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황 인식 및 공유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for Environment Teaching Unit (환경단원 수업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설계 및 적용)

  • Park, Soo-Ky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5 no.4
    • /
    • pp.205-21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the coaching strategies for the problem based learning and examine 'the problem situation' to analyze the process of learning as it applies to the students' perception on problem based learning. The steps of this model were as follows: 1) presentation of the problem situation 2) confrontation of the problem 3) know/ need to know 4) definition of the problem statement 5) collection and sharing of information 6)generation of possible solutions 7) assessment of the best fit of solutions 8) presentation of the solution. Problem-based learning steps and coaching strategies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to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environment teaching uni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group discussion in the know/need to know step was most helpful for students to review what they know and generate solutions. At first students tend to state problems widely but through repeated group discussions they gradually clarified the problems. In the students' personal reflection notes and perception questionnaire of problem-based learning, many students especially showed difficulties in defining the problem statement. In contrast they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learning process and express their opinions enthusiastical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developing problem situation based on real context is of great importance for implementing a problem based teaming model continuously.

A Study on Building Knowledge Base for Intelligent Battlefield Awareness Service

  • Jo, Se-Hyeon;Kim, Hack-Jun;Jin, So-Yeon;Lee, Woo-S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4
    • /
    • pp.11-17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build a knowledge base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or intelligent battlefield awareness service. The current command and control system manages and utilizes the collected battlefield information and tactical data at a basic level such as registration, storage, and sharing, and information fusion and situation analysis by an analyst is performed. This is an analyst's temporal constraints and cognitive limitations, and generally only one interpretation is drawn, and biased thinking can be reflecte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aware the battlefield situation of the command and control system and to establish the intellignet decision support system.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build a knowledge base specialized in the command and control system and develop intelligent battlefield awareness services based on it. In this paper, among the entity names suggested in the exobrain corpus, which is the private data, the top 250 types of meaningful names were applied and the weapon system entity type was additionally identified to properly represent battlefield information. Based on this, we proposed a way to build a battlefield-aware knowledge base through mention extraction, cross-reference resolution, and relationship extraction.

An Analysis of Marine Casualty Reduction by SMART Navigation Service: Accident Vulnerability Monitoring System (SV10)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에 따른 해양사고 저감 효과 분석 -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 서비스(SV10)를 중심으로 -)

  • Hong, Taeho;Jeong, Gyugwon;Kim, Geon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5
    • /
    • pp.504-510
    • /
    • 2018
  • Marine casualties are caused mainly by collisions and grounding, due to human error. The SMART Navigation Service is preparing a measure to reduce marine casualties caused by human error and establish an LTE Accident Vulnerability Monitoring System (SV10) to evaluate the danger of collision or grounding for a vessel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on land. This service will also share real-time vessel locations and danger information with related agencies to enable them to respond more quickly to accidents on land. In this study, statistical reports on marine casualties and investigation reports provided by the Korea Maritime Safety Tribunal are analyzed, so the percentage of marine casualties that could be reduced using the SV10 service could be identified.

Proposal of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ROK military data strategy and shared data model through the US military case study (미군 사례 고찰을 통한 한국군 데이터 전략 및 공유 데이터 모델 개발방안 제안)

  • Lee, Hak-rae;Kim, Wan-ju;Lim, Jae-s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6
    • /
    • pp.757-765
    • /
    • 2021
  • To carry out multi-domain operations included in the U.S. Department of Defense's national security strategy in 2018, timely data sharing between C4I systems is critical. Several studies of the Korean military have also raised the problems of interface and standardization between C4I system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plan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study, a solution to the problem was derived through case analysis that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has been pursuing for about 20 years to implement the data strategy after establishing the data strategy in 2003. and by establishing a data strategy suitable for the ROK military C4I system operating environment, developing a data model, selecting a standard for data sharing, and proposing a shared data development procedure, we intend to improve the data sharing capability between ROK military C4I systems.

Lessons from Data Repository 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 Building Experience (데이터 리포지토리 GDR 구축 경험과 교훈)

  • Han, J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0-100
    • /
    • 2017
  • 100년의 역사를 지닌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국내 유일의 지질자원 전문연구기관으로서 그간 생산한 조사 연구데이터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귀중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큰 유산으로써 보존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KIGAM의 상황은 최종성과물 위주로 자료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사 연구 과정에서 생산된 암석 토양 지하수샘플이나 조사 탐사장비를 통해 얻어지는 자료는 연구자 또는 연구실 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관리체계는 자료의 공동 활용이 어렵고,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연구자의 퇴직이나, 조직개편으로 인한 팀 실의 분리 과정에서 자료의 손실과 훼손 가능성이 높고, 누가 어디에 어떤 자료를 무슨 형태로 보관하고 있는지 찾기 어려워 자료의 재활용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중복 조사 연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KIGAM은 지질자원분야 국가데이터센터 구축을 목표로 연구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유, 활용체계 구축을 위해 2015년도에 기획사업을 통해 중장기 로드맵을 포함한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DataNest를 기술이전받아 지질자원 연구데이터 리포지토리 시스템(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를 개발하였다. GDR 시스템 개발을 위해 연구데이터 분류코드를 작성하였으며, 2016년부터 데이터관리계획(DMP: Data Management Plan)을 주요사업 연구계획서 양식에 포함시켜 제출하도록 하였다. 과거 KIGAM은 연구데이터를 수집, 관리하기 위해 몇 차례에 걸쳐 시도를 했지만 실패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실패 요인에는 (1) 관련 정책, 제도, 조직, 인력, 예산 등 데이터 관리 인프라 부재, (2) 연구사업에서 생산된 데이터는 개인소유라는 인식 및 공유 의식 부족, (3) 데이터 관리 활동은 귀찮은 것이고, 시간 낭비라는 인식, (4) 데이터 관리 공개 공유 활동에 대한 보상체계 부재 등을 꼽을 수 있다. 즉, 제도를 포함한 인프라 부족과 경영진과 구성원의 인식부족이 제일 큰 원인으로 판단된다. 성공적인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꾸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경영진의 의지에 따라 사업이 중단되기도 한다. 이러한 과거의 실패 요인에 대한 해결 없이 지난 1년 6개월 정도의 GDR 운영은 지지부진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 즉 국가 R&D 성과물 관리차원에서 연구데이터를 주요 성과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사업계획서에 DMP를 포함시키고, 연구주제 및 분야별로 데이터센터(혹은 데이터 리포지토리)를 지정하고, 국가 R&D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센터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연구사업비 항목에 데이터 관리비를 신설하여 데이터센터의 운영비로 사용하도록 하면 예산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데이터 제출 및 인용도에 따라 데이터 생산부서 혹은 생산자에게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등 보상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 R&D 연구데이터의 수집, 관리, 공유, 활용을 제대로 성공시키려면 국가 R&D 최고정책결정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수적이다.

  • PDF

An Agro-ICT Convergence Model for Smart Agricultural Service Based on IoT (IoT기반의 지능형 농업서비스를 위한 농업ICT 융합 모델)

  • Kwak, Kyunghun;Kim, Hong-geun;Cho, Kyongryong;Park, Jangwoo;Cho, Y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1033-1035
    • /
    • 2015
  • 최근, IT기술과의 융합은 전 산업 분야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며, 기후 및 환경변화와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함께, 농축수산업 분야에서의 ICT융합 연구 시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농업환경에서의 생산성 향상 및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상황정보 기반 연구와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지능형 서비스 제공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장비 및 센서가 컴퓨팅 장비와의 네트워킹을 통해 식물공장 및 유리온실과 같은 시설농업환경에서 지능형 농업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농업ICT 융합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서비스 융합모델은 센서를 통해 획득한 다양한 상태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상황정보 모델과, 이를 장비와 센서간에 공유된 지식으로 표현하고 활용하기 위한 온톨로지 모델을 사용한다. 제안하는 서비스 융합 모델은 농업ICT 융합 환경에서의 IoT기반 지능형 서비스를 위한 향후 관련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A method of web Document Encoding Automatic Recognition for SNS Text Mining (SNS 텍스트 마이닝을 위한 웹문서 인코딩 자동 인식 기술 방안)

  • Mo, Eun-Su;Lee, Jae-Pil;Lee, Jae-Gwang;Lee, Jun-hyeon;Lee, Jae-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415-417
    • /
    • 2015
  • 사용자는 자신의 주변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공유하기 위하여 SNS, 포탈사이트 및 커뮤니티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정보 수집 아이디어와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각각의 웹 시스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광범위한 지역정보를 마이닝을 수행하고 가공해내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해결해야하는 이슈는 다음과 같다. 각 웹시스템의 문서들은 운영 체제에 따라 인코딩이 달리 사용되는데, 흔히 발생되는 오류 중 하나인 문자깨짐 현상이 그 예이다. 해결방법으로써 문서가 작성된 운영체제의 인코딩정보를 획득해야하며, 이 정보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헤더정보에 명시되었거나 문서내에 내장되어 있다. 하지만 일부 웹사이트는 인코딩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국가별 인코딩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알기 쉽지않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은 텍스트 마이닝에 앞서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읽어들여 인코딩정보를 획득하고, 문자의 깨짐없이 표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Response Header, HTML의 meta tag 및 읽어드린 문서의 BOM(Byte Order Mark) 정보 및 인코딩 패턴을 통해 인식하도록 하여 글자 깨짐을 완하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사회적 기업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Lee, Ha-Yeon;HwangBo, 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77-180
    • /
    • 2018
  •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경제가 급속도로로 발전했으나 변화하는 과정에서 여러 사회문제들이 발생했다. 저 출산 및 고령화, 환경오염, 실업률 증가, 지역 사회 붕괴, 사회적 가치 창출 및 공유 미흡등 사회적인 약자가 증가하고 그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해지면서 사회적 서비스가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사회적 기업은 영리기업과 비영리 기업의 중간 형태로,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재화/서비스의 생산 및 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을 말한다.(사회적기업진흥원, 2017) 사회 전반적으로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기업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전들은 많다. 하지만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기업 창업을 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현재 대학생, 대학원생들의 사회적 기업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사회적 기업 창업과 벤처 창업 의지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사회적 기업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으로는 개인적 특성(위험 감수성, 혁신 추구성, 진취성, 사회가치지향성), 사회문제 상황인식(문제인식, 관여도), 대학의 사회적 기업 정보등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요인을 바탕으로 국내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가설을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사회적 기업을 창업? 잠재적인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의 창업을 도와주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며, 사회적 기업 창업에 관한 연구 확산에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uthority Delegation Scheme for Secure Social Community Creation in Community-Based Ubiquitous Networks (커뮤니티 기반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안전한 커뮤니티 생성 권한 위임 방안)

  • Roh, Hyo-Sun;Jung, Sou-Hwa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7 no.1
    • /
    • pp.91-98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uthority delegation for secure social community creation and mutual authentication scheme between the community members using proxy signature in community-based ubiquitous networks. In community-based ubiquitous network, User's context-awareness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used to provide context-awareness network service and application service for someone who need it. For the many reason, i.e. study, game, information sharing, business and conference, social community could be created by members of a social group. However, in community-based ubiquitous network, this kind of the context-awareness information could be abused and created by a malicious nodes for attack the community. Also, forgery community could be built up to attack the community members. The proposed scheme using the proxy signature provides a mutual authentication and secure secret key exchange between community members, and supports secure authority delegation that can creates social community. Also, when delegation of signing authority and mutual authentication, this scheme reduces total computation time compared to the RSA signature scheme.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을 위한 컴퓨팅 미들웨어 기술의 설계

  • 김정기;신창민;유석대;박승민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0 no.5
    • /
    • pp.645-656
    • /
    • 2003
  • 최근에 정보 산업과 이동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를 넘어 컴퓨터의 개념이 매우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이동 정보 단말 형태의 PDA, HPC(hand-held PC), 휴대폰 등이 개발되었고, 셋탑박스(set-top box), 지능형 디지털 TV, 인터넷 냉장고 등의 정보가전은 임베디드 운영체제(embedded OS)를 내장하여 컴퓨터로 발전하고 있으며, 제어 및 계측 기기들도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내장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렇게 새롭게 확장된 컴퓨터 시스템들은 인간 생활의 편리성과 다양성을 위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하여 언제 어디서나 통신 및 컴퓨팅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킹(Ubiquitous Networking)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에서 필요한 컴퓨팅 미들웨어(Middleware) 기술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미들웨어 기술을 설계한다. 이러한 미들웨어 기술은 편재(遍在)되어 있는 컴퓨팅 장치를 상호 이용하기 위해 컴퓨터의 환경을 탐지하여 저장하고 재이용하는 상황 인식 기술, 편재된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면서 정보를 전달하는 Ad-hoc 네트워킹과 동적 라우팅 기술, 그리고 정보 전달을 위해 제어 코드와 데이터를 패킷 (packet) 형태로 전달하는 협력 메시지(Cooperative Message) 기술 등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