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호네트워킹

Search Result 106,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n Efficient Mobile Robot Path Planning for Considering Traffic Flow in Multi-Robot Environment (멀티로봇 환경에서 트래픽량을 고려한 효율적인 이동로봇 경로계획 기법)

  • Kim, Young-Duk;Kim, Jin-Wook;Kang, Won-Seok;An, Jin-Ung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9.05a
    • /
    • pp.363-365
    • /
    • 2009
  • 대부분의 이동 로봇은 효율적인 경로계획을 위하여 최단거리 및 최소비용을 갖는 경로를 선택한다. 그러나 다수의 로봇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이웃하는 로봇 상호간에 동적 장애물로 인식되어 주행성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트래픽량이 거의 없는 환경에서는 무선 통신의 전송거리 제한으로 이동 로봇간 네트워킹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적당한 거리의 이웃 로봇들과 협업을 위한 네트워킹을 하면서 동적인 경로계획 및 주행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A* 알고리즘을 수정하여 로봇의 동적인 트래픽을 고려한 경로계획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을 이용하여 경로설정과정에서의 로봇 상호간 병목현상을 완화시키며, 일관된 협업 통신도 유지할 수 있다. 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이 동적인 트래픽을 고려하여 경로를 선택함을 보인다.

  • PDF

게임엔진연재 / 서버엔진, 온라인게임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

  • Kim, Hyeon-Bin
    • Digital Contents
    • /
    • no.8 s.123
    • /
    • pp.118-121
    • /
    • 2003
  • '서버 엔진'이란 네트워크를 통한 대규모 사용자들 간의 상호작용이 요구되는 게임(대표적인 것으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갖는 온라인게임)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적인 기능인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네트워킹 기능 외에 기타 다양한 성능 최적화 기능들과 관련 API들을 제공하는 엔진이다.

  • PDF

The audience's reaction effect based on vicarious emotional experiences and creative rhetorical expressions of the networking media platforms (네트워킹 미디어 플랫폼의 대리적 감정 경험과 크리에이티브의 수사적 표현 방식에 따른 수용자 반응 효과)

  • Choi, Hyuck-S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4
    • /
    • pp.113-123
    • /
    • 2021
  • This study involves an experiment aimed to reveal the communicative effects by different types of visual expressions in SNS advertisements. This study analyzes consumers' dynamic responses to vicarious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 creative rhetorical expressions of networking media platforms through experiments that sample university students. The vicarious emotional experiences of networking media platform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ers' subsequent reactions. The greater the vicarious emotional experiences are, the more positive this effect is. There is a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between consumers' vicarious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 rhetorical creative types of targeted media.

Internet Service Paradigm Shift Driven by Emergence of Open Social Networking Service: Focusing on Facebook (개방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플랫폼 출현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 : Facebook을 중심으로)

  • Yoon, Young-Seog;Choi, Mun-Kee;Kim, Sang-Kwon;Lee, Hyun-Jin;Cho, Kee-Sung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 no.1
    • /
    • pp.29-48
    • /
    • 2011
  • Recently not only industry but also academy have shown an intense interest in social networking service. However, reckless imitation will not guarantee the successful eco-system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without rich understanding of growth driver and business model. Henc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open platform strategy and business model conducted by a representative social networking service provider in order to provide platform operator, network operator, and portal provider with meaningful implications. Advertisers may pay great attention to social networking service because it has strong ability to provide users with spontaneous motivation to manage and update their profile, and these valuable information can be utilized for providing personalized advertisement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As a result, one side of consumers in two side market, advertisers, tend to pay more expenditure to place advertisements. In addition, the open platform adopted by social networking service providers causes pro-sumers to participate in the eco-system, and thereby the explosive quantitative growth is realized. The fact of that this open social networking service can invade other web service area via an unified platform indicates that it may expand its service scope into a wide variety of web service areas. Hence, domestic portal services providers and network providers should consider social networking service not as one of new web services but as an disruptive service platform.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e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especially if their business area is related to display advertising market, they should seek a way to provide social networking service access users's newly updated information and develop innovative media technologies to enter context awareness ads market.

  • PDF

Trends of High Availability Networking Services (네트워킹 서비스 고가용성 기술동향)

  • Shim, J.C.;Ryu, H.Y.;Yang, S.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6
    • /
    • pp.79-89
    • /
    • 2015
  • 네트워크 분야의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장비 제조 업체들은 표준에 기반을 두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계 표준을 제정하는 대표적인 기구로 SCOPE alliance와 Service Availability Forum(SAForum)이 있으며, 이들은 상호 협력 속에 새로운 생태계 구축을 위한 시도를 꾸준히 진행해오고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이들 기구의 표준화 동향를 살펴보고, 특히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고가용성 향상을 위한 기술로 SAForum에서 제정하여 배포하고 있는 미들웨어 기술을 소개한다. 그리고 미들웨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중에서 고가용성 제어의 핵심 서비스인 Availability Management Framework(AMF)와 이의 기반이 되는 다중화 모델을 설명하고, 국외 통신장비에서 채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가용성 기술들을 살펴본다.

  • PDF

실증적인 미래인터넷 연구를 위한 미디어 중심 서비스 지향 테스트베드

  • Han, Sang-U;Kim, Nam-Gon;Cha, Byeong-Rae;Kim, Jong-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10
    • /
    • pp.27-34
    • /
    • 2010
  • 미래인터넷 인프라에 지원될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들을 실험하기 위한 노력으로, 본 고에서는 미디어 중심 서비스 지향 테스트베드에 대해 소개한다. 제안하는 FIRST@PC(Future Internet Research for Sustainable Testbed @PC) 테스트베드는 PC를 기반으로 하는 저비용 시험 환경 구축과 가상화된 컴퓨팅/네트워킹 자원들을 이용한 미디어 서비스 합성 검증을 목표로 한다. 실험 방법을 구체화하기 위해, 컴퓨팅과 네트워킹 서비스들 간에 상호작용 수준에 따라 다양한 실험 프로파일과 레벨들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테스트베드 플랫폼 구조를 제시한다. 최종적으로 구축된 시범 테스트베드 상에서 HD 미디어 분배 실험들을 통해, 본 테스트베드의 실행 가능성을 기본적인 수준에서 검증한다.

A Design of Systems on Web_based HomeNetwork Control (웹 기반의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설계)

  • Kim, Yeong-Deok;Jo, B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987-990
    • /
    • 2003
  •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가전제품이 날로 늘어나면서 이들에 대한 상호 네트워킹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면서 홈 네트워킹이란 새로운 시장이 열리고 있는 추세이다. 실제적인 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집안에서뿐만 아니라 집밖에서도 이들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웹을 이용한 제어가 필수라 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기술은 유선, 무선 방식을 이용한 전화선, 전력선, 이더넷 구성, IEEE1394, HomeRF, 무선랜, 불르투스 둥으로 구분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이기종 장치간의 호환 및 제어 감시가 가능한 웹기반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개발을 위한 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 PDF

Home-Gateway connecting module (홈게이트웨이 하드웨어 접속모듈 구현)

  • Lee, Sang-Won;Kim, Yong-Ho;Lee, Sang-Ha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11c
    • /
    • pp.390-393
    • /
    • 2001
  • 집안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이 점차 늘어나고 또한 이들 가전에 대한 상호 네트워킹의 필요성이 절실해지는 요즘 홈 네트워킹의 시장이 점차 열리고 있는 추세이다. 실제적인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집안에서뿐만 아니라 집 밖에서도 이들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홈 게이트웨이의 구성이 필수라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집안까지 들어오는 통신라인이 있어야 하는데 지금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전화선과 케이블 망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케이블 망을 이용한 홈 게이트웨이의 접속모듈을 구현하여 가정에서도 쉽게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게 하였다.

  • PDF

Smart Mobile Services - M2M Technology and Its Standardization Trends (스마트모바일 서비스 - M2M 기술 및 표준 동향)

  • Yoo, S.K.;Hong, Y.G.;Kim, H.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2
    • /
    • pp.50-60
    • /
    • 2011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개인용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컴퓨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킹 및 인터넷 환경을 컴퓨터를 포함한 스마트폰, 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와 같이 이동이 가능한 소형의 기기를 중심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연산, 통신 및 네트워킹 기능이 가능한 소형 장치들은 정보화 기기뿐만 아니라 계량기, 온도계와 같은 일반적인 사물에도 부착될 수가 있다. 사물에 부착된 이러한 소형 장치들은 사물의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게 해주거나 사물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의 상호 공유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사물에 부착된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사물이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사물간에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개념 및 기술을 지칭하는 용어로 IoT, M2M 및 사물지능통신 등이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사람 대 사람, 사람 대 사물뿐만 아니라 사물 대 사물간의 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해져 모든 객체간의 정보 공유가 가능해지며 이는 미래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사회로 진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술 요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ervice Discovery Scheme Design Using Mobile Agent in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커터스 환경에서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법 설계)

  • Kim, Kyung-In;Sun, Seung Sang;Eom, You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09-612
    • /
    • 2004
  • 유비쿼터스 환경은 인간이 생활하는 각종 기기들에 컴퓨팅 능력과 네트워킹 능력을 가지고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을 말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되기 위해서는 컴퓨팅 인프라 및 네트워킹 인프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 프레임워크가 지원되어야 한다. 여러 서비스 프레임워크에서 중요한 한가지로 서비스 및 자원에 대한 디스커버리 엔진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디스커버리 기법을 제안한다. 본 기법을 이용하면 빠른 서비스의 검색뿐만 아니라 서비스 목록들의 일관성을 유지해 높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