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상기울기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4초

HTML5에서 직선의 기울기를 이용한 2D to 3D 입체 이미지 변환 (2D to 3D Anaglyph Image Conversion using Linear Curve in HTML5)

  • 박영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21-52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HTML5에서 직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2D 이미지를 3D 입체 이미지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3D 이미지 변환을 위한 어떠한 정보도 없이 단 하나의 원본 이미지를 좌안과 우안을 위해 RGB 색상을 필터링한다. 사용자는 깊이 값을 설정하기 위해 미리 만들어 놓은 제어 점을 선택한 후 깊이 값을 설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렇게 선택된 값들을 반영하여, 이미지 전체와 부분적인 원근감을 갖도록 사용자가 정의한 직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좌안과 우안을 위한 깊이를 부여한 후 Anaglyph 3D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게 된다. 이 모든 과정이 HTML5를 사용한 웹 환경에서 구현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매우 쉽고 편리하게 자신들이 원하는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장면 텍스트 영역 추출을 위한 적응적 에지 강화 기반의 기울기 검출 및 보정 (The Slope Extraction and Compensation Based on Adaptive Edge Enhancement to Extract Scene Text Region)

  • 백재경;장재혁;서영건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77-785
    • /
    • 2017
  • 실세계에서 텍스트가 포함 된 장면은 텍스트를 추출하고 인식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장면의 텍스트 영역을 추출하고 인식하는 기술들은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장면에서 텍스트 영역을 추출하는 기술은 크게 텍스쳐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과 연결요소방법, 그리고 이 둘을 적절히 혼합하는 방법들로 구분 할 수 있다. 텍스처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은 영상의 색상, 명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트가 다른 요소와는 다른 값을 갖는다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연결 요소 방법은 장면의 각 화소마다 인접해 있는 유사 화소를 연결 요소로 만들어 기하학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판별한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영역 추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영상의 기울기를 검출하고 보정한 후 에지를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영상의 기울기를 보정한 후 텍스트가 포함 된 정확한 영역만 추출하기 때문에 MSER보다 15%, EEMSER보다 10% 더 정확하게 영역을 얻었다.

동질 영역의 기울기를 고려한 상보 쿼드트리 (A Complementary Quadtree in Consideration for Gradient of Homogeneous Regions)

  • 김신진;이종엽;김영모;고광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9권3호
    • /
    • pp.36-41
    • /
    • 2002
  • 만화 영상은 비교적 간단하고, 사용 색상의 수가 적으며 동일 색상이나 기울기를 가지는 동질 영역(homogeneous region)이 많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특징을 이용하여 만화 이미지에 효과적인 상보 쿼드트리 압축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영상의 점진전송이 가능하게 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진행되는 동안 수신측에서는 낮은 해상도의 영상에서부터 점진적으로 더 높은 해상도의 영상으로 해상도를 향상시켜 나가게 한다. 이것은 데이터 전송의 초기에 영상의 가치를 판단하여 나머지 부분의 전송을 진행하거나 취소할 수 있어 제한된 전송 대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이 비손실의 점진전송이 가능한 방법이므로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진 progressive PNG, progressive GIF와 압축 성능을 비교 하였다.

컬러 세그멘테이션 및 정규화 템플릿 매칭의 계층적 적용에 의한 속도 표지판 인식 (Speed Sign Recognition by Using Hierarchical Application of Color Segmentation and Normalized Template Matching)

  • 이강호;이규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6B권4호
    • /
    • pp.257-26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실제 도로환경의 속도 표지판 영역 추출 및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화소의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속도 표지판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속도 표지판 영역 안에서 숫자 영역만 다시 추출한다. 표지판의 경사여부를 판단하여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표지판을 회전시켜 기울기를 보정한 후 인식을 행함으로써 인식률을 제고한다. 도로환경의 동영상을 대상으로 인식을 행한 결과 일반적인 속도표지판 뿐 아니라 기울어진 환경에서도 매우 강건한 인식 결과를 보인다.

이미지 세그먼테이션을 이용한 보색 기반의 스마트 의상 코디네이션 (Coordination of Smart Costume based on Complementary Colors using Image Segmentation)

  • 김희숙;김호다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453-146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의상을 촬영하여 이미지 파일로 구성한 후 배경을 제외한 의상 영역만 추출한 후 대표 색상 값을 산출하고 이에 대응되는 보색을 기반으로 의상 코디네이션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의상 영역을 추출할 때 발생하는 과다 세그먼테이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방성 확산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기울기를 평탄하게 구성하여 의상 영역만 세그먼테이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향후 보색 코디네이션 뿐 만 아니라 다양한 배색 기법을 추가할 계획이다.

모폴로지 재구성과 비선형 확산을 적용한 영상 분할 방법 (An Image Segmentation method using Morphology Reconstruction and Non-Linear Diffusion)

  • 김창근;이귀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6호
    • /
    • pp.523-531
    • /
    • 2005
  • 확산(Diffusion)을 이용한 기존의 칼라영상 분할은 확산의 횟수가 반복될수록 경계선 정보가 적절히 유지되지 못하거나 잡음을 제거하지 못함으로써 워터쉐드(Watershed)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경우, 과분할을 피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리 형태학(Mathematical Morphology)과 비선형 확산(Non-Linear Diffusion)을 함께 적용하여 과분할의 문제점을 제거한 워터쉐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칼라영상 분할방법을 제안한다. 임의의 칼라 영상을 LUV 색상공간으로 변환하여, 그 각각의 색상공간에 수리 형태학을 응용한 재구성에 의한 닫힘(Reconstruction) 연산과 비선형 확산을 함께 적용하여 경계선을 적절히 유지하면서 잡음을 제거한 단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영상에서 칼라 영상의 기울기(Gradient) 정보를 획득하고,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상을 분할한다. 실험 결과, 기존의 방법보다 과분할이 현저히 제거되고, 칼라 영상이 매우 효과적으로 분할됨을 확인하였다

코와 턱의 위치 및 색상을 이용한 측면 얼굴 검출 (Side-View Fan Detection Using Both the Location of Nose and Chin and the Color of Image)

  • 송영준;장언동;박원배;서형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17-2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얼굴, 기울어진 얼굴들이 존재하는 칼라 영상에 대해서 색상 및 코의 길이와 턱의 위치를 이용하여 측면 얼굴만을 검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RGB 영상을 YCbCr 좌표계로 변환한 후, 피부색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후보 영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후보 영역은 형태학적 필터링을 거치고 최종적으로 남게된 영역들은 레이블링된다. 또한 코의 돌출 부위의 특성을 이용하여 기울어진 얼굴 영상에 대한 기울기 보정을 하였다. 그리고 코 영역 부분의 수직 거리와 턱까지의 거리와 같은 지형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수직축을 기준으로 좌우 45도 이내로 기울어진 측면 얼굴에 대해서도 강건하게 검출하였고 100개의 실험영상을 사용하여 92%의 검출율을 얻었다.

  • PDF

색상분할 및 객체 특징정보의 계층적 적용에 의한 신호등 및 속도 표지판 인식 (Traffic Light and Speed Sign Recognition by using Hierarchical Application of Color Segmentation and Object Feature Information)

  • 이강호;방민영;이규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7B권3호
    • /
    • pp.207-21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실제 도로환경의 신호등 및 속도표지판 영역 검출 및 인식 방법을 제안하였다. 밝기정보 및 HIS 컬러모델에기반한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신호등을 인식하였다. 또한 HSI 컬러정보로부터 적색강도를 추정함으로써 속도 표지판을 검출하였다. 표지판의 경사여부를 판단하여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표지판을 회전시켜 기울기를 보정한 후 인식을 행함으로써 인식률을 제고하였다. 도로환경의 동영상을 대상으로 인식을 행한 결과 신호등과 속도표지판이 혼합된 영상에서도 매우 강건한 인식 결과를 보인다.

컬러정보와 부분 템플릿을 이용한 얼굴영역, 요소 및 회전각 검출 (Detection Method of Human Face, Facial Components and Rotation Angle Using Color Value and Partial Template)

  • 이미애;박기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4호
    • /
    • pp.465-472
    • /
    • 2003
  • 얼굴영상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선 먼저 인력영상에서 얼굴영역과 얼굴을 구성하는 각 요소를 검출하고 얼굴의 회전각을 추정하는 전처리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얼굴의 크기와 머리회전, 조명의 변화가 허용되고 피부색과 비슷한 배경이 얼굴에 병합되는 경우에도 얼굴과 요소들(눈, 입)을 강건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변환된 HSV 컬러 좌표계상의 대역적 피부 색상정보와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피부 색상정보로 얼굴후보영역을 지정한 뒤, 같은 방법으로 얼굴후보영역 안에서 입술영역을 검출한다. 입술영역의 횡축 기울기로 x축에 대한 회전각을 추정한 후, 얼굴의 모양정보와 요소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얼굴임을 확정한다. 다음으로 양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부분 템플릿매칭을 통해 눈을 검출한 뒤, 얼굴의 넓이를 참조한 3차원 공간상에서의 눈의 위치를 계산하여 y축 회전각을 추정한다. 다양한 얼굴영상에 대해 실험을 실시한 결과, 본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워터쉐드 변환과 영역 병합을 이용한 이미지 분할 (Image Segmentation using Watershed Transformation and Region Merging)

  • 이기정;황보택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1-114
    • /
    • 2007
  • 워터쉐드 변환은 영역 분할 속도가 빠르고, 유연하여 이미지 분할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워터쉐드 변환은 지역적 최소점을 이용하기 때문에 잡음에 민감하고 과분할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 연구들은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에 대해서만 워터쉐드를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적 최소점에 민감한 워터쉐드 변환에 칼라 기울기 이미지와 모폴로지 기법을 적용하였다. 워터쉐드 변환 후의 분할된 영역은 영역 인접 그래프로 구성하였고, 인접 영역에 대하여 칼라 색상 유사도와 텍스쳐 유사도를 이용하여 영역 병합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경우 효과적인 이미지 분할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