 넓은 FOV가 좁은 FOV보다 높은 심박률을 나타냈다. 좁은 화면 보다 넓은 화면 조건에서 Cz, Pz 영역의 알파파는 더 낮게 나타났고 텔타파는 더 높게 나타났다. frame rate의 fluctuation이 없을 때에 비해 있을때 더 높은 피부전도도를 보여주었다. 4) 가상현실 평가설문지 분석결과 신체적 불편감은 좁은 FOV·느린 운행속도 조건에서 가장 적은 불편감을 나타냈다. 과제수행 곤란도는 느린 운행속도에서 가장 적게 나타났고 과제수행 적중률은 느린 운행속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리신호, 과제수행 적중률, 설문지 분석결과는 좁은 FOV·느린 운행속도의 가상환경이 가장 멀미에 덜 민감하고 과제수행하기에 가장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s of Guided Imagery Activities Using Music on Mood State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Psychiatric Inpatients (음악을 사용한 지시적 심상이 입원 정신질환자의 기분상태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Cho, Hyun-joo;Moon, Ji-young
    • 재활복지
    • /
    • v.20 no.1
    • /
    • pp.113-13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uided imagery activities using music on both mood state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psychiatric in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sisted of 27 psychiatric patients participating in the guided imagery activities using music for 11 minutes. Also, the control group was formed with 27 psychiatric patients with non-musical intervention. Mood states, blood pressure, pulse and skin temperature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session. We could see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five areas-tension, depression, anger, vigor, fatigue-showed most differences in score. Also, the score of skin temperature of both experimental group and between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oo.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se results were showing that guided imagery activities using music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method for altering mood state of psychiatric patients. Besides, it seemed to have physiological impact to make patients relax tension backed up by change of skin temperature.

Nursing Interventions In Korea (한국의 간호사들이 행하는 간호중재)

  • Yom, Young-He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
    • v.4 no.1
    • /
    • pp.33-71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간호사들이 행하는 간호중재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한국의 2 병원에서 일하는 수 간호사와 평 간호사를 포함한 443면의 간호사이며, 연구도구는 Iowa Intervention Project Team 이 개발한 336 문항의 5점 척도로 이루어진 "간호중재"설문지를 사용하였다. 5점 척도는 다음과 같다 : (a) 거의 행하지 않는다 : (b) 거의 한달에 한번 행한다 : (c) 거의 일주일에 한 번 행한다 : (d) 거의 하루에 한 번 행한다 : (e) 하루에 여러 번 행한다. 한국자료를 위해 설문지는 본 연구자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었고, Back-translation을 이용하여 한글로 번역한 설문지는 다시 bilingual nurse에 의해 영어로 옮겨졌고, 마지막으로 영어로 옮겨진 설문지를 원래의 영문으로 된 설문지와 비교한 후에(Equivalence Test) 수정${\cdot}$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한국 간호사들은 336 간호중재 모두를 행하고 있으며, 21개의 간호중재가 적어도 하루에 한 번 정도는 이루어지고 있었다. 간호사들은 "생리적 : 복합영역"에 속하는 간호중재를 가장 빈번하게 행하였고, 이 중에서 "비경구적 투약"은 일주일에 거의 11번 정도로 가장 많이 행하여졌다. 가장 적게 행하는 간호중재는 "동물이용요법"이었다. 간호사들은 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임상경험이 많을수록 더 많은 간호중재를 빈번하게 행했다. 특히, 석사학위를 받은 간호사는 "행위 영역"에 속한 간호중재를 더 많이 행했는 데, 예를 들면 "적극적 경청", "적응 증진", "의사결정지지"등이다. 또한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간호사들은 "생리적 : 복합영역"에 속한 간호중재들을 전문대학을 졸업한 간호사보다 더 많이 행했는 데, 예를 들면, "뇌부종 관리", "반사 장애 관리", "기구를 사용한 호흡"등이다. 1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간호사들은 "행위 영역"에 속한 간호중재를 임상 경험이 1년 미만이거나 또는 1-5년 사이의 경험을 가진 간호사보다 더 많이 행했는 데, 예를 들면, "죄책감 극복 증진", "진실 말하기"등이다. 또한 6-10년 사이의 임상경험을 가진 간호사들은 "자가 간호영역"에 속한 "옷 입히기", "두발 간호", "구강건강 유지" 등을 임상경험이 1년 미만인 간호사들보다 더 빈번하게 행했다. 이 연구는 간호중재 규명이 간호원가 산출을 위한 연구와,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 간호지식 탐구를 위한 연구에 공헌할 것을 기대한다.

  • PDF

A Study Dental Hygien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Elderly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 Park, Jeong-Ran;Lee, Yeun-Kyou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9 no.3
    • /
    • pp.311-317
    • /
    • 2009
  • The study conducted research investigating their about knowledge and attitude of toward elderly aimed at 251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located in some areas of Gyeongbuk and Gyeongnam. The total average score concerning knowledge about the elderly was found to be 11.78 out of a full score of 25 points, and the level of physical and physiological knowledge was the highest. As regards the total average of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t posted at 98.58 points out of a full score of 150 points and the attitude regarding the aspect of welfare was the most positive. About toward elderly correlation of knowledge and attitude between higher knowledge score more positive was attitude about toward elderly. From the above results, it would be necessary to reinforce not only the physical and physiological aspect of the elderly but also the education in the family and social areas dur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in relation to the elderly. Furthermore, it is deemed imperativ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er generations and the elder generation by having students practice in institutions related to the elderly, such as institutions for senior nursing and senior welfare centers and to develop a generational community program that will provok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hem.

  • PDF

A study on the color adjustment and face detect algorithm for face diagnosis in Oriental (안면진단을 위한 색상 보정 및 안면 검출 알고리즘 연구)

  • Choi, Eun-Ji;Kim, Keun-Ho;Kim, Jong-Ye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995-1996
    • /
    • 2008
  • 한의학에서 안면은 인체 내부의 생리적, 병리적 변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망진을 통해 얻은 안면으로부터의 정보는 진단의 주요 요소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안면 진단의 편리함과 비침습적인 특성 및 결과의 효용성에도 불구하고 진단의 객관화, 표준화 문제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면 진단의 정량화, 과학화 연구의 일환으로서, 표준화 된 안면 영상을 획득하고 주변환경 및 광원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색상 보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보정된 영상을 이용하여 진단에 필요한 안면 영역을 추출하고 영역을 분할하여 각 분할된 안면 영역별 컬러 특징 및 변화 정도를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함께 제안하고 있다. 이는 자동화된 안면 진단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선행연구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안면 진단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PDF

Physiologic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in Older Adults (건강검진행사에 참여한 노인의 생리적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생활양식)

  • Kang, Hee Sun;Park, Yeon Hwan
    • 한국노년학
    • /
    • v.25 no.2
    • /
    • pp.95-108
    • /
    • 2005
  • 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the level of physiologic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its contributing factors of Korean older adults. A total of 209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at ran from July 2 to July 6, 2004 in the waiting area of the subways of Seoul. The average age of the respondents was 67 years old with 39.2% considering themselves as healthy, 71.3% stating they regularly exercised and 71.8% knowing their own blood pressure. Among the participants 44% were classified as having high or low blood pressure and 44.5% showing abnormal blood sugar. 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 was 2.75 and the order of its subcategories w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nutrition, stress management, spiritual growth,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 responsibilities. This score was altered by exercise and knowing personal blood press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for older adults to know their own blood pressure and to exercise regularly to promote good health. In addition, health promo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based on the influencing factors.

Development of Arousal Level Estimation Algorithm of Expert System for Sensibility Evaluation (감성 평가를 위한 전문가 시스템의 긴장도 평가 알고리즘 개발)

  • 정순철;민병찬;민병운;김소영;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86-89
    • /
    • 2002
  • 본 연구는 객관적인 생리 신호로부터 인간의 감성을 추론할 수 있는 감성 평가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측정된 생리 신호를 이용하여 인간의 긴장도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의 개발이 목표이다. 감성 평가에 관련된 애매함을 수리적으로 취급하기 위해 퍼지 이론을 적용하여 임의의 감성 영역에 속하는 정도를 소속 함수로 정량화 함으로써 감성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자 하였다 소속 함수의 결정은 상상을 통해 유발된 긴장/이완의 생리 신호 데이터 베이스 결과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 이상의 생리 신호 측정 결과와 각 생리 신호의 소속 함수로부터 하나의 최종 결과 (긴장도)를 유추하기 위해서 Dempster-Shafer 증거합 법칙을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최종적인 긴장도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cademic System of Science of Reading (독서과학의 학문적 체계에 관한 연구)

  • Byun, Woo-Yeoul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7 no.2
    • /
    • pp.27-50
    • /
    • 2016
  • This study is trying to propose an academic system of science of reading through analysing this area in United States as well as Japan and the it's curriculums of departments and majors of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in Korea. In the case of United States, it is divided into sociology, physiology, psychology and pedagogy of reading. Japan's research area of Science of Reading is divided into sociology, physiology, psychology and pedagogy of read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 However, Murofushi Takeshi(室伏武) divides this area into 5 categories of curriculum such as basic research field, reading material field, reading education method field, reading education management field, and adjacent fields to science of read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it's courses in Korea, it's areas are divided into sociology, psychology, pedagogy of reading, science of reading materials and adjacent fields to science of reading. Based on the above contents, a new academic system of science of reading can be divided into basics of science of reading, readers field, reading material field, reading professionals' education field, and adjacent fields to science of reading.

Emotions and EEG Features Evoked by Tactile Stimulation (직물촉각자극에 의해 유발된 정서와 EEG 특성)

  • 김지은;박연숙;오애령;최상섭;손진훈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153-160
    • /
    • 1998
  • 본 연구는 피부에 가해지는 직물촉각 자극에 따라 나타나는 정서와 관련된 뇌파특징을 알아보려는 기초연구이다. 실험l에서는 촉각에 의한 정서가 생리적인 측정치를 통해 구분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피험자에게 물리적 특성이 극단적으로 다른 자극을 선택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20명의 대학생 치험자 (20-25세)에게 자극이 무선적으로 제시되었고, 각 자극제시후 피험자는 제시자극에 대한 느낌을 주관적 정서척도로 평정하였다. 뇌파는 양쪽 귓볼(A1, A2)을 기준전극으로 하여 F3, F4, C3, C4, T4, P3, P4, O1, O2에서 측정되었고, 측정된 뇌파는 FFT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각 피험자의 주관적 평가 결과에 따라 가장 쾌한 자극과 가장 불쾌한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측정한 뇌파의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 영역에서 쾌자극 제시시에 alpha파가 유의미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후두엽 영역에서 불쾌자극 제시시 beta가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물리적 특성이 유사한 다섯 가지 직물자극을 가진 실험 ll에서와 유사한 절차에 다섯 가지 직물자극을 가진 실험 1에서와 유사한 절차에 의해 실험ll가 실시되었다. 실험l의 결과에 근거하여 측정 부위를 F3, F4, P3, P4, O1, O2로 축소되었다. 쾌자극 제시시의 뇌파는 불쾌자극 제시시보다 slow alpha(8-10Hz)파의 출현량이 많은 반면, slow beta(13-20Hz)파의 출현량은 적었다. 결론적으로 직물촉각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심리적 반응에 특정적인 뇌파반응이 존재하며, 이는 촉각에 의해 유발되는 주관적인 쾌.불쾌정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뇌파특징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