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Search Result 55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 $Computer{\cdot}Information$ ] Use Curriculum toy Information Literacy Development (정보능력 개발을 위한 컴퓨터${\cdot}$정보 이용 교육과정 -교과 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 Hahm Myung-Sh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3 no.3
    • /
    • pp.127-14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formation use curriculum for information literacy development of students. School education in information society needs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formation capabilities, and the curriculum of Information use for it. As the speed that the knowledge learned in schools became useless, has been accelerated, the importance of ability to manage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has risen Information capability means capabilities to access, analyze, apply and evaluate information through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media such as printed information, audiovisual information, electronic communication information. experiences information. The information use curriculum is to develop information capabilities to inquiry new information with his own established knowledge, settle ali information tasks and create new information.

  • PDF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Choe, Hyo-Il;Choe, Ho-Seong
    •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 /
    • v.1 no.2
    • /
    • pp.139-162
    • /
    • 1997
  •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가운데 특히 수학과 교육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초래한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두 나라의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을 비교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비교는 교육과정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찾아서 한국 교육과정의 사회적 및 개인적 적합성을 평가하고, 이후 한국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미 미국의 경우 1980 년대 들어 서면서 정보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작업에 노력해 왔으며, 한국도 1980 년대 후반부터 제 6 차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 결과, 미국은 NCTM (미국 수학교사협회)을 중심으로 새로운 수학교육의 표준을 설정하고, 향후 수학교육이 지향할 방향과 전략을 설정한 바 있다. 또한 한국은 제 6 차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통하여 1992 년에 새로운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물론 양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 범위와 대상을 폭 넓게 정할 수도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대상을 최근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NCTM 의 일련의 교육 표준화 관련 연구들과 한국의 제 6 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수학과 교육과정으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수학교육을 이해하기 위하여 1) 양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수학교육의 일반적 성격, 기본 방향 교육 목표를 비교 분석하였고, 2) 양국의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육 내용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NCTM 의 교육과정 안에 명시된 중학교 과정의 수학과 교육 목표 및 내용을 준거로 하여 한국 교육과정의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비교학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물론 한 국가의 교육과정 체제를 목표 및 내용 요소의 비교만으로 파악할 수 없다고 본다. 향후 미국과 한국의 교육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들은 내용의 조직, 방법, 평가, 그리고 운영계획 등에 관한 분석으로 확대되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수학적 문제 중심 학습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분석

  • Jeon, Pyeong-Guk;Lee, Jin-A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409-424
    • /
    • 2002
  • 정보화 ${\cdot}$ 세계화 시대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히 지식을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정보를 탐색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조해내며, 미지의 문제에 직면하였을 때 이를 자주적이며 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이에 수학 교육에 있어서도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고 1997년 12월에는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추진되어 온 제 7차 교육 과정이 확정 ${\cdot}$ 고시되었다. 제 7차 교육 과정에서는 수학적 힘의 신장을 개혁의 기본 방향으로 정하고 있는데 최근 수학 교육에서는 학습자들의 수학적 힘을 개발하기 위한 학습 방법 중의 하나로 문제 중심학습(Problem Centered Learn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일차함수 단원에 알맞은 과제를 개발하여 문제 중심 학습을 실시하였을 때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교사의 역할과 지도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중등학교 수학과에서 문제 중심 학습의 활용 방안과 과제의 개발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 PDF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방안;창업대학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Jeong, Jong-Seo;Min, Gyeong-S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01-22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여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시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먼저 국내학자들이 창업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외학자들의 창업교육에 대한 관점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으며, 미국의 창업교육대학원과 일본의 창업교육대학원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였다.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은 창업교육의 이론적 범위, 교육체계 및 실천적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기관의 교육목적 및 교육대상에 따라 세부교과목은 변경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창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특정 목적에 합당하게 체계화된 교육의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적용시킬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 PDF

수열단원을 중심으로 개인차를 고려한 교과서에 관한 연구

  • Gwon, Yeong-In;Seo, Bo-E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137-149
    • /
    • 2005
  • 수학과 7차교육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이 수준별 단계형 교육과정이다. 특히, 수준별교육과정이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이 기본형, 심화형, 보충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육과정에 따라 수학교과서가 수준별이라는 큰 틀 안에서 구성되어졌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실제 교육현장에서 현재 출판된 수학교과서에서는 이러한 교육과정의 이상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교사들이 느끼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이상을 충분히 고려한 수학교과서가 요구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부합한 러시아의 실험 교과서를 바탕으로 하여 고등학교 수학I 수열단원을 중심으로 개인차를 고려한 새로운 교과서의 한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n In-service Program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Curriculum with Changing Curriculum Development Perspective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 관점의 변화에 따른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 개발, 실행 및 평가)

  • Yoo, Tae-Myung;Lee, Soo-Hee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1 no.1
    • /
    • pp.1-1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mplement, evaluate in-service program on the practical problem focused Home Economics program. This progra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nforcement of high quality of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and to the readiness for the 2007 newly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This study was carried into by followings steps: 1.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the program design, an in-service program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2. Program implementation: The four days/30 hours in-service program was delivered in January, 2008 with 24 participants. Mentor teachers were arranged playing interface role during the program. 3. Program evaluation: Group interview was held and written evaluation was collected from participants, mentor teachers,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exper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ory relatively easier than delivered in the in-service program, to extend to a 60 hours program includes more activity and workshop, and to develop in-service programs for the beginner and the advanced groups separately.

  • PDF

컴퓨터를 통한 창의력 수학 프로그램 개발

  • Jo, Han-Hyeok;An, Jun-Hwa;U, Hye-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625-63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LOGO를 개발한 Papert의 철학에 따라 아동이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는 Microworld를 통해 수학을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고, 아동에 맞게 수학을 재구성하여 제공한다는 적극적인 교육적 배려에서 정규교육과정(교실), 특기적성, 자기 주도 학습 등 다양한 학습 환경에 가능한 컴퓨터 창의력수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많은 관심에 비해 창의력 교육이 구체적으로 학습과 관련되어 있지 않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따라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컴퓨터 교육 역시 한글 워드나 Excel과 같은 기능 위주의 학습으로 컴퓨터 학습에서 기대하는 알고리즘 학습은 소홀히 다루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창의력 교육과 컴퓨터 교육에 대한 문제점에 주목하여 학교 교과과정과 연계된 컴퓨터 알고리즘 학습과 수학 학습이 함께 가능한 컴퓨터를 통한 수학적 창의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학교 교과과정에 연계하여 컴퓨터 알고리즘 학습과 수학적 창의력 향상에 적합한 매체로 LOGO 마이크로월드를 택하고, 이를 이용한 컴퓨터 창의력 수학 프로그램이 가지는 특징을 살펴본다.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은 검증을 위해 봄학기 초등학교에서 실험연구가 계획되어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서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Sung-Ju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2 no.3
    • /
    • pp.271-292
    • /
    • 2011
  •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s a important role of today's school libraries. S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and textbook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role of school libraries more firm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new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published in 2011. For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instructional media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fter all, this study presented the textbook's development progress, curriculum, contents and method of application.

Connectivism and New Direction of SW Education (커넥티비즘과 SW 교육의 새로운 방향)

  • Kim, Dong Man;Lee, Tae 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1a
    • /
    • pp.103-104
    • /
    • 2018
  • 이 연구는 디지털 네트워크 세상으로 인한 새로운 학습이론인 커넥티비즘을 알아보고 SW 교육이 나가야할 방향을 알아보았다. 커넥티비즘에서 학습은 지식이나 정보를 연결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학습자가 기존에 알고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끊임없이 연결하거나 단절시키는 과정이 반복된다고 말한다. 커넥티비즘에 따른 SW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면, 1)SW 학습 목표는 지식의 연결과정으로 다양성과 가변성을 내포하여 설정하고, 2)현재 정보 교과서 개발 체재의 변화와, 3)협업과 네트워킹이 강조되는 도구를 활용한 SW 교육 활동을 지향하며, 4)교육 비용 절감을 위한 적시학습(just-in-time learning) 지향 및 5)SW 교육 목적에 합리적 의사결정을 통한 연결 지식 배양 역량을 추가하고, 6)문제 해결학습 보다는 문제발견학습을 중시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 PDF

교육 현장 연구의 통계적 문제에 관한 고찰

  • 김상룡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 no.2
    • /
    • pp.125-136
    • /
    • 1997
  • 교육의 장에서 많은 교사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 현실의 상태를 올바로 파악하여 현장에 응용하고, 새로운 교육 기법을 개발하여 교육의 질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들은 연구 목적을 정하고, 그에 합당한 측도(measure)를 개발하고, 실험을 설계하고, 가설에 맞는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여 결론을 도출하여 재투입(feed-back)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해서 새로운 교육 개선 안이 나오고, 이를 토대로 올바르고 바람직한 방향의 교육이 실현되게 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