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새만금 방조제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에너지 기행 - 저탄소 녹색성장의 선도모델이 될 새만금산업단지

  • 국가핵융합연구소
    • 핵융합뉴스레터
    • /
    • s.42
    • /
    • pp.16-17
    • /
    • 2009
  • 1991년 방조제 착공과 함께 시작된 새만금간척사업. 농업용지확보를 위해 진행되었던 사업이 새만금종합개발사업으로 내용을 변경하면서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방조제는 올해 말 완공된다고 하니, 그 광활한 모습을 살펴보고, 앞으로 진행될 사업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새만금방조제가 시작되는 군산 비응항을 찾았다.

  • PDF

새만금방조제에서 해수-담수 경계면 예측

  • 박유철;김강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32-535
    • /
    • 2003
  • 새만금 방조제를 통하여 새만금호로 유입되는 해수 침출수량과 새만금 방조제 내부에서의 해수와 담수 사이의 상호작용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는, 밀도 차이에 의한 흐름을 고려한 지하수 흐름 지배 방정식과 염류의 분산 및 이송 지배 방정식을 결합시킨 수치해석 모델이 이용되었다. 밀도류를 고려한 경우에는 밀도류를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해수 침출량은 다르지 않았으나, 해수 침출면의 길이가 축소되고 유속이 증가하였다. 부정류상태의 해수-담수 경계면은 정류 상태의 결과와 매우 달랐으며, 해수 침출면이 방조제의 하부가 아닌 상부에 존재함을 보였다.

  • PDF

Low-salinity Water and Circulation in Summer around Saemangeum Area in the West Coast of Korea (하계 서해안 새만금 연안역 주변 저염수와 순환)

  • 이상호;최현용;손영태;권효근;김영곤;양재삼;정해진;김종구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8 no.2
    • /
    • pp.138-150
    • /
    • 2003
  •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where Mankyung and Dongjin rivers discharge fresh water, Saemangeum tidal dyke of 33 km long is under construction to reclaim the very shallow estuary region of 41,000ha. Main source of freshwater in this coastal area is Keum River locating closely north of the dyke. At present, the dyke connected with Gogunsan-Gundo separates this area into three regions; northwestern, southwestern and eastern (Saemangeum) region of the dyke, and the water in Saemangeum region is exchanged through one gap in the northern dyke and two gaps in the southern dyke. We have observed distributions and structure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to examine the summer circulation related with low-salinity water in this coastal area in 1998 and 1999. In the surface layer off the northern dyke a tongue-like distribution of low-salinity extends 60 km long from Keum River estuary mouth to the northwest, forming plume front bounded by offshore water. In the inner region of Saemangeum dykes salinity distributions show that two river waters are merged together and the low salinity water is deflected toward northern gap of the dyke. In the surface layer off the southern dyke we observed small tongue-like distribution of another low-salinity water extending to the north from Gomso Bay. Based on the analysis of distributions of low-salinity water and frontal structures, we can suggest an anticlockwise circulation of coastal water around the dyke, composed by the estuarine water outgoing from the inner region of the dyke through the northern dyke's gap and the inflow through two gaps of southern dyke from offshore. After completing the dyke construction, this coastal circulation around the dyke will be, however, changed because fresh water discharge of Mankyung and Dongjin rivers will be routed artificially and directly into the area offshore of the southern dyke.

Safety Assessment of a Tsunami at Saemangeum (지진해일에 의한 새만금 지역의 안전성 평가)

  • Choi, Moon-Kyu;Sim, Ju-Yoel;Lee, Seung-Oh;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98-210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간 서해에서 발생한 해저 지진 중에서 가장 큰 지진인 2003년 3월 23일에 발생한 해저 지진의 진앙지(북위 $35^{\circ}$, 동경 $124.6^{\circ}$)에 우리 나라에 가장 큰 피해를 입힌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의 지진 매개변수(parameter)를 적용한 가상 지진해일을 발생시키고 새만금 지역의 최대 처오름 높이를 계산하였다. 가상지진해일에 대한 수치모의 결과 새만금 지역에서는 $0.4{\sim}0.9m$의 파고가 발생하겠으며, 이러한 결과는 지진해일로 인한 새만금 방조제 유실 및 방조제 내부의 재난방재를 위한 기초적 자료가 될 것이다.

  • PDF

Changes of Surface $M_2$ Currents as Observed by HF Radar Before and After Saemangeum Fourth Tidal Dyke Closing (새만금 4호 방조제 완성 전.후 HF 레이다로 관측된 표층 $M_2$ 조류의 변화)

  • Kim Chang-Soo;Lee Sang-Ho;Son Young-Tae;Kwon Hyo-Keun;Lee Kwang-Hee;Kim Young-Bae;Jeong Ou-Ji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1 no.2
    • /
    • pp.37-48
    • /
    • 2006
  • HF radar-derived current data obtained in 2002 and 2004 are analyz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mpletion of the Saemangeum 4th tidal dyke in June 2003, connecting Gogunsan-Gundo and Bieung-Do, on the coastal surface $M_2$ current pattern. Comparison between the currents by HF radar and current meter mooring showed good agreements.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_2$ current in the observed area did not change with the dyke construction. Strong westward ebb jet from the gap of the dyke was observed in 2002 but disappeared in 2004. The complete closing of the dyke gap caused the current speed increase around the mouth of the Kem River estuary, decrease around Gogunsan-Gundo and the dyke, the changes in the direction of maximum current to north-ward from eastward and the delay of the maximum flood current occurrence around Gogunsan-Gundo and the dyke. Around Yeon-Do, the maximum flood current directed more clockwise and occurred rather earlier. These changes of the $M_2$ current ellipse characteristics imply that the effects of the dyke construction reached the area connecting Mal-Do and Yeun-Do.

Characteristics in Organic Carbon Distribution in the Seamangeum Area During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Sea Dike, Korea (방조제 건설에 따른 새만금 표층 유기탄소 분포 특성)

  • Park, Jun-Kun;Kim, Eun-Soo;Kim, Kyung-Tae;Cho, Sung-Rok;Song, Tae-Yoon;Yoo, Jeong-Kyu;Kim, Seong-Soo;Park, Y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2 no.2
    • /
    • pp.75-83
    • /
    • 2009
  •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acts of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sea dikes on carbon cycle in Samangeum area being a closed environment after April, 2006, we had measured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particulate and dissolved organic carbon in the surface water of inner Saemangeum dike from 2003 to 2006. The significant inputs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and organic carbon were mainly occurred during the wet season which suggests that most organic matter loading is concentrat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inside the dike. The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 and organic carbon have gradually increasing every year inside of dike from the Mangyeong river estuary to Saemangeum dike, which has been closed since 2003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4th dike. The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creased due to the phytoplankton blooms by eutrophication. If the large portio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produced in the surface water sink to the bottom sediment, this will cause the anoxic condition in this closed environment.

  • PDF

Water Quality Simulations After Completion of Saemangeum Reservoir Construction (새만금호 완공에 따른 수질변화 모의)

  • Suh, Seung Won;Lee, Hwa Yo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1B
    • /
    • pp.79-93
    • /
    • 2008
  • Water quality simulations on the Saemangeum inner reservoir have been carried out using EFDC model to understand water quality variations caused by abrupt physical changes due to closing of tidal barrier. According to hydrodynamic simulation, model reproduces not only outer regional dynamics but also inner superelevation very well.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water quality models accomplished using observed data taken before closing. Also sensitivity tests regarding riverine discharges and tidal flats were done. Due to enlarging of always wet zone caused by super elevation on inner tidal flats, predicted DO decreases at that region as a result of SOD. Moreover shrink of mixing zone after closing of dike causes deteriorating of water quality showing DO as 2 mg/L during summer at Mangyeong and Dongjin estuaries, however it does not spread to middle part of the reservoir. Vertical stratification occurs after closing and shows vertical differences in DO concentration at least 6 mg/L to 7 mg/L in summer season. Most part of the reservoir is getting stratified and it leads to an oxigen deficit zone near bottom.

Annual Variations(2001-2010) of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in Saemangeum Water Region (새만금 수역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경년(2001-2010) 변화)

  • Yeo, Hwan-G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9
    • /
    • pp.4326-4333
    • /
    • 2012
  •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had been researched in Saemangeum water region from 2001 to 2010 belong to the construction period of Saemangeum dike. The big change of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was shown, reaching 57 - 85,219 cells/ml according to the sampling seasons and stations. Inside of Saemangeum lake, a flux of fresh water and sea water made the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changed spatiotemporally. Meanwhile, the water bloom was frequent with continuously high standing stocks of fresh water stations and the standing stocks outside of the dike have been normal. In the long-term point of view, the standing stock did not show a big change comparing to the before and after of closing the dike(April, 2006).

Emergency Action Plan Index of Saemangeum Lake Using Flood Characteristics (홍수특성을 이용한 새만금호 비상대처계획 지표개발)

  • Kim, Dong Joo;Maeng, Seung Jin;Lee, Seung Wook;Kim, Hyung S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2-422
    • /
    • 2018
  • 우리나라의 간척사업은 고려시대 중엽부터 서남해안에 다수 산재되어 있는 천혜적인 간척 적지를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국토확장 및 식량 자급달성에 기여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쌀 수급 등 농업정책의 변화, 비용에 대한 경제성 평가의 변화, 개발과 보전에 관한 이해당사자간의 대립 등으로 신규 간척사업의 추진이 어려워지고 기존 간척지의 토지이용 목적 변화와 이치수 기능개선을 목적으로 배수갑문을 확장하는 등의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조제 상류지역 및 지천에서 이상홍수 유입에 따른 방조제 안정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호내로 유입되는 빈도별 홍수량에 따른 각 지점별 수위변화를 이용하여 방조제 비상대처계획에 대한 재난관리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선정된 방조제를 중심으로 빈도별 홍수량을 산정하여 수문학적 안정성을 검토하고, 빈도별 홍수량에 따른 호내의 홍수위 변화를 통하여 비상대처계획 시나리오를 구성하고자 한다. 새만금 유역의 수치모델링에 필요한 범위를 설정하고, 모델 구성 및 자료를 입력한 후 검 보정을 통하여 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한 후 모델운영 조건을 설정하였다.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이 완료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통합운영을 실시하였다. 호내 관리수위에 따른 100, 200, 500, PMF 홍수량 유입시에 호내 홍수위 모의를 수행하였다. 또한, 비상단계 중 초기단계인 '관심단계'를 "이상홍수 발생부터 관리수위 EL-1.5m까지"로 설정한다면 방조제 초기 재난대응이 유리해 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의단계'는 "관리수위 EL-1.5m부터 호내 관리홍수위 EL+1.5m까지"로 '경계단계'를 "호내 관리홍수위 EL+1.5m부터 제당 내측사석보호공 홍수위까지", '심각단계'를 "제당 내측사석보호공(만경유역 EL+4.5m, 동진유역 EL+2.5m) 이상의 홍수위"로 설정한다면 방조제 관리자에게 세부화된 정보 및 지표를 제공해 줄 것이라 판단된다. 방조제 비상상황 단계별 분류에서 이상홍수위 발생후의 시간을 수치모의를 통해 구분하였으며 정성적인 위기상황 판단이 아닌 구체적인 수치로 된 지표들을 방조제 위기상황 재난지표로 활용한다면 상황 관리자의 위기상황 판단과 대처를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새萬金 干拓綜合開發事業의 意義와 計劃內容

  • Han, Sang-Uk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4 no.1
    • /
    • pp.10-19
    • /
    • 1992
  • 서해안 시대를 맞이하여 21세기를 열어나갈 새萬金 千拓綜合開發事業 기공식이 지난해 11월 28일 전북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현장에서 盧泰愚대통령, 曺京植농림수산부장관, 金榮鎭農漁村振興公私社長, 국회농림수산위원회 위원장, 전북도지사, 地域出身國會議員등 내외 귀빈과 지역 주민 2,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려 사상 최대의 간척사업으로서 첫발을 내딛었다. 이날 盧泰愚대통령은 치사를 통해 "자손만대에 물려줄 웅대한 국토확장의 첫삽을 뜨게 되어 깊은 감회를 느낀다"면서 "만경, 김제의 넓은 벌이 우리나라의 곡창으로 겨레의 삶을 보장해온 터전이었듯이 새만금의 광활한 간척지를 21세기 번영을 기약하는 땅이 되도록 하자"고 당부하였다. 새만금사업의 공사기간은 '91년부터 98년까지 외곽방조제를 완공하고 2004년까지 내부개발을 완료할 예정이고, 총 사업비 1조 3천억원을 투입하게된다. 사업지역은 1도 3군 1시 19읍면동 (전북 옥구군, 부안군, 김제군, 군산시)에 걸쳐서 40,100ha를 개발하게 된다. 주요시설로는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에서 可力島, 新侍島, 夜味島, 및 飛鷹島를 연결하는 세계 최장의 방조제 33km를 축조하고 방조제 위에는 4차선 도로를 설치하고 장항선이 군산하구둑을 경유, 이 방조제를 거쳐 고군산군도까지 갈 수 있도록 하는 철도부지도 건설된다. 이와 함께 새만금국제항을 개설, 연간 5,000만톤의 하역능력을 갖게 되고 고군산군도를 잇는 관광휴양지가 형성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