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한계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4초

가솔린탱크의 위험성평가를 위한 노말헵탄의 연소특성치 측정 및 고찰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of Combustible Properties of n-Heptane for Risk Assessment of Gasoline Tank)

  • 하동명;정기신;이성진;조용선;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76-81
    • /
    • 2010
  • 노말헵탄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25^{\circ}C$에서 폭발한계와 폭발한계 온도의존성 그리고 하부인화점을 고찰하였다. 또한 발화지연시간에 의한 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노말헵탄의 폭발하한계는 1.0Vol%, 상한계는 7.0Vol%를 추천하였고, 하부인화점은 $-4^{\circ}C$를 추천하였다. ASTM E659-78 장치를 사용하여 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여기서 측정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225^{\circ}C$였다. 그리고 노말헵탄의 새로운 폭발한계 온도의존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식은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에틸벤젠의 연소특성치 측정 및 예측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ombustible Properties for Ethylbenzene)

  • 하동명
    • 에너지공학
    • /
    • 제23권4호
    • /
    • pp.169-175
    • /
    • 2014
  • 에틸벤젠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 폭발한계는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으며, 인화점과 발화지연시간에 의한 자연발화온도는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화점의 경우 밀폐식 장치인 Setaflash와 Penski-Martens에 의한 하부인화점은 각 각 $20^{\circ}C$$22^{\circ}C$로 측정되었으며, 개방식인 Tag와 Cleveland에서는 각 각 $25^{\circ}C$$28^{\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를 사용하여 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최소자연발화온도는 $430^{\circ}C$로 측정되었다. 에틸벤젠의 측정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폭발하한계와 상한계는 0.93 Vol.%와 7.96 Vol.%로 계산되었다.

디노말부틸아민의 연소특성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ombustuion Properties of di-n-Buthylamine)

  • 하동명
    • 에너지공학
    • /
    • 제28권4호
    • /
    • pp.42-47
    • /
    • 2019
  • 본 연구에는 유화제, 살충제, 첨가제, 고무 가황 촉진제, 부식 억제제제 및 염료 생산의 원재료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디노말부틸아민(di-n-buthylamine)을 선정하여 연소특성치를 측정하였다. 디노말부틸아민의 인화점은 밀폐식 Setaflash와 Pensky-Martens 그리고 개방식 Tag, Cleveland 장치로 측정하였고, 연소점은 개방식 장치를 이용하였다. 최소자연발화온도(AIT)는 ASTM 659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디노말부틸아민의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Setaflash와 Pensky-Martens에 의한 인화점은 38 ℃와 43 ℃로 측정되었고, Tag와 Cleveland는 각각 48로 동일하게 측정되었다. 디노말부틸아민의 AIT는 247 ℃로 측정되었다. Setaflash에서 측정된 인화점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0.69 vol%, 상한계는 7.7 vol%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화점 측정과 폭발한계의 예측 방법은 다른 가연성액체의 화재 및 폭발특성 연구에 활용이 가능하다.

톨루엔의 위험성 평가를 위한 연소특성치 측정 및 고찰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of Combustible Characteristics for Risk Assessment of Toluene)

  • 하동명;정기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76-81
    • /
    • 2010
  • 톨루엔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25^{\circ}C$에서 폭발한계와 폭발한계 온도의존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인화점과 최소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톨루엔의 폭발하한계는 1.13vol%, 상한계는 7.9vol%를 추천한다. 유통법에 의한 하부인화점은 $5^{\circ}C$, 상부인화점은 $40^{\circ}C$로 측정되었으며, Setaflash 장치에 의한 상부인화점은 $41.5^{\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78 장치에 최소자연발화온도는 $547^{\circ}C$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톨루엔의 새로운 폭발한계 온도의존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한 온도의존식은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메탄의 화재 및 폭발 위험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Fire and Explosion of Methane)

  • 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
    • /
    • 2005
  • 가연성 물질의 안전한 취급, 저장, 수송, 조작 및 공정설계에 필요한 열화학적 파라미터로는 폭발한계, 인화점, 최소자연발화온도, 최소산소농도, 연소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폭발한계와 최소자연발화온도는 가연성 물질의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특성으로 이용된다. LNG공정 안전을 위해 메탄의 폭발한계와 최소자연발화온도를 고찰하였다. 메탄의 폭발하한계와 상한계는 공기 중에서 각 각 4.8 vol$\%$와 16 vol$\%$를 추천하며, 최소자연발화온도는 전면 가열인 경우는 $540^{\circ}C$, 국소 고온표면인 경우는 약 $1000^{\circ}C$를 추천한다. 또한 메탄의 폭발한계 온도 및 압력의존성에 대한 새로운 예측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식에 의한 예측값은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 PDF

아닐린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ombustible Properties for Aniline)

  • 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50
    • /
    • 2014
  • 아닐린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 폭발한계는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으며, 인화점과 발화지연시간에 의한 자연발화온도는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화점의 경우 밀폐식 장치인 Setaflash와 Penski-Martens 에 의한 하부인화점은 각 각 $66^{\circ}C$$73^{\circ}C$로 측정되었으며, 개방식인 Tag와 Cleveland 에서는 각 각 $72^{\circ}C$$78^{\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를 사용하여 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최소 자연발화온도는 $590^{\circ}C$로 측정되었다. 아닐린의 측정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폭발하한계와 상한계는 1.16 Vol.%와 8.36 Vol.%로 게산되었다.

Meta-Gaussian 방법을 이용한 강우-유출 모형에서의 불확실성 산정 (Evaluation of the Uncertainties in Rainfall-Runoff Model Using Meta-Gaussian Approach)

  • 김병식;김보경;권현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9-64
    • /
    • 2009
  • 홍수나 가뭄 등 극한 사상을 예측하여 재해에 대비하거나 또는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배분하기 위하여 강우-유출 모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수문학자들은 강우-유출 모형이 가질 수밖에 없는 불확실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실제 유역에 내린 강우는 증발과 증산, 차단, 침투 등 여러 과정을 거쳐 유출로 이어지는데, 모형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물리적 과정을 단순화하여 표현하였으므로 불확실성이 반드시 존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모형으로부터의 모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강우-유출 모형의 불확실성을 평가한 선행 연구 중 Montanari와 Brath(2004)가 제시한 Meta-Gaussian 기법을 이용하여 강우-유출 모형 모의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검토하였다. 이 기법은 모형 오차의 확률 분포형으로부터 신뢰구간의 상한계와 하한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수문모형의 전역적 불확실성(Global Uncertainty)을 정량화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강우사상에 대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인 $Vflo^{TM}$ 모형과 개념적 준 분포형 모형인 HEC-HMS 모형으로부터 모의된 유출량을 Meta-Gaussian 기법을 적용하여 불확실성을 분석하였다.

  • PDF

안전한 수소 이용을 위한 연소특성치 고찰 (Investigation of Combustion Properties for Using Safe Hydrogen)

  • 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
    • /
    • 2008
  • 대부분의 가스공정의 안전한 설계와 조작을 위해서는 취급물질의 확실한 폭발한계, 인화점, 최소자연 발화온도, 최소산소농도 등을 알아야하고, 또한 고온 및 고압에서의 폭발한계도 알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 수소의 연소특성치인 폭발한계와 최소자연발화온도를 고찰하였다. 문헌자료를 고찰한 결과 수소의 폭발하한계와 상한계는 공기 중에서 4.0 vol%와 77.0 vol%를 추천하고, 최소 자연발화온도는 전면 가열인 경우는 $400^{\circ}C$, 국소 고온표면인 경우는 $640^{\circ}C$를 추천한다. 또한 수소의 폭발한계의 온도 및 압력의존성에 대한 새로운 예측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식에 의한 예측값은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 PDF

가뭄대응 댐 운영기준을 고려한 유입량 가뭄지수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flow drought index considering the dam operation rule coping with the drought)

  • 권민성;전경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56-56
    • /
    • 2017
  • 홍수와 달리 가뭄은 장기적인 강수량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자연해로, 불확실성이 큰 장기(계절) 기상예보를 토대로 대비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가뭄의 진행상황을 관찰할 수 있는 다양한 가뭄지수가 활용되고 있다. 가뭄은 기상학적 가뭄, 농업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 사회경제학적 가뭄으로 분류되고,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가뭄의 진행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강수량, 유출량, 저수지의 저수량, 지하수, 토양수분 등 다양한 인자들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뭄지수는 평균에 대한 부족한 정도를 지수화해서 나타낸다. 하지만 우리가 가용할 수 없는 많은 양의 강수량 및 유출량(또는 저수지 유입량)이 가뭄지수를 산정하는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 이는 짧은 기간 동안 매우 많은 강수 후 가뭄이 지속 되었을 경우, 이를 정상의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가뭄지수를 통해 가뭄에 대처하기 위한 기준을 수립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우리나라의 경우 취수량의 대부분을 댐과 하천수에 의존한다. 하천수량이 댐의 방류량에 의한 의존도가 높은 현실에서 우리가 체감하는 가뭄은 댐의 용수확보와 공급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댐은 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계획된 용수공급량과 저수량 부족 시 용수공급을 조절하는 기준이 있다. 따라서 과거 관측된 유입량과 용수공급 계획량, 용수공급 조정 기준을 통해 저수지 운영을 모의하게 되면, 용수공급을 감축하는 시점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적절한 유입량의 상한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가뭄에 대비하는 댐 운영에 활용할 수 있는 가뭄지수로 활용할 수 있다. 이는 댐의 용수 공급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므로, 체감할 수 있는 가뭄전달 도구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시된 유입량 가뭄지수를 기존의 대표적인 가뭄지수와 비교하여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물이 부족한 현상을 '물부족'으로 표현하고, 강수량의 부족을 '가뭄'으로 표현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강수량 부족에 기인한 물부족을 가뭄으로 표현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가뭄에 대처해야하는 용수 관리자에게 유용할 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들에게 체감할 수 있는 가뭄정보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허프 변환을 이용한 철도 검출 (Railroad Detection Using Hough Transform)

  • 이민정;박호준;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2-49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철도선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열차의 철도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철도 영상에서 각각의 RGB 채널 값을 추출한다. 추출된 각각의 RGB 채널 값을 삼각형 타입 의 소속 함수에 적용하여 상한 값과 하한 값을 퍼지 스트레칭 기법으로 철도 영상의 명암 대비를 강조시킨다. 퍼지 스트레칭 기법이 적용된 영상에서 각각의RGB 채널 값을 이용하여 배경을 제거한 후에 그레이 영상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그레이 영상에서 캐니 마스크를 적용하여 철도선의 에지를 검출하고 에지가 검출된 영상에서 허프 변환 기법과 유클리디안 거리를 적용하여 철도를 검출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다양한 각도의 철도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철도 검출에 가능성 있는 방법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