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새로운 공간언어

Search Result 92,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eographical SQL: a Spatial Query Language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공간 질의어 Geographical SQL의 설계 및 구현)

  • 이민재;이영구;송주원;황규영;김장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126-128
    • /
    • 1998
  • 지리정보시스템은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통합하여 다루는 시스템이다. 오늘날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시스템의 질의 언어는 비공간 데이터만을 잘 다룰 뿐, 공간 데이터는 다루지 못한다. 그러므로 지리정보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질의어를 사용할 수 없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해서는 공간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새로운 공간 질의언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질의의 특징을 실펴보고 공간 질의어가 갖추어야 할 필요조건을 도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공간 질의어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기조의 질의어에 공간 객체와 공간 연산자를 서술할 수 있으며 하부 시스템에 구현된 공간 색인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공간 스캔과 공간 조인 방법을 활요하여 빠른 공간 질의 성능을 보인다.

A New Metric Space for Words : Corpusgram (단어들을 위한 새로운 메트릭 공간 : 코퍼스그람)

  • Lee, Ho-Suk;Kim, Yung-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185-188
    • /
    • 2007
  • 본 논문은 코퍼스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을 빈도수에 따라서 적절하게 표시하고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새로운 메트릭 공간(metric space)에 대하여 논의한다. 일반적인 Cartesian 좌표 평면은 단어와 빈도수를 표시하는데 불편한 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빈도수에 기반 한 새로운 좌표 평면과 정보 이론에 기반 한 새로운 거리 계산 방법을 제시하여, 코퍼스 기반 언어 처리에 필요한 계산을 더욱 적합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Lexical analysis for computer chatting language (컴퓨터 통신어의 어휘 유형 체계)

  • 김윤식;나동열;한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396-400
    • /
    • 2004
  • 가상공간에서의 정보교류가 늘어나면서 컴퓨터 통신언어도 자연어처리의 새로운 연구 분야로 등장하였다. 가장 일상화된 컴퓨터 통신어이며 인터넷상의 실시간 대화어인 채팅언어는 신속한 정보 전달 매체의 기능과 문자언어로서 정보교류와 대화 상황을 함께 내포해야 하는 문어와 구어의 양면성을 동시에 가는 언어이다. 이러한 특수성으로 컴퓨터 통신언어의 경우 발화자의 개성에 따라한 의미의 단어도 표기법이 다양하여 어휘수가 매우 많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어휘를 컴퓨터로 처리하기 위한 어휘의 유형을 체계화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 Visual Specification Language for Process Algebra (프로세스 대수를 위한 시각화 명세 언어)

  • On, Jin-Ho;Woo, Su-Heong;Lee, Moon-K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193-196
    • /
    • 2011
  • 공간적으로 다양하게 재구성되며 이동하는 분산/이동/실시간 시스템을 명세 및 분석하기 위한 기존의 프로세스 대수들은 명세/분석 과정에서 텍스트 기반의 명세 언어를 사용한다. 이로 인하여 프로세스 사이의 이동성과 프로세스들의 공간적 분포를 대한 명세 및 분석 방법은 매우 큰 복잡도가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반 프로세스 대수를 시각적인 형태로 표현하는 다양한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시각화 언어들은 시스템의 특정 상태를 명세하거나, 시스템의 속성을 공간적 분포와 링크정보로 분리하는 방법들이 사용되었지만, 명세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전체 행위에 대한 효율적인 명세 방법이 존재하지 않고, 시각화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텍스트기반의 프로세스 대수와 병행되어 사용되어야만 하는 제약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제약들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 대수를 위한 새로운 시각화 언어인 Onion Visual Language를 제안한다. Onion Visual Language는 프로세스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동과 상호작용 등의 전체 행위를 원형의 양파껍질과 같은 형태로 표현하며, 각 프로세스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행위들의 관계를 액션으로 표현한다. 또한, 계층화된 프로세스 구조, 프로세스의 상태정보, 프로세스의 미래 행위 정보, 비결정적 행위정보를 포함하여 매우 복잡한 시스템의 특징을 효율적으로 명세/분석 가능하도록 하였다.

Space Image and Preference of Stylish Hotel -Focusing on Verbal Image and Color Image of 'Stylish'- (스타일리시 호텔의 공간이미지와 선호도 -스타일리시의 언어이미지와 색채이미지를 중심으로-)

  • Jang, Mi-Jeong;Jang, Young-Soon;Rhie, Jin-Mi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4 no.1
    • /
    • pp.49-58
    • /
    • 2011
  • This study is the one on space image and preference of stylish hotels. And in addition to them, it is the one to verify the minimal style arrangement in the survey results about verbal image and color image of stylish according to gender and age which are the precedent studies. The research result has found that there was no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gender and age. And the result which extracted the representative languages to investigate correlationship between space image and verbal image of stylish has done that you feel that space image is stylish recognizing individual, sensuous, simple and urban characteristics. Also, space image and preference has done that there are B Hotel of Robby space, C Hotel of food and drink space and A Hotel of room space and color image and preference has done that there are respectively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and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They are the same result with the minimal style arrangement which was recognized as the most stylish things in the precedent studies. It h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recognize space image of Stylish hotels as refined, sensuous and individual one linguistically and space of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and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as the stylish thing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new design directions for stylish space display and design marketing.

  • PDF

Methodology of Online Survey Questionnaire based on Webgame towards Spacial Color Combination and Affective Word (웹게임 기반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론 -공간배색과 감성언어를 중심으로-)

  • Kang, Seung-Mook;Kim, Hae-Yoon;Park, Kyeong-Su;Park, Young-S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7
    • /
    • pp.133-14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one of effective online questionnaire methods by using web based games. The research examines the interrelation between space design element and emotion language in the background actually used in the web games, and suggests new questionnaire method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insincere answers which is the limitation of online questionnaire methods. The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ed references, and compare the merits and demerits between printed and online text based questionnaires. Then it suggests the on-line questionnaire methods based web games which can improve errors of the demerits. The emotional words and phrases database is embodied by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words and four spaces such as a dwelling, a tradition, a commerce and a fantasy based on the position decision value of Gaussian distribution. The paper suggests to be utilized for a population calculability system such as a consumers preference test.

Preliminary Study of the Communicating Method Using Avatar Language With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에서 화신화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검토)

  • 장혜련;아오키요시나오;김상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499-501
    • /
    • 2003
  •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이란 우리 주변환경에 내재되어 모든 사물 및 사람에 보이지 않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새로운 공간을 말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정보화 사회의 차세대 키워드로 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가고 있다. 지금의 개인용 컴퓨터 사용으로부터 차세대의 유비쿼터스 컴퓨터 사용으로 전환하기에는 지금의 컴퓨터사용법을 토대로 하는 인간과 유비쿼터스 컴퓨터의 교류가 필요하다. 인간과 전기기기 혹은 옷과 빌딩과 같은 모든 사물간의 교류는 기존의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이종 언어 통신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는 아바타를 가상공간 이외의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이라는 새로운 공간으로 전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생활중의 컴퓨터 환경과 구별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터환경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하는 방법으로 화신화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 PDF

Word Classification and Data Structure for Korean Morphological Analysis (한국어 형태소 분석을 위한 단어 유형 분류와 자료구조)

  • Kang, Seung-Shi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241-245
    • /
    • 1996
  • 한국어 정보처리 시스템은 유형별로 다양한 형태의 형태소 분석 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이를 위하여 한국어의 단어 유형을 분류하고 형태소 분석 결과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자료구조를 제안한다. 형태소 분석에 필요한 단어 유형은 일반적인 유형과 단순화된 유형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형태소 분석을 위한 새로운 단어 구성 전이도를 제시하였다. 형태소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자료구조는 HAM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료구조를 기반으로 응용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완하고 저장 공간의 효율성을 개선하였다.

  • PDF

1960's Acting Method of Experimental Theater (1960년대의 실험극 연기 메소드 연구)

  • Park, Ho-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1
    • /
    • pp.184-191
    • /
    • 2009
  • Ideas regarding acting among new theater groups In the 1960s can be summarized in two major trends. The first trend was characterized with the pursuit of identity in a play. The second trend was characterized with the pursuit of creating a play that strongly and passionately explores internal human reality. In their pursuit of the goal of the second trend, they shockingly and strongly destroyed anything by rising in revolt against the existing spatial language. They believed that acting beyond acting as pursued by Stanislavski is not to implant a new type of human, but to develop the self hidden within the actor or to remove the actor's mask. Based on such recognition, the first thing that actors have to do is to remove or break free from the shell or skin that surrounds them. Accordingly, they sought a method that helped them act while taking off their shell or mask during acting and finally got the answer from "improvisation." One thing with improvisation is its way of stimulating the unconscious world of the actors in order to allow them to strongly express the hidden instinctive emotion from deep within them.

LSTM based Language Model for Topic-focused Sentence Generation (문서 주제에 따른 문장 생성을 위한 LSTM 기반 언어 학습 모델)

  • Kim, Dahae;Lee, Jee-H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17-20
    • /
    • 2016
  • 딥러닝 기법이 발달함에 따라 텍스트에 내재된 의미 및 구문을 어떠한 벡터 공간 상에 표현하기 위한 언어 모델이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이를 통해 자연어 처리를 기반으로 하는 감성 분석 및 문서 분류, 기계 번역 등의 분야가 진보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언어 모델들은 텍스트에 나타나는 단어들의 일반적인 패턴을 학습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문서 요약이나 스토리텔링, 의역된 문장 판별 등과 같이 보다 고도화된 자연어의 이해를 필요로 하는 연구들의 경우 주어진 텍스트의 주제 및 의미를 고려하기에 한계점이 있다. 이와 같은 한계점을 고려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LSTM 모델을 변형하여 문서 주제와 해당 주제에서 단어가 가지는 문맥적인 의미를 단어 벡터 표현에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 학습 모델을 제안하고, 본 제안 모델이 문서의 주제를 고려하여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