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품태도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2초

소비자의 로하스 소비의식과 로하스 상품소비행동 (Consumer's Consciousness of the LOHAS Consumption and the Consumption Behavior of the LOHAS Products)

  • 정헌배;이일한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4호
    • /
    • pp.177-201
    • /
    • 2012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자기관, 로하스 가치, 로하스 태도 및 로하스 상품소비행동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첫째, 자기관이 로하스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둘째, 로하스가치, 태도, 상품소비행동에 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로하스 가치, 태도 및 상품소비행동 간의 인과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C대학교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 및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자기관이 로하스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상호의존적 자기관이 로하스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로하스 가치가 로하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환경친화성과 지속가능성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하스 태도가 로하스 상품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로하스 태도가 로하스 상품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로하스 가치, 태도 및 상품소비행동 간의 인과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자기관, 로하스 가치, 태도 및 상품소비행동에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심리학적 주요 변인인 자기관과 로하스 소비자와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PDF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른 소비자 태도 차이에 관한 연구 (Difference of Consumer Attitude based on Level of Product Information and Service Quality)

  • 장활식;조평총;박광오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9권3호
    • /
    • pp.127-147
    • /
    • 2010
  • 전자상거래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기업들은 세계적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니기 위해 전자상거래를 이용하여 상품판매, 서비스 제공, 고객과 소통하고자 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TAM 모형을 통한 상호관계나 선행관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좀 더 확장한 모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품정보와 서비스 제공수준은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연구가 충분치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른 소비자 태도 차이를 조망하고자 한다. 둘째, 기존에 연구가 미약하였던 상품정보제공수준 및 서비스제공수준과 기존에 인지된 가치, 인지된 위험, 구매의도와 구전의도간의 상호인과관계를 조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라 소비자 태도 차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라 소비자들이 인지된 가치, 인지된 위험, 구매의도, 구전효과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변수들간에 상호인과관계와 선행관계가 존재하였다.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 제공수준은 인지된 가치와 인지된 위험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 인지된 가치는 인지된 위험, 구매의도, 구전효과에, 인지된 위험은 구매의도와 구전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브랜드 명성과 사회비교경향성이 AI 추천 제품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 미치는 영향연구 (The Effects of Brand Repuration and Social Comparison on Consumers'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a Product Recommended by AI)

  • 이성미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1호
    • /
    • pp.67-75
    • /
    • 2024
  • 최근 검색사이트의 인공지능 기반 제품 추천 서비스의 도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제품 추천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및 광고효과를 이해하고자 브랜드의 특성과 소비자 성향에 따라 AI 상품추천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브랜드 명성(높음 vs.낮음)과 비교성향수준(높음 vs.낮음)이 AI가 추천한 상품의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브랜드 명성과 비교성향 수준은 AI가 추천한 상품의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AI 상품추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보다 세부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요인들을 검증하였으며 AI를 활용한 서비스 전략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한국에서의 윤리적 패션 소비자 행동 - 윤리적 패션 소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 (Ethical Fashion Consumer Behavior in Korea - Factors Influencing Ethical Fashion Consumption -)

  • 고애란;노지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956-1964
    • /
    • 2009
  • 국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들의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였다. 윤리적 패션은 환경을 해치지 않는 소재와 생산과정, 공정무역 등을 기반으로한 의식 있는 패션으로, 최근 들어 세계 패션계의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관련 연구도 꾸준히 행해지고 있지만 대부분 서구 사회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한국 사회의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 행동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따른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패션 상품을 한 번 이상 구매한 경험이 있는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와 윤리적 패션 상품 구매 경험이 없는 소비자 간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또한, 소비자 효과성 지각, 가치(Self-direction, Benevolence, Universalism), 사회적 책임감, 지각된 통제 요인, 체면 의식, 집단 동조 의식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의 윤리적 상품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와 향후 일반적인 윤리적 상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자료수집을 위해 2009년 4월 20일부터 6월 7일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양적 조사를 실시했고, 편의표본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윤리적 소비 혹은 윤리적 상품의 개념에 대해 알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 494명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구매한 경험이 있는 윤리적 패션 아이템은 액세서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성인의류, 아동의류, 쥬얼리, 신발 순이었다. 윤리적 패션 상품을 구매하게 된 이유는 공정하게 거래된 제품이어서, 디자인, 기부할 수 있어서, 품질, 주변인의 권유로 등이 있었다.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와 아닌 소비자 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윤리적 패션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아닌 소비자에 비해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와 향후 구매 의도, 체면 의식, 소비자 효과성 지각 요인, 사회적 책임감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는 아닌 소비자보다 self-direction, universalism 가치를 자신의 삶에 있어 보다 중요한 가치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의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와 향후 일반적인 윤리적 상품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의 경우,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에 소비자 효과성 지각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으로 benevolence 가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윤리적 상품의 향후 구매 의도에는 사회적 책임감, benevolence, 태도 순으로 영향을 받고, 집단 동조 의의 경우 오히려 윤리적 상품 구매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정서가 상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ecific Mood State on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 최선아;손영우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6-22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구매 상황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특정 정서 상태가 상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품 범주는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대하는 태도로 분류된 실용적/쾌락적(utilitarian/hedonic) 물품 기준을 사용하였고, 동일한 시나리오 상황에서 특정 정서(긍정/부정/중립)에 따라 선택된 상품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립적 정서 상황에 비해 부정적 정서 상황에서 실용적 목적을 지닌 상품을 선택하는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부정적 정서가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처리 과정을 촉진시킨다는 기존 연구 결과가 구매행동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 PDF

플라워샵의 상품, 판매태도 및 재 구매 의사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식 조사 분석 (Survey of Consumer's Awareness on Flower Shop's Products and Attitude of Seller, and Mind of Consumer's Repurchase)

  • 최명심;송채은;왕경희
    • 화훼연구
    • /
    • 제19권3호
    • /
    • pp.158-163
    • /
    • 2011
  • 플라워샵의 활성화에 대한 기초 자료 확보 측면에서 소비자 남성 58명과 여성 155명을 대상으로 플라워샵 상품의 가격, 포장, 선물용 및 판매자의 태도에 대한 만족도와 재구매 의사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플라워샵의 상품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은 남성과 여성 각각 8.62% 및 14.21%를 나타냈다. 그리고 꽃 상품의 포장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은 남성과 여성 각각 6.88% 및 12.91%를 나타냈다. 꽃상품에 대해 선물로서 '만족한다'는 응답은 남성과 여성 각각 8.61% 및 1.95%를 나타냈다. 플라워샵의 상품 판매자의 태도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남성과 여성 각각 6.89% 및 6.46%를 나타냈으며, 플라워샵 상품의 재구매 의사가 있다고 응답은 남성과 여성은 각각 5.16% 및 9.05%에 불과하였다. 이와 같이 플라워샵에 대한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만큼 플라워샵 경영주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온라인 구전 여행정보의 신뢰와 구전효과 연구 (Credibility of e-WOM in Travel Industry, and Its Influence in WOM Effect)

  • 천민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424-432
    • /
    • 2011
  • 오늘날 인터넷의 대중화가 이루어지면서 소비자들은 온라인 게시판 등을 통해 다양한 구전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여행에 있어 관광객의 정보교류 및 획득이 수월해짐에 따라 온라인 구전(e-WOM: Eloctronic Word-of-Mouth)은 현대사회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 있는 커뮤니케이션 수단 중 하나로 부상하였다. 이는 여행사 입장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에 재학중인 3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구전에 대한 신뢰, 브랜드 태도, 구전수용, 구전활동, 여행상품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온라인 구전의 신뢰는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태도는 구전수용, 구전활동 및 여행상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전수용은 구전활동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여행상품 구매의도에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행사는 자사의 홈페이지나 브랜드 커뮤니티를 통한 온라인 구전의 관리에 있어서, 신뢰를 기반으로 한 긍정적 브랜드 태도의 형성을 통해 고객이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널리 전파하도록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상품특성에 대한 태도와 가사노동 상품대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ttitudes toward Market Goods Characteristics and the Market Goods Substitution of Housework)

  • 구혜령;이기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8권3호통권47호
    • /
    • pp.39-52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attitudes toward of market goods characteristic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s toward market goods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market goods substitution of housework. For empirical analysis, the data of the study was collected from 572 married women living in Seoul. 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survey method. Data was analysed using SPSS/WIN8.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ives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domain of food, but positive attitudes in the domain of clothes. They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time/labor saving characteristic, especially ready-made side dishes and dining-out, whereas negative attitudes toward money saving characteristic in the domain of food and clothes. 2) The level of market goods substitution of housework was influenced by the attitudes toward market goods characteristics.

  • PDF

인터넷 의류 쇼핑몰의 상품환경이 소비자의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

  • 김기억;홍희숙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45-4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의류 쇼핑몰 상품환경이 소비자의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 및 소비자의 감정반응이 인터넷 의류 쇼핑몰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규명함으로써 인터넷 쇼핑몰 기업의 의류상품 환경 구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중략)

  • PDF

외식산업 창업속성이 창업 과잉자신감과 창업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usiness Startup Attributes on the Overconfidence of Business Startup and Entrepreneur's Attitude in Foodservice Industry)

  • 송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14-426
    • /
    • 2014
  • 본 연구는 외식산업 창업속성이 창업 과잉자신감과 창업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외식업 창업자 총 300명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 1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외식산업 창업속성이 창업 과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창업자 특성, 창업자금, 입지, 상품요인이 창업 자신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외식산업 창업속성이 창업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창업자금, 입지, 상품요인이 창업자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셋째, 창업 과잉자신감이 창업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창업 과잉자신감은 창업자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는 창업자 특성변인으로서 전문화된 경영마인드와 관련 지식, 경험이 그만큼 중요하고, 이에 기반한 충분한 자금조달과 준비속에 고객의 유동인구가 상품특성과 결합하여 적합한 곳에 입지할 때 고객의 이용과 선택 또한 안정된 경영으로 이어져 자신감과 함께 안정경영을 통한 긍정적인 태도로 나타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