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 정보

Search Result 1,74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 Index Method for Wireless XML Streams (무선 XML 스트림을 위한 색인 기법)

  • Chung, Yon-Dohn;Lee, Ji-Yeo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2 no.4
    • /
    • pp.416-428
    • /
    • 2005
  • In the paper we propose an index method for XML streaming services, where a server broadcasts XML data to a lot of clients in wireless information systems. In order to control the access and tuning time of mobile clients, the proposed method constructs the XML stream through replicating partial index intermixed with parts of data. For this purpose, we propose a two-level tree structure for separating index and XML data into two parts: replicated vs. non-replicated.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ith respect to access time and tuning time. With the analysis result, we derive the optimal level value.

How to find a suitable color for you? (본인에게 어울리는 색을 찾는 방법)

  • Jang, Dai-Hyun;Shin, Seo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617-618
    • /
    • 2011
  • Everyone's favorite color that exists naturally or artificially. This paper proposes that ow to find a suitable color for man. First of all, we find out about the base tone forming the color such as skin color, hair color, eye color. Next, we explained color theory of four seasons that color was divided according to skin color, hair color, eye color was diveded by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seasons, and according to liking or nature. And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ason's color.

  • PDF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Weighted Color Histogram and Spatial Distribution of Dominant Colors (가중 색 히스토그램과 지배적인 색의 영상 공간 분포를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 검색)

  • Park, Du-Sik;Han, Jun-Hui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8 no.3
    • /
    • pp.285-29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특정한 객체의 색 분포 모델링으로부터 얻어지는 가중 색 히스토그램과 지배적인 색의 영상공간 분포특성을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특정한 객체의 예로 사람 얼굴을 선택했고, 그것의 색 분포를 u*-v* 색도 공간에서 모델링 했으며, 모델의 정규화된 부피를 균등 양자화된 색도 공간의 각 빈(bin)의 히스토그램 값에 대한 가중치로 결정하고, 결정된 가중치를 히스토그램 정합 과정에 적용하였다. 또한 색 히스토그램 값이 큰 특정한 수의 빈으로 정의되는 지배적인 색의 영상 공간 분포를 가중 색 히스토그램과 함께 유사성의 측정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제안한 검색 방법을 500여개의 영상에 대해 실험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질의로 주었을 때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우선적으로 찾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Color Quantization Scheme Considering Interesting Area of Image (관심 영역을 고려한 색 양자화 방법)

  • Paik, Doo-Won;Lim, Hun-Gyu;Lee, Jee-Su;Kang, Jung-Ku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6
    • /
    • pp.161-165
    • /
    • 2007
  • The process of selecting a small number of representative colors from an image of higher color resolution is called color image quantization. In a color quantization process, it is vet important to determine what colors should be preserve and the others not. In our study, by the idea of an image can be divided into interesting area and uninteresting area, we propose a color quantization method that preserves more colors in the interesting area of an image. We evaluated correctness of extracting interesting area and compared the quality of our method with the others.

  • PDF

A Correction of Color Temperature and Consistency for 3D Stereoscopic Images (3D 입체영상을 위한 색온도와 색 일치 보정)

  • Kim, Jeong-Yeop;Kim, Sang-Hyu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8B no.3
    • /
    • pp.139-146
    • /
    • 2011
  • The color correction is the important process of influencing on the picture quality of the 3D stereoscopic images. Existing colorcorrecting methods handle the processing intensifying a correspondence among a left and right image using a histogram based on any one side. In case of color correction based on a histogram, it is difficult to correct tone of image, because the color temperature is not converted enough. And in this paper, the color temperature correction and color consistency correction is proposed without using histogram. The proposed color correction method by color temperature gives 3 in CIE-${\Delta}E$ for each pixel on the images captured with same illuminants and the conventional gives similar results. For color consistency, the proposed gives 9 in CIE-${\Delta}E$ on the images captured with different illuminants while the conventional gives 18. The proposed method shows better results than the conventional in color consistency processing.

Color Perception and Digital Color Image (색 지각과 디지털 영상색)

  • 박승옥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4-5
    • /
    • 2002
  • 모든 공산품에서 색은 사용자의 감성적 인터페이스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컬러 디스플레이의 경우 색상의 표현특성이 사용자의 감성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멀티미디어의 대중화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컬러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광범위한 영역의 영상정보를 주고받게 되므로 정확한 색의 재현은 정보의 전달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중략)

  • PDF

Color enhancement system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ransition Time and color detdetion Stability (천이 시간 개선과 색검출 안정화 기반의 색 향상 시스템)

  • Lee, Eung-Jo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3
    • /
    • pp.715-719
    • /
    • 199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lor enhance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ransition time problem and specific color detection stability. The proposcd system apply the time difference correction step to corrects time difference which is taken place at the transimission process between color signal and color subcarrier signal and to reduce detection errors. And also, we proposed stability method to improve transition time problem and detection efficiency as the control of reference color. The proposed system controls specific color when the mean difference value of detected voltages greater than the value of minimum discriminate voltages of two adjacent color signals. Thus, the color enhancement system improves detection efficiency and controls specific color from the color signal without overlapping of correction range.

  • PDF

A Comparative Study of Automaic Indexing Techniques in Pharmacology and Libray & Infomation Science (학문의 주제별 특성에 따른 자동 색인 기법의 비교 연구 - 약학분야와 도서관. 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

  • 조수련;사공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5 no.2
    • /
    • pp.99-126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ptudy is to presenet a relevant automaitc technigue in accordance with the statistical term characteristie in a collection comprising different subjecits, by comparing and evaluating two automatic indexing technigues (Inverse Document Fregnency Weighting Technigue and Term Discrimiantion Value Weighting Technigues) intht fields of Pharmacology and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 PDF

스크린 컨텐츠 동영상 압축을 위한 적응적 색 공간 변환 기법

  • Gang, J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18-2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스크린 컨텐츠 동영상의 효율적인 압축을 위한 부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부호화 기법은 RGB 색 요소 간의 신호의 통계적 중복성을 줄이기 위한 적응적 색 변환 기법에 기반한다. 기존의 색 변환 기법들은 스크린 컨텐츠 동영상이 포함하는 신호의 급격히 변화하는 ?계적 특성에 적용하기 어려운 반면 제안 방식에서는 부호화 블록의 시간적/공간적 주위 픽셀의 정보를 이용한 성분 분석을 통해 색 공간 변환 행렬식을 유도하여 부호화에 사용한다. 주위 픽셀 정보는 부호화 블록의 예측 방식에 따라 결정하며 움직임 벡터를 이용한 시간/변위 예측 부호 방식에서는 참조 블록의 정보를 이용하고 공간적 예측 방식에서는 블록의 인접 픽셀를 이용한다. 부호기 측에서는 비트율-왜곡 최적화를 통하여 예측 후 잔여신호의 부호화를 원래의 RGB 공간에서 수행할지 또는 색 변환한 공간에서 수행할지를 결정하고 관련 정보를 표시하여 블록 단위로 전송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증대한다. 실험에 의하면 제안 기법은 기존 압축 방식 대비 탁월한 부호화 성능을 제공함을 보인다.

  • PDF

Image Quality Assessment Using Perceptual Color Difference (인지적 색 차이를 사용한 이미지 품질 평가)

  • Lee, Jee-Yong;Kim,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837-840
    • /
    • 2015
  • SSIM은 인간의 시각 체계가 이미지의 구조적 정보에 예민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구조적 정보들의 유사성을 계산함으로써 이미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이미지 평가 기법이다. 하지만 SSIM은 컬러 이미지들에 대해 색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SI 색 공간을 활용한 SHSIM 기법이 제안되었으나 이 기법 또한 두 컬러 이미지 간 인지적인 색 차이를 충분히 반영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IE Lab 색 공간을 도입하여 대응 되는 픽셀들의 인지적 색 차이를 계산하여 이미지 평가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미지 평가 분야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네 가지의 데이터베이스와 네 종류의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하는 기법이 다른 기법들보다 인간 시각 체계와 더 상관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성능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