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품사진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2초

마틴파의 사진을 통해서 본 욕망의 소비사회의 관한 연구 -재현의 소비사회를 중심으로- (Research on Consumer Society of Desire Seen through the Pictures of Martin Parr -Focused on Re-created Consumer Society-)

  • 유희영;양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49-155
    • /
    • 2015
  • 마틴 파 사진은 욕망의 소비사회를 통찰하는 문화사회학적 보고서이다. 그의 사진은 현대사회가 펼치는 상상극의 무대를 비추고 현대인이 펼치는 삶의 허구성을 비춘다. 사진의 재현성을 통해서 재현된 사회, 재현된 이미지들을 보여준다. 마틴 파의 사진이 말하듯이 사진은 현실 그 자체가 아니다. 현실의 이미지이다. 실재가 아니라 실재처럼 보이는 실재의 시뮬라크르이다. 이 재현의 코드 망이 우리가 살고 있는 재현된 '소비사회'를 직시한다. 소비사회는 상품사회이다. 또 욕망의 사회이다. 현대성이란 삶의 현재적 조건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사회의 욕망과 물신성을 통해서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의 전면과 이면을 투사하려 했다. 상품들이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삶, 유혹의 현대 소비사회 속에서 상품은 과연 무엇을 재현하며, 왜 그토록 현대인들이 상품에 집착하는지, 소비사회의 감춰진 이면을 통해서 자본주의 사회의 욕망의 코드를 살피는 데 있다. 그 결과, 후기모더니즘 사회에서 욕망하는 사회야말로 현대인들이 현대를 살아가기 위해 재현의 문화사회학이라는 사실을 마틴 파의 사진을 통해서 논증하고자 했다.

패션점포 내 배경음악과 광고사진이 소비자의 정서 및 접근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tmospheric Music and Advertising Photo on Consumers' Emotional State and Approach Behavior in Fashion Store)

  • 기현명;이유리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39-60
    • /
    • 2006
  • 본 연구는 점포 내 배경음악과 광고사진이 소비자의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로서 비디오 시뮬레이션을 통한 실험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매장 내 배경음악의 템포 효과와 광고사진 분위기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중 저가 영 캐주얼 의류 브랜드 매장 한 곳을 선택하여 비디오 촬영한 후, 2 (빠른 템포 vs. 느린 템포) ${\times}$2 (섹시한 사진 분위기 밝고 경쾌한 사진 분위기) 요인 설계를 이용하여 4개 의 자극물을 조작하였다. 또한 음악 및 사진 자극이 제공되지 않은 자극물을 포함, 통제 집단을 구성하였다. 총 289개의 설문의 수집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집단과 각 4개의 실험 집단과의 비교 분석 결과, 점포 내 배경음악과 광고사진이 없는 통제집단은 정서적, 행동적 반응 모두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배경음악과 광고사진의 유무는 소비자의 정서적, 행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둘째, 점포 내 배경음악의 템포 및 광고사진 분위기와 소비자의 점포 내 긍정적 정서상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배경음악의 템포에 의한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광고사진의 분위기 차이에 따른 점포 내 소비자의 긍정적인 정서상태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셋째, 소비자의 점포내 긍정적인 정서상태는 소비자의 긍정적 접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 자체의 품질이나 다양성, 상품의 가격과 같은 직접적인 상품 요인 외에 배경음악과 광고사진 같은 점포 내의 분위기 요소들이 소비자들에게 즉각적이고 감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켜 상품 자체 요인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소비자들의 점포 내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임을 발견하였다.

  • PDF

사진영상산업의 현재와 미래 - "사진출력 서비스 상품의 변화와 개선 통해 새로운 변화의 시기를 개척해 나가야" - 2009년도 미니랩과 포토북 시장 동향 및 제언

  • 유정엽
    • 광학세계
    • /
    • 통권120호
    • /
    • pp.26-29
    • /
    • 2009
  • 매년 20% 이상씩 고속 성장한 디지털 카메라 시장은 필름 시대에 비해 약 6배 이상 많이 촬영하게 만들었고 이에 따른 불편함 중 하나가 사진 데이터의 보관과 관리. 정리하는 것이다. 더불어 대부분 일반인들의 기념사진은 그 사진의 80% 이상은 프린트한 후 앨범 등에 보관한다는 소비자들의 습관에 착안하여 탄생한 것이 '포토북'이다. 미니랩 사업은 촬영이라는 고유한 영역은 그대로 남아 있지만 낱장 출력 사업은 이제 정리할 시대가 왔기에 이러한 구조 내에서도 과연 생존 가능한 사업 모델인지 다시 한번 보아야 할 시점이다. 그러한 으미에서 2009년은 참 의미 있는 변화의 시기일 수 있으며 미니랩 업주들은 서비스 상품의 변화와 개선을 통해 새로운 변화의 시기를 개척해나가야 할 것이다.

  • PDF

기획특집 (2)_사진영상산업의 동향 - 사진출력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 '포토북'

  • 김재일
    • 광학세계
    • /
    • 통권127호
    • /
    • pp.23-28
    • /
    • 2010
  • 사진시장에서 포토북의 인기가 뜨겁다. 필름카메라에서 디지털카메라로 세대교체와 함께 한동안 정체되어 있던 사진출력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포토북이 이처럼 새로운 트렌드 아이콘으로 주목받게 된 요인은 기존의 앨범과는 또 다른 형태의 사진앨범으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나만의 책으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특히 부모님 환갑잔치, 어린 자녀를 둔 젊은 부부, 연인끼리의 선물과 추억의 아이템으로 친구들과의 추억을 공유하는 우리들만의 추억으로 점점 그 인기를 더하고 있다. 포토북 뿐만 아니라 압축앨범, 포토 갤린더, 포토카드, 엽서, 휴대폰 고리용 미니북, 열쇠고리용 키북 등 다양한 리테일 상품들도 주목받고 있다.

  • PDF

위치정보를 담은 사진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광고 비즈니스 모델: U-Photo

  • 이경전;주정인;이종철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440-447
    • /
    • 2007
  • 사진은 시각화되어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생성하기 쉽다는 이유로 가장 인기 있는 컨텐트 중 하나이며, 사진을 찍은 위치 정보는 해당 장소가 갖는 특징 혹은 상징성으로, 상품 및 서비스와 연관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거래의 매개체가 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상거래 환경에서는 사진의 위치정보를 자동화, 체계화하여 저장하고 활용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어서 사진 자체가 상거래에 활용되는 모델을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U-Photo 비즈니스 모델은 사용자가 찍은 사진의 배경에 해당하는 장소를 그 장소를 통해 광고를 하고자 하는 광고주와 연계하고, 그 사진을 클릭했을 때 광고주의 사이트가 로딩 되도록 하는, 컨텐트 생성자, 컨텐트 소비자, 광고주 연계 비즈니스 모델이다.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사진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고, 본 비즈니스 모델이 어떤 함의를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하며 시장에서 실제 작동할 조건을 예측하여 본 비즈니스 모델을 평가한다.

  • PDF

최근 디지털 포토 마켓의 트렌드와 통합 솔루션 소개

  • 조재명
    • 광학세계
    • /
    • 제5호통권115호
    • /
    • pp.51-53
    • /
    • 2008
  • 현재 대다수의 포토 스튜디오들은 앨범, 증명사진, 일반 인화에만 수익이 편중되어 있어 단가에서 대형 현상소와 온라인 인화숍에 뒤지는 데다 별도의 부가 상품이 없어서 일부 특화된 스튜디오를 제외하고는 수익성 악화가 심화되는 상황이다. 특히 온라인 인화/앨범 시장의 성장, 대기업의 사진시장 진출, 스튜디오의 대형화/프랜차이즈화, 출력 고객의 다변화, 소품종 다량 출력화, 고성능 촬영 매체의 대중화 등이 진행됨에 따라 전문 사진시장의 '부익부 빈익빈현상'은 더욱 심해질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 PDF

특징점 매칭을 이용한 O2O 상점에서의 상품명 인식 (Feature Point Matching for Product Name Recognition in O2O Stores)

  • 김대민;시종욱;김성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년도 제6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2권1호
    • /
    • pp.79-80
    • /
    • 2024
  • 인공지능과 디지털 변환의 추세가 소매업계에서 온라인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여 본 논문에서는 O2O(Online-to-Offline) 상점을 위한 상품명 인식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이미지 내 특징점과 이들 주변의 픽셀 정보를 포함하는 특징 디스크립터를 활용하여 상품 이미지와 진열대 사진을 비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사용된 주요 알고리즘은 SURF와 BFMatcher, KnnMatch 방법으로, 이들은 각각 이미지의 특징점을 탐지하고 매칭하는 데 사용된다. 실험을 통해 적절한 임계값을 설정하여 높은 신뢰도의 매칭 결과를 선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O2O 상점에서 상품 관리와 인식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PDF

온라인쇼핑몰에서 상품착장사진 배경에 대한 감성반응이 쇼핑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ibility Responses on Backgrounds of Product Photos on Consumer Attitude of Online Shopping Malls)

  • 전민정;여은아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2호
    • /
    • pp.29-41
    • /
    • 2014
  • As the online shopping mall market faces severe competition, marketers have focused on visual factors that generate positive consumer responses in order to induce more consumers. Although product photos are crucial in the communication of product information as well as in the development of positive images of online shopping mall, there was little intention the effect of diverse types of product photo.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backgrounds (i.e., no background, indoor background, street background) are compared in order to explore whether consumer sensibility factors are different according to photo backgrounds. Moreover, it investigates the effect of sensibility toward photo backgrounds on consumer attitude. A total of 222 consum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As a result, six sensibility factors were generated from online model photos, including structure, upscale, uniqueness, interest, simpleness, and easiness factors. Among these factors, simpleness and structure showed the highest means; simpleness was the factor indicat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photo backgrounds. Sensibility factors affecting attitude toward online shopping malls were uniqueness in the case of no background, interest in the case of indoor background, and upscale in the case of street background photo.

소셜커머스 웹사이트의 정보구성요소 -상품, 가격, 서비스, 판매원 정보를 중심으로- (Information Components of Social Commerce Websites -Focusing on Product, Price, Service, and Seller Information-)

  • 박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69-38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커머스의 정보구성요소를 상품정보, 가격정보, 서비스정보, 판매원정보로 나누고 각 요소를 체계화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였고, 소셜커머스 웹사이트에서 100개 페이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상품정보에서 정면사진 제시, 소재구성정보, 원산지, 관리, 색상, 사이즈 등 기본정보는 대부분 제시되었으나, 후면/옆면사진, 스와치, 스타일이나 소재 설명에 대한 보완이 요구된다. 가격정보에서는 소셜커머스의 제약조건과 관련된 할인율, 할인판매마감시간, 제한된 상품보유량, 판매제품개수 등은 강조되어 제시되었다. 서비스정보는 배송예정일, 배송사, 상품문의서비스, 교환/반품서비스가 대부분 제시되었다. 판매원정보는 브랜드로고나 브랜드네임은 다수 제시되었으나 구체적인 브랜드 컨셉, 역사, 규모에 대한 정보의 보완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 정보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