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 정보

Search Result 1,74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Indexing and Ranking Mathematical Equations Using Postfix Notation (후위 표기법을 사용한 수학식 색인 및 랭킹)

  • Lee, Sehee;Shin, Junsoo;Kim, Hark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160-164
    • /
    • 2009
  • 최근 인터넷 및 컴퓨터의 사용이 활발해짐에 따라 문서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런 변화에 따라 수학식이 많이 사용되는 과학, 공학, 수학 등의 분야와 관련된 문서들을 검색해야할 필요성이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일반 검색엔진은 텍스트 검색만을 제공하며 별도의 수학식 검색은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학식 검색이 가능하도록 수학식의 색인 방법 및 랭킹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색인 방법은 MathML로 입력되는 수학식을 후위 표기법과 일반 색인 방법의 두 가지로 색인하며, 언어모델을 사용하여 질의에 적합한 수학식을 랭킹한다. 일반 검색 엔진의 성능과 비교하기 위하여 2-포아송 모델과 제안 모델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 모델의 성능이 더 우수함을 보였다.

  • PDF

Color Information Based Psychology Analysis Using Decision Tree (의사 결정 트리를 이용한 색채 정보 기반 심리 분석)

  • Nam, Ji-Hyo;Lee, Min-Jung;Oh, Heung-Min;Kim, Kwang 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514-516
    • /
    • 2016
  • 사람은 개인마다 선호색이 다르다. 때문에 색채를 통해서 개인의 성향을 분석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난색은 밝고 따뜻한 색으로 활기와 적극성을 띄며 한색은 차갑고 냉정함, 차분함 등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색채가 가지는 의미는 개인의 환경, 성향, 성별, 연령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색채 선호는 일반적으로 개인이 색채에 대해 좋아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의 성향이나 상황, 경험 등에 의해 형성된 지극히 개인적인 색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색채 선호를 분석하는 심리 검사 CRR와 Flood Fill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림에 색채를 채워서 주조색과, 보조색을 각각 Decision Tree에 적용한다. Decision Tree의 결과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개인의 심리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Mobile Assistive Tool for People with Scotopic Sensitivity Syndrome (광과민성 증후군자를 위한 모바일 보조도구 개발)

  • Jung, Hun-Sung;Jang, You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383-385
    • /
    • 2013
  • 안드로이드의 최상위 윈도우를 활용하여 광과민성 증후군자를 위한 모바일용 가상 색 오버레이를 구현하였다. 필름 오버레이의 색도 정보와 투과율을 분광측색계로 측정하여 가상 색 오버레이에 적용할 색상 정보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Intuitive Overlays에서 표현하는 모든 색상을 구현하였다. 시험 결과 기존의 필름 오버레이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었다.

A Predictive Answer Indexing Method Using Local and Global Information (지역, 전역 정보를 이용한 정답 후보 색인 방법)

  • Kim, Hark-Soo;Kim, Kyung-Sun;Seo, Jung-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2.10e
    • /
    • pp.267-274
    • /
    • 2002
  • 본 논문은 2-패스에 걸쳐 지역, 전역 정보를 추출하고 이 정보들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정답 후보들을 색인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정답 후보 색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상 문서에 포함된 모든 정답 후보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지역 정보(한 문서 내에서 정답 후보와 주변 내용어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각 내용어에 점수를 부여한다. 다음으로 전역 정보(모든 문서를 대상으로 하여 정답 후보와 공기 (co-occurrence)하는 내용어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각 내용어에 이미 할당되어 있는 점수를 변경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베이스에 각 정답 후보와 점수가 부여된 내용어들을 역파일 형태로 저장한다. 이러한 색인 방법은 빠른 응답 시간과 비교적 높은 정확률을 필요로 하는 실용적 질의 응답 시스템에 적합하다.

  • PDF

An Indexing Model for Efficient Structure Information Retrieval (효율적인 구조 정보 검색을 위한 색인 모델)

  • 고혜경;조윤기;조정길;이병렬;구연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649-65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의 효율적인 관리와 구조검색을 위한 구조적 색인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방법은 특정 엘리먼트의 부모, 자식, 형제애 대한 다양한 구조검색을 효율적으로 지원하지 못하므로, XML 문서의 구조정보를 LETID(Labeled Element Type ID)로 표현하며 엘리먼트를 식별하고, 부모와 자식 엘리먼트간의 계층 정보와 동일한 부모 엘리먼트를 갖는 자식 엘리먼트들의 순서정보를 나타낸다. LETID는 고정된 크기로 하며, 엘리먼트에 고유 ID를 부여하는 방식을 통해서 DTD의 논리적 구조를 분석할 때 부모 형제 노드를 직접적으로 찾을 수 있고 ID 값에 깊이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고유번호만 보고 깊이를 알 수가 있다. 이 구조정보를 이용하여 빠른 검색을 위한 내용 색인 구조 색인 애트리뷰트 색인을 설계하고 설계된 색인을 통하여 질의를 처리하여 다양한 구조적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 PDF

Image Sensor Module for Detecting Spatial Color Temperature in Indoor Environment (실내 환경의 공간 색온도 검출을 위한 이미지센서 모듈)

  • Moon, Seong-Jae;Kim, Young-Woo;Lim, Yeong-Seo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1
    • /
    • pp.191-196
    • /
    • 2021
  •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n image sensor module possible of detecting color temperature in an indoor environment. The color temperature information in the video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sensor was matched with a color difference illuminometer to produce an LUT. An algorithm was developed so that color tempera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RGB values can be automatically calculat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lor temperature with an image sensor indoors, an accurate result of less than 5.91% was obtained compared to the reference value. It was confirmed that the uniformity of 23.5% or more was excellent compared to the color temperature measurement result using a color sensor.

Retrieval System Using Term Reweighting (용어 가중치 재 산정을 이용한 검색 시스템)

  • 황선욱;김혜정;손기준;이상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60-162
    • /
    • 2003
  • 색인 파일은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 중에 하나이다. 스테밍을 하여 색인 파일을 구성하게 되면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재현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하지만, 과도한 스테밍으로 구성이론. 색인 파일은 원형에 대한 데이터 손실을 가지고 오기 때문에 너무 많은 문서가 검색되어 사용자가 문서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정확률도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 검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색인 파일을 스테밍 한 것과 스테밍 하지 않은 파일로 구성하였다. 스테밍 한 색인 파일은 질의어와 문서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스테밍 하지 않은 파일은 스테밍 했을 때 검색된 문서들 중에서 데이터 손실로 인한 잘 못된 문서 순서를 재조정해 주기 위하여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검색 효과를 제공하는 기존의 벡터 공간 모델을 검색 성능 평가 척도 중의 하나인 R-정확률을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이 문서 상위 100위까지에 대하여 일반 벡터 모델 보다 최고 21%의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

A Comparison of Color Contrast Evaluation Algorithms Considering Color Readability of Web Documents (웹 문서의 가독성을 고려한 색 대비 평가 알고리즘 비교)

  • Choi Hoon-Il;Hong Sung-Woong;Yon Che-Yong;Park Chan-Khon;Jang You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737-74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웹 접근성 평가를 위하여 기존의 문서의 배경색과 문자 색 사이의 색 대조 정의에 대한 알고리즘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현재까지 나와 있는 색 조합에 대한 색 대비의 정량적 정의는 가독성 측면에서 불완전하며, 사용자에 대한 시험 평가에서도 무시하지 못할 불일치를 드러내고 있다. W3C에서 색 대비 평가 방식으로 추천하는 토론토 대학의 웹 접근성 평가 수정도구인 A-prompt에서 사용하는 알고리즘과 미국 토양조사센터의 토양지도 작성을 위한 색 대비 평가 알고리즘을 비교 대상으로 하여 216개의 웹 안전 색의 조합에 대하여 총 46656개의 비교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W3C의 기준은 미국 토양조사센터의 기준보다 대비기준이 너무 엄격하며, 전체 색조합의 94.7%가 부적절한 색 대비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정 되었다. 따라서 W3C의 기준은 웹 문서 저작자의 색 선택을 상당할 정도로 제약하며, 적용 기준을 정상인에게도 혼란을 줄 수 있는 기준, 시각적 결함을 가진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3단계의 기준을 적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추후에는 사용자 평가를 통하여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보완점을 제시할 예정이다.

  • PDF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Efficient Index Mechanism for Real-Time MMDBMS (실시간 MMDBMS 를 위한 효율적인 색인 기법의 설계 및 성능평가)

  • Min, Young-Soo;Shin, Jae-Ryong;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61-6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MMDBMS 를 위한 효율적인 색인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주기억장치 트리 기반 색인 구조는 범위 검색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지만 한 노드에 대한 접근시간과 평균 접근시간의 차이가 클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 특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해시 기반 색인 구조는 간단한 검색에서 접근 시간이 매우 빠르고 일정하지만 범위 검색을 지원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두 색인 구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동적 확장이 가능하며 검색 시간이 빠르고 실시간 특성을 지원할 수 있는 ECBH(Extendible Chained Bucket Hashing)와 범위 검색에 더욱 효과적인 $T^{\ast}$-트리를 상호보완적으로 결합하여 Hyper-TH(Hyper Tree-Hash)라는 실시간 MMDBMS 에 적합한 새로운 색인 기법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그리고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색인 기법의 우수성을 증명한다.

  • PDF

Color Fitting Himselves (자신과 어울리는 색)

  • Shin, Seong-Yoon;Jang, Dai-Hyun;Shin, Kwang-Seong;Lee, Hyun-Chang;Pyo, Se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311-312
    • /
    • 2011
  • 사람은 어느 누구에게나 본인이 좋아하는 색상이 선천적으로 존재하고 후천적으로 혹은 인위적으로도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람이 좋아하고 사람에게 어울리는 색상을 찾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한다. 먼저, 피부, 머리카락, 눈동자의 색과 같이 색상의 기본을 이루는 톤(tone)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그리고 색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로 나누어 피부의 색, 머리카락의 색, 눈동자의 색과 자기 자신이 기호하거나 좋아하는 것과 본인의 성격에 따라서 나누어지는 사계절 색채이론을 설명한다. 또한 각 계절별 컬러의 특성도 살펴보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