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채자극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effect of color and attention on the perception of 2D coherent motion (2차원 운동지각에 미치는 색채와 주의의 영향)

  • 이형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19-24
    • /
    • 2000
  • 색채에 따른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의 분리가 2차원 운동지각을 향상시킨다는 연구결과(Stoner & Albright, 1997)와 색채에 따른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의 분리가 2차원 운동지각을 향상시키지 못한다는 상반된 연구결과(Edwards & Badcock, 1996)의 모순을 해결하고, 선택적 주의에 따른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의 분리가 2차원 운동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일련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문제에 대한 이형철(1999)의 연구가 있었지만, 이형철의 연구는 단지 숙련된 2명의 피험자의 결과에 의존했다는 점, 그리고 선택적 주의에 사용된 자극에서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이 색채에 의해 완벽하게 분리되지 않을 때와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이 색채정보에 의해서만 분리되고 그 외의 다른 정보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을 때와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이 그 어떤 정보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을 때, 피험자들의 2차원 운동지각 수행은 비슷하였다. 하지만,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이 색채정보에 의하여 분리되고 피험자들이 목표자극을 구성하는 색채에 선택적 주의를 기울일 때, 피험자들의 2차원 운동지각 수행은 향상되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선택적 주의가 개입되지 않는 한 인간의 운동지각체계는 자극 구성요소들을 운동정보분석을 위해 색채에 따라 자동적으로 grouping 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PDF

HRV analysis Under Color Environment (생체 환경에서의 HRV 분석)

  • 정우석;정민영;양길태;양선호;김연희;송철규;김남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90-193
    • /
    • 2001
  • 본 연구는 색채환경이 정상인의 심전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색채 환경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색맹을 가지고 있지 않고 인지기능에 장애가 없는 정상 성인 남, 여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색채환경의 제시는 암실에서 백색 광원에 채색 필터를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피검자는 6가지 색채 환경 안에서 심전도를 측정하였으며, HRV 분석을 하였다. HF/LF의 비를 비교 분석하여 본 결과, 남자는 녹색에서 색채 자극전보다 자극후가 HF/LF의 비가 0.508(p<0.07)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여자는 파랑색에서 색채자극전보다 자극후 HF/LF의 비가 0.677상승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남자는 녹색에서 여자는 파랑색에서 더욱 편안함과 안락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연구의 결과는 색채 환경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좀 더 편안한 색채 환경의 설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Cardiovascular Parameters (색채 감성에 대한 심혈관 변수 관계성에 대한 연구)

  • Cho, Ayoung;Woo, Jincheol;Lee, Hyunwoo;Jo, Youngho;Whang, Mincheol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0 no.4
    • /
    • pp.127-134
    • /
    • 2017
  • Color is a significant factor for evoking human emotion. Therefore, the effects of color have been analyzed to predict and evaluate human em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ardiovascular responses depending on color stimuli in order to observe differences in color-emotions. Images consisting of six colors (red, green, blue, cyan, magenta, yellow) were used as visual stimuli. 26 college or graduate students (13 males) watched the color stimuli on the monitor and scored their subjective emotion while electrocardiogram (ECG) was meausred. The effects of the color on emotion were tested using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The coherence rati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een and magenta (p = .004), green and red (p = .006), and green and yellow (p = .004).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cardiovascular and emotions were relevant to emotional valence. This study shows significance as an empirical study by indicating that green induces pleasant and red induces unpleasant.

The Effect on the Biosignal by the Color Stimulation (색채 자극이 생리 신호에 미치는 영향)

  • 정우석;심해영;양길태;나승용;김연희;김남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69-72
    • /
    • 2000
  • 색채 자극은 인간의 감성에 영향을 주며 또한 색채의 생리적인 작용을 응용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색채 자극이 정상인의 생리신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정량적으로 측정해 보고자 하였다. 피검자는 정상인 성인 남,여 각 50명을 실시하였다. 색채 환경의 제시는 암실에서 백색광원에 채색 필터를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EEG는 푸른색과 녹색에서 알파파가 상승하였으며, 베타파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심전도의 HRV분석에서는 남자는 녹색에서 부교감 신경계가 가장 활성화 되었으며, 여자는 파랑색에서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 된 걸 볼 수 있었다. COP 측정에서는 녹색에서 누적거리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해 색채 환경이 생리적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임상적 응용을 위해서는 더 많은 피검자와 인지기능에 장애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ifferences on Use of Colors before and after Color Stimulations -Two different stimuli of images by design majors and non-design majors- (색채자극 전과 후 달라진 색 사용에 관한 연구)

  • Kim, Sun-Hwa;Lee, Seung-He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2 no.3
    • /
    • pp.351-356
    • /
    • 2009
  • The study is about how the difference in education levels can affect the subjects' use of color and find out the features of the effect. This experimental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color expression using the outline picture of a painting before and after being exposed to a full-color picture of the original painting. Differences between two conditions with two different stimuli were observed and the cause of the differences was analyzed based on the number of colors and the quantity of colors and composition of the colors used by the subjects. The study precedes an experiment based on how the level of education though experience can affect the use of color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various effects of color usage by children and adults who have various degrees of visual experience.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s how design majored subject differed in the use of color from non-design majored subject and compares the use of colors by the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design majored subject tended to use less coloring patterns after seeing the stimulus of the Monet picture with more colors, and included the colors from the stimuli they were exposed to. The non-design majored subject who viewed the Mondrian painting demonstrated opposite results by using less number of colors than before seeing the stimuli. In comparison to design majored subject, the variations in selected colors and the quantity of color by non-design majored subject were not consistent.

  • PDF

The Influence of Background Color on Perceiving Facial Expression (배경색채가 얼굴 표정에서 전달되는 감성에 미치는 영향)

  • Son, Ho-Won;Choe, Da-Mi;Seok, Hy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51-54
    • /
    • 2009
  • 다양한 미디어에서 인물과 색채는 가장 중심적인 요소로서 활용되므로 인물의 표정에서 느껴지는 감성과 색채 자극에 대한 감성적 반응에 연구는 심리학 분야에서 각각 심도 있게 연구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 자극물로서의 얼굴 표정과 색채가 상호 작용을 하였을 때 이에 대한 감성적 반응에 대하여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인물의 표정과 배경 색상을 배치하였을 때 인물의 표정에서 느껴지는 감성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관한 실험 연구를 진행하여 이를 미디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60명의 피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연구에서는 Ekman의 7가지의 universal facial expression 중 증오(Contempt)의 표정을 제외한 분노(Anger), 공포(Fear), 역겨움(Disgusting), 기쁨(Happiness), 슬픔(Sadness), 놀람(Surprising) 등의 6가지의 표정의 이미지를 인물의 표정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배경 색채로서 빨강, 노랑, 파랑, 초록의 색상들을 기준으로 각각 밝은(light), 선명한(vivid), 둔탁한(dull), 그리고 어두운(dark) 등의 4 가지 톤(tone)의 영역에서 색채를 추출하였고, 추가로 무채색의 5 가지 색상이 적용되었다. 총 120 장(5 가지 얼굴표정 ${\times}$ 20 가지 색채)의 표정에서 나타나는 감성적 표현을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각각의 피실험자는 무작위 순위로 60개의 자극물을 평가하였다. 실험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각 표정별로 분류되었으며 배경에 적용된 색채에 따라 얼굴 표현에서 나타나는 감성적 표현이 다름을 보여주었다. 특히 색채에 대한 감성적 반응에 대한 기존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료를 토대로 색채와 얼굴표정의 감성이 상반되는 경우, 얼굴표정에서 나타나는 감성적 표현이 약하게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부정적인 얼굴표정일수록 더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색상과 톤의 경우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광고 및 시각 디자인 분야의 실무에서 활용될 수 있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Effect of Sensory Information on the Motor (감각정보의 차이가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 분석)

  • 홍철운;심해영;박찬희;김남균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3 no.2
    • /
    • pp.165-170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t sensory information on the motor function which is resulted from visual stimuli. Particularly, it was focused on the effect of complementary color stimuli on reaction time. Twenty volunteers(10 men & 10 women), between the age of 20 and 25 yearn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 light & sound-attenuated chamber, and the overall system consisted of a PC. interface card. LEDs. key board switch, and display panel. Although many measurements of sensory-motor integration has been studie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ensory-motor integration has not been developed well. Quantitative analys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fferent sensory information on the arm motor system in the point of view sensory-motor integr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action time for visual stimuli of complementary colors was faster than that under same color environments : and, in same color environments and the reaction speed was varied inversely with respect to the magnitude of the light wavelength.

A study on colour appearance by the size of colour stimulation at foveal vision (중심와 시각에서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른 컬러 어피어런스 연구)

  • Hong, Ji-Yo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8 no.3
    • /
    • pp.23-28
    • /
    • 2018
  • Next generation displays show a trend of evolving from the display device environment (represented by existing televisions) to the mobile environment. The mobil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 display is similar to a home theatre; however, they are advantageous because they are small and have a relatively lower weight. Therefore, the display industry has an interest in diverse product applications of displays, reproducing more accurate colours, and offering improved image quality from display devices of various sizes. To address these interests, a psychophysical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is research. The experiment compared the size of the colour stimulation corresponding to foveal vision by gradually increasing the lightness of the background. This was based on the assumption of possible differences in colours being recognized by the lightness of the background and the size of the colour stimulation. Contrary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here the colours are identified more clearly as the size of the colour stimulation increases (assuming that the lightness of the background is not considered) her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attributes of the identified colour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ightness of the background and the size of the colour stimulatio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possible to resolve errors in colour conversion that can occur when the input image is switched from a large screen size to a mobile size display, and to reproduce the colours more accurately and improve the image quality.

Hemispheric Characteristics of Processing Hangul and Color (대뇌반구간 한글 단어처리와 색채처리 특성)

  • Han, Kwang-Hee;Kham, Kee-Tae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57-63
    • /
    • 1994
  • 인간의 정보처리 과정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구별로 색채와 단어의 처리과정을 분석하였다. 단어와 색깔이라는 두가지 자극 속성이 있는 한 개의 자극에 대하여 각 자극 속성에 대한 판단과정을 반응키를 이용하여 반구별로 알아보았다. 단어에 대한 판단과 색깔에 대한 판단을 반구별로 분석한 결과, 색깔처리나 단어처리에 있어서 반구간 비대칭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색깔에 대한 판단이 단어에 대한 판단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색채가 단어보다 기초적인 자극 속성임을 확인하였다. 단어와 색깔이라는 두가지 자극 속성을 이용한 경우에 한가지 자극속성을 처리할 때 다른 자극속성이 자동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정도에 있어서 반구간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색채가 단어처리를 간섭하는 정도가 단어가 색채처리를 간섭하는 정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스트룹 연구결과들과는 상반되는 결과를 얻었는데 이는 과제의 특성이라는 측면으로 기술되었다. 단어 처리에서 반구간 차이가 발견되지 않은 것은 한글의 시각적 특성과 관련지어 논의되었다. 자극의 한 속성이 자동적으로 다른 속성에 영향을 주지만 그 효과의 크기도 반구별로 차이가 없다는 것은 이전의 반구별 스트룹 효과를 알아본 연구들과 상반되는 결과이다. 따라서 자극속성이 상호영향을 줄 수 있는 좀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한 자극 속성이 다른 자극 속성의 처리에 자동적으로 영향을 주는 효과에서 반구 비대칭성이 발견되지 않으며 스트룹 효과는 두 자극 속성의 관계가 밀접한 특별한 경우에 나타나는 반구비대칭성 효과인 것으로 논의되었다.양 발생과 유의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phenol의 종류에 상관없이 식이 phenol에 조직의 항산화(산화억제)를 통해 암 예방(cancer prevention)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해준다.물을 첨가하여 물내리기를 한 후 김이 오른 후 물내린 쌀가루에 15% 이상의 설탕을 첨가하여 20분간 쪄서 만든 백설기가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 중 가장 중요한 조건은 첨가하는 물의 양이 10%이며 첨가하는 당이 설탕일 경우는 김이 오른 후 설탕을 섞어 바로 쪄야 하며 설탕의 양이 15% 이상이라는 것이다. 이 조건은 대체적으로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가 큰 수치를 나타낸다.순구조의 Tonpilz형 초음파 변환기와 비교하여 비록 송파전압감도에 있어서는 약 5 dB 정도의 음향출력의 손실이 불가피하지만, 그 대신 주파수 대역폭을 약 5 재 정도 확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이 넓은 주파수 대역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어종식별을 위한 음향산란신호를 정량적으로 수집 및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n A was 11 ug.이, 0.9 ug/g and 3.7 ug/g in the blood, liver and kidney, respectively.sional-managerial who secure the higher autonomy and stability in their work have the highest life chance in the labor and health, and leisure life

  • PDF

A Study on Colour Appearance along the Variance of Colour Stimulus and Background Lightness at Peripheral Vision (주변시 시각에서 색채 자극과 배경의 밝기에 따른 컬러 어피어런스 연구)

  • Hong, Ji-Yo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8 no.2
    • /
    • pp.19-25
    • /
    • 2018
  • A scientific and systematic approach for digitally representing colours is essential for improving image qual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objectively analysing such approaches. Studies regarding display systems, which can reflect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associated international standards at the forefront, have already caused significant impact. Colou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employed for evaluating the overall image quality of displays. The proposed study focusses on colour properties which a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peripheral vision area, with the primary objective of reproducing digital colours which can simulate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The proposed study aims at identifying digital colour characteristics which can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background lightness and the size of colour stimuli.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obtained through psychophysical experiments, a method has been proposed for determining peripheral vision characteristics which vary according to the increasing size of a colour stimulus, thereby digitally reproducing them on displ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