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상 견뢰도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Eco-printing Using Chitosan and Natural Colorants(1) (키토산과 천연색소를 이용한 Eco-Printing(제1보))

  • Shin, Youn-Sook;Kim, Chae-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65-65
    • /
    • 2011
  • 천연염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색상의 재현성, 견뢰도의 취약성, 디자인의 제한성의 문제로 실용화의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침염 위주의 천연 염색에서 벗어나 키토산을 바인더로 이용하는 날염의 유효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을 바인더로 이용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키토산과 광물성, 동 식물성 안료를 혼합하여 날염호를 조제하여 날염하였다. 키토산의 점도와 농도, 키토산을 이용한 바인더와 안료의 비율 등을 변화시키고 날염직물의 색상과 염착량, 세탁 일광 마찰 견뢰도를 측정하여 적정조건을 도출하였다. 기존의 합성바인더와 구아검을 사용한 경우의 색상, 염착량, 견뢰도와 비교하여 키토산 날염 바인더로서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키토산을 바인더로 이용한 날염방법에서 적정 점도는 저 중점도, 농도는 1.7%정도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날염호 제조시 안료의 비율을 증가시켜 진한 색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그 비율은 광물성 안료의 경우 1:4, 동 식물성 안료의 경우 1:10까지 변화시켜 명도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적정조건에서 날염한 직물의 견뢰도를 평가한 결과, 광물성 안료의 경우 4등급 이상, 동 식물성 안료의 경우 3등급 이상으로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안료의 비율이 높아지면 마찰 견뢰도는 감소하였다. 키토산, 구아검, 합성바인더의 색상과 견뢰도를 비교해 본 결과 색상은 동일한 계열로 나타났으며, 키토산을 바인더로 이용한 경우 세탁, 일광, 마찰 견뢰도는 구아검보다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합성바인더의 경우 세탁, 마찰 견뢰도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일광견뢰도의 경우 키토산이 더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 PDF

Natural Dyeing using the Colorants extracted from American Fleabane (I) -Dyeing properties on wool-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염색(I) -모섬유에 대한 염색성-)

  • Shin, Youn-Sook;Arang C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434-1440
    • /
    • 2003
  • 개망초로부터 색소를 추출, 분말화하여 FT-IR 분석을 행하고, 모섬유에 대한 염색조건과 매염이 염착량(K/S값) 및 색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염색한 시료의 견뢰도를 측정하여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개망초 색소는 모섬유에 높은 친화력을 보였으며, Langmuir형의 등온흡착곡선을 보여 염착이 주로 이온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착략이 pH 3.0에서 최대가 되었으나 강한 산성조건은 강도 저하를 비롯한 섬유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pH를 조절하지 않고 염색하였다. 피염물의 색상은 모두 Y 계열을 나타내었다. 철매염 처리한 경우를 제외하고 매염처리가 염착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았으며, 매염제 종류를 달리하여 염색한 모섬유의 색상은 크롬과 주석으로 매염한 경우 YR 계열을 나타내고 그 밖의 매염제에 의해서는 Y 계열의 색상을 나타내어 큰 변화는 없었다. 매염처리하지 않은 시료의 견뢰도는 매우 양호하였으며 매염처리가 견뢰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Dyeing of Silk Fabric with Aqueous Sorghum Extract (수수 추출물에 의한 견직물의 염색)

  • Lee, Sung-Eun;Bae, Do-Gyu;Jung, Ya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43-4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량으로 손쉽게 구 할 수 있는 식물염료를 확보하여 새로운 천연색소자원을 탐색하기 위해서 진행되었으며, 시료의 최적 추출 조건을 확립하고 추출된 색소의 실크에 대한 염색 특성을 살펴 최적 염색조건을 설정하고, 염색견뢰도를 평가하여 수수 등겨 추출물의 천연색소로의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수수 색소 추출 시 생산성과 편리성을 고려하여 추출은 pH 4, 추출온도 $60^{\circ}C$, 추출시간 24시간이 적정조건으로 제시되었으며, 수수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탄닌의 최대흡수파장은 282nm로 나타났다. 견직물의 pH에 따른 염색 특성은 pH가 증가할수록 K/S값이 증가하여 염착량이 증가하였으며, 염색온도가 높을수록 염색시간이 길어질수록 염착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염색온도가 높을수록 염색시간이 경과될수록 색상은 $Y{\rightarrow}YR$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염색온도가 높을수록 채도가 증가하였다. 욕비가 클수록 염착량은 감소하였으나, 채도는 약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매염제 처리에 의한 색상변화에서는 Al, Ni 매염은 색상변화는 적었지만, Cu와 Fe 매염은 명도와 채도를 크게 감소시키고 아울러 색상도 Cu는 적갈색으로 Fe는 진회색으로 변화되었다. Sn과 Ti 매염에 의해서 명도는 약간 감소하고 채도는 약간 상승하여 연한 주황색으로 색상이 변화하였다. 설정된 조건에서 염색된 염색포의 일광견뢰도는 2~3급, 세탁견뢰도 변퇴색은 2~3급, 오염은 4~5급으로 나타났다. Fe로 매염된 염색포의 일광견뢰도는 증가하여 3~4급으로 나타났으며, 매염제 처리에 의한 세탁 견뢰도는 같거나 약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Lightfastness improvement of Yellow Natural Dyes on Wool by Tannin Treatment and Analysis of its Mechanism (탄닌 후처리에 의한 황련, 황백 양모염색물의 일광견뢰도 향상 및 메커니즘 규명)

  • 조정국;이정진;김재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51-254
    • /
    • 2001
  • 천연염료는 합성염료에 비해 고급스럽고 자연스러운 색상을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기능성이 있어서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추출, 보관에의 어려움과 각종 견뢰도, 특히 일광견뢰도가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황색을 발현하는 대표적인 염재인 황련과 황백의 경우에도 항균, 방취성 등의 장점이 있으나 일광 견뢰도가 낮아 과거에는 임산부용 속옷이나 유아용 기저귀감 등 일광에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 용도로 이용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기능 전수자에 의해 전통염색이 명맥을 잇고 있을 뿐이다. (중략)

  • PDF

Dyeing for High-Visibility on Recycled Polyester Fabrics (재생 PET 소재에 대한 Hi-Vis. 염색가공 기술 적용)

  • Hong, Jin-Pyo;Yoon, Seok-Han;An, H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120-120
    • /
    • 2012
  • 최근 주야간 산업현장의 근로자 안전성을 위한 식인성이 우수한 Hi-vis. 염색이 work-wear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Hi-vis. 염색에서의 형광색상은 차별화된 패션성을 원하는 소비자에게도 레져용, 아웃도어용, 캐쥬얼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형광염료는 주로 안료나 PET용 분산염료로의 전개가 일반적이며, 예전에는 형광안료 코팅을 통한 필름이나 테이프 등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의류에 직접 염색공정을 적용하는 기법으로 형광분산염료가 많은 용도에 적용된다. 이러한 고가시 산업용 work-wear는 주간에는 선명한 색상을 띄며, 야간에는 빛나는 재귀 반사의 성능을 지니며 대표적인 형광컬러는 Yellow, Red-Orange, Red, Yellow-Orange, Pink, Green, Yellow-Green 등 색상이 있다. 고가시성 안전의류(High Visibility Warning Clothing) 기준의 색도 좌표 및 일광 견뢰도 등 성능을 만족해야 하며, 대표적인 규격은 유럽의 EN-471로 일광, 마찰, 세탁, 땀, 드라이클리닝, 염소 등 견뢰도에 대한 각각의 합격기준이 있으며, 색도 및 형광팩터 등의 기준에 맞는 염색처방이 필요하다.

  • PDF

Effect of Glue and Alum Mixing Ratio on the Color Variation of Traditional Sizing Hanji (아교포수 방법이 전통한지의 색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Lee, Yu-Ju;Choi, Tae-Ho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5 no.2
    • /
    • pp.153-158
    • /
    • 2019
  • The traditional sizing treatment for the Hanji is performed to give the following functions. Those are to stabilize the paint of the painting, to prevent the paint of painting and moisture from smearing into the painting itself, to prevent the paint of the painting and moisture from passing to the lining paper, and to make the colors of painting match the surrounding.This study analyzed a result of the effect of Hanji sizing characteristic according to glue and alum mixing ratio and applying times, affects to pigments of painting and fastness of Hanji using accelerated aging test. As a result of color measurement of sizing treated Hanji, the concentration of glue and the number of application increased, the brightness and the $L^*$ value decreased but the yellowness index increased.

A Study of Leather Dyeing Process using Indigo Dyes (인디고 염료를 이용한 피혁 염색공정 연구)

  • Lee, Sang-Chul;Shin, Eun-Chul;Kim, Won-Ju;Park, Soo-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101-101
    • /
    • 2012
  • 천연가죽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염색공정에서 종전의 합성염료가 아닌 자연에서 추출한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블루색상을 가지는 피혁 제조 공정을 확립하였다. 피혁에 적용 가능한 블루색상을 가지는 천연염료 중에 쪽 염료가 유일한 상황이다. 가죽 무게 대비 5%의 쪽염료를 가죽 제조 드럼에 투입하여 100분간 충분히 회전시킨 후에 가죽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가지제를 12% 추가로 투입하여 블루 색상을 가지는 가죽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마찰견뢰도, 일광견뢰도, K/S가 우수한 피혁 염색공정을 확립하였다.

  • PDF

Survey of Colorfastness of Korean Silk Fabrics (국내산 견직물의 염색견뢰도조사)

  • G. Freddi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32 no.1
    • /
    • pp.68-72
    • /
    • 1990
  • The color fastness of Korean silk fabrics was measured in this investigation. The sample fabrics under examination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ycle: 1) Plain dyeing(A-C) : 2) Yarn dyeing(D;E=Knitted fabric) ; 3) Direct printing(F-H) ; 4) Discharge Printing(I-P) : The following result can be obtained. Among the samples examined, both the plain-dyed(brilliant colours) and discharge-printed (put-in colours) fabrics show lower values of water, perspiration and ironing color fastness compared with those recommend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 S. O.)

  • PDF

Natural Dyeing using the Colorants extracted from American Fleabane (Part II) - Dyeing properties on cotton -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제2보) -면섬유에 대한 염색성-)

  • Shin Younsook;Cho Ar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8 no.12 s.138
    • /
    • pp.1625-163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yeing properties of cotton fabrics by American fleabane extract. Effect of dyeing condition on dye uptake and effect of mordanting on dye uptake, color change and colorfastness were explored. Its affinity to cotton fiber was considerably lower than wool, and its hydrogen bonding was involved in the absorption of American fleabane colorants to cotton fiber. K/S value of pre­mordanting was higher than sim-mordanting or post-mordanting. Except that Sn mordanted showed high K/S value, it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American fleabane produced mainly yellowish color on mordants and mordanting method. Cotton fabrics showed generally high colorfastness except colorfastness to washing.

The Application of Reactive Dyes on Polyamide Fibers and Their Dyeing Properties (반응성염료를 이용한 폴리아마이드 섬유에의 응용 및 거동분석)

  • 홍진표;김태경;배기서;손영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413-414
    • /
    • 2003
  • 폴리아마이드 섬유, 즉 나일론 섬유에 응용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이온성 염료들 중에서 섬유분자와 염료의 결합특성에 기인하는 산성염료의 사용이 현재 주를 이루고 있지만 결합력에서 기인하는 염료의 탈착으로 말미암아 색상강도의 저하 및 첨부포에의 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함금속 염료를 이용한 방법에서는 세탁 및 일광에 대한 견뢰도 향상은 얻을 수 있지만, 원하는 수준의 견뢰도를 얻기 위해서는 후처리의 적용도 고려되어진다. 반응성 염료$^{1.2)}$ 를 이용한 염색은 셀룰로오스 섬유에의 적용이 대부분이며, 양모 및 견에 대한 응용도 발표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